雨後竹筍 (우후죽순)

雨後竹筍(우후죽순)

비 온 뒤에 돋는 죽순. 곧 어떤 일이 일시에 많이 일어남을 비유.

迂直之計 (우직지계)

迂直之計(우직지계)

迂 멀 우 | 直 곧을 직 | 之 어조사 지 | 計 꾀 계 |

가까운 길을 곧게만 가는 것이 아니라 돌아갈 줄도 알아야 한다는 병법의 지혜.


먼 길로 돌아가면서도 곧바로 가는 것과 같은 우회하는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한다는 의미다. ‘迂’는 구불구불하여 돌아가는 길이고 ‘直’은 곧은길이니, 목적을 위해서 수단은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간단히 '우직' 혹은 '이우위직(以迂爲直)'이라고도 한다.

손자(孫子) 군쟁편(軍爭篇)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가까운 길을 먼 길인듯 가는 방법을 적보다 먼저 아는 자가 승리를 거두게 된다[先知迂直之計者勝]. 이것이야말로 군대가 전쟁에서 승리하는 원칙이다[此軍爭之法也]." 손자는 이 말에 덧붙여 설명하기를 “군쟁 중에서 어려운 점은 먼 길을 곧은 길로 삼고, 근심거리를 오히려 이로움으로 만드는데 있다. 따라서 그 길을 구불구불 가는 것처럼 하여 적을 이익으로 유인하면 나중에 출발한 군대가 먼저 도착하는 것이니 이는 우직지계를 안다고 하는 것이다.[軍爭之難者, 以迂爲直, 以患爲利. 故迂其途, 而誘之以利, 後人發, 先人至, 此知迂直之計者也]”

병법의 핵심은 상대의 허점을 알아내고 교란시켜서 적을 오판에 빠뜨리는 것이다. 장수란 군대를 출동시킴에 있어 우회(迂廻)의 전략을 취함으로써 바로 적의 허를 찌르라는 것이다. 즉 적의 눈과 마음을 빼앗아 아군의 기동을 눈치 채지 못하게 하는 것이니 나중에 출발해도 먼저 도착한다는 뜻이다. 즉 적이 예측한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기동하는 것이다. 상대가 보기에 도무지 불가능한 기동을 택하는 것이 결과적으로는 전쟁의 승리로 귀결된다는 말이다.

쌍방의 군대가 서로 승리를 다투어 전쟁에서 먼저 기회를 잡아 유리한 장소와 시간을 장악하는 것이야말로 전쟁을 승리로 이끌 수 있는 핵심이다. 적군과 아군 가운데 누가 이러한 지점에 먼저 도착할 수 있고, 유리한 시간에 상대를 공격할 수 있는지가 승패를 좌우하는 관건이라는 것이다. 유리한 시간이란 사기가 충만한 군대로 이미 지친 적을 상대할 수 있는 시간을 말한다. 유리한 지점이란 우세한 병력을 취약한 환경에 처한 적진에 투입하는 것을 뜻한다. 아군이 유리한 지형을 선점(先占)하게 되면 적을 견제하기는 쉽다. 물론 그 전제는 적의 예측을 뒤흔드는 변화무쌍한 전략과 전술을 수립하는 것이다. 상황의 변화에 따른 무궁무진한 용병의 원칙에서 중심은 바로 ‘우직지계’인 셈이다.

전쟁사에 남은 수많은 명전투는 병력으로나 전세로나 월등 열세에 빠진 쪽이 어떻게 해서 이겼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힘과 지혜의 싸움인 전쟁에서 우직지계는 상식적인 사고를 뒤집어 생각해보는 것이 병법의 기초임를 말한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迂直之計(우직지계) | 以迂爲直(이우위직) | 後人發先人至(후인발선인지) |

牛鼎烹鷄 (우정팽계)

牛鼎烹鷄(우정팽계)

牛 소 우 | 鼎 솥 정 | 烹 삶을 팽 | 鷄 닭 계 |

소를 삶을 수 있는 큰 가마솥에 닭을 삶는다는 뜻으로, 큰 재목(材木)을 알맞은 곳에 쓰지 못하고 소소한 일을 맡기는 경우(境遇)를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후한서(後漢書) 변양전(邊讓傳)의 이야기. 동한(東漢) 말기, 진류(陳留)지방에 재능과 학문을 겸비한 변양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조정의 의랑(議郞)인 채옹(蔡邕)은 하진(何進)의 수하에 있던 변양에게 더 높은 관직을 맡기고자 하여, 하진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변양은 뛰어난 인물로서 예(禮)가 아니면 움직이지 않고, 법도(法度)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않습니다. 옛말에 소 삶는 큰 솥에 닭 한 마리를 삶게 되면 물이 너무 많아 맛이 없어서 먹지 못하게 되고(函牛之鼎以烹鷄 多汗則淡而不可食), 물을 너무 조금 부으면 익지 않아 먹을 수 없게 된다 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큰 인재를 하찮은 일에 쓴다는 뜻이니, 장군께서는 그로 하여금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하진은 채옹의 말을 듣고, 변양을 더 높은 관직에 천거하였다. 牛鼎烹鷄란 큰 인재를 작은 일에 씀을 비유한 말이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大材小用(대재소용) |

旭日昇天 (욱일승천)

旭日昇天(욱일승천)

아침 해가 하늘에 떠오름. 또는 그와 같은 기상.

牛耳讀經 (우이독경)

牛耳讀經(우이독경)

소귀에 경 읽기, 아무리 말해도 소용 없음

pouring water on a duck´s back. preaching to the wind. to play the lute to a cow—to give things of value to those who will not understand or appreciate it.


유의어

대우탄금(對牛彈琴) 소에게 거문고를 들려준다는 말로,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참된 도리를 말해 주어도 이해하지 못한다는 뜻. 홍명집(弘明集) 이혹론(理惑論)

우이송경(牛耳誦經) 쇠귀에 경 읽기.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

마이동풍(馬耳東風) 따뜻한 봄바람이 불면 사람들은 기뻐하는데 말의 귀는 봄바람이 불어도 전혀 느끼는 낌새가 없다는 뜻.

반의어

문일지십(聞一知十)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 논어 공야장(公冶長)

雲外蒼天 (운외창천)

雲外蒼天(운외창천)

雲 구름 운 | 外 바깥 외 | 蒼 푸를 창 | 天 하늘 천 |

어두운 구름 밖으로 나오면 맑고 푸른 하늘이 나타난다는 뜻으로, 온갖 난관(難關)을 극복(克服)하면 성공(成功)한다는 말. 절망(絶望)해서는 안된다는 격려(激勵)의 말로 사용(使用)함

右往左往 (우왕좌왕)

右往左往(우왕좌왕)

右 오른쪽 우, 도울 우 | 往 갈 왕 | 左 왼 좌 | 往 갈 왕

중심을 잡지 못하고 사방으로 왔다 갔다 함

교수신문에서 선정한 2003년 올해의 사자성어


2003년 | 올해의 사자성어 | 교수신문

憂愁思慮 (우수사려)

憂愁思慮(우수사려)

근심과 걱정.

牛杏馬勃 (우수마발)

牛杏馬勃(우수마발)

쇠오줌과 말똥, 즉 아무 소용이 없는 말이나 글.

雲上氣稟 (운상기품)

雲上氣稟(운상기품)

속(俗)에서 벗어난 고상한 기품.

愚夫愚夫 (우부우부)

愚夫愚夫(우부우부)

어리석은 지아비와 지어미.

牛步萬里 (우보만리)

우보만리(牛步萬里)

듬직한 소의 걸음으로 만 리를 걸어가다.


소 | 꾸준함

愚問賢答 (우문현답)

愚問賢答(우문현답)

愚问贤答[yúwènxiándá]

愚 어리석을 우 | 問 물을 문 | 賢 어질 현 | 答 대답 답 |

어리석은 질문(質問)에 현명(賢明)한 대답(對答)

a wise answer to a silly question

雲泥之差 (운니지차)

雲泥之差(운니지차)

구름과 진흙의 차이라는 뜻으로, 사정이 크게 다르다는 경우에 쓰는 말.

a great difference

愚公移山 (우공이산, Yúgōngyíshān)

愚公移山(우공이산)

愚公移山[Yúgōngyíshān]

愚 어리석을 우 | 公 공평할 공 | 移 옮길 이, 크게 할 치 | 山 메 산 |


우공(寓公)이 산을 옮기다. 《열자·탕문(列子·湯問)》에 나오는 말로서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쉬지 않고 꾸준하게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Like the Foolish Old Man who removed the mountains—with dogged perseverance


원래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이야기다.

태형(太形 또는 태행 太行) ·왕옥(王屋) 두 산은 둘레가 700리나 되는데 원래 기주(冀州) 남쪽과 하양(河陽) 북쪽에 있었다. 북산(北山)의 우공(愚公)이란 사람은 나이가 이미 90에 가까운데 이 두 산이 가로막혀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을 덜고자 어느 날 가족을 모아 놓고 말하였다.

"저 험한 산을 평평하게 하여 예주(豫州)의 남쪽까지 곧장 길을 내는 동시에 한수(漢水)의 남쪽까지 갈 수 있도록 하겠다. 너희들 생각은 어떠하냐?"

모두 찬성하였으나 그의 아내만이 반대하며 말하였다.

"당신 힘으로는 조그만 언덕 하나 파헤치기도 어려운데, 어찌 이 큰 산을 깎아 내려는 겁니까? 또, 파낸 흙은 어찌하시렵니까?"

우공은 흙은 발해(渤海)에다 버리겠다며 세 아들은 물론 손자들까지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서 삼태기와 광주리 등으로 나르기 시작하였다.

흙을 발해만(渤海灣)까지 운반하는 데 한 번 왕복에 1년이 걸렸다. 이것을 본 친구 황해의 지수(智搜)라는 사람이 그를 비웃으며 만류하자 그는 정색을 하고 대답하였다.

“나는 늙었지만 나에게는 자식도 있고 손자도 있다. 그 손자는 또 자식을 낳아 자자손손 한없이 대를 잇겠지만 산은 더 불어나는 일이 없지 않은가. 그러니 언젠가는 평평하게 될 날이 오겠지”

지수는 말문이 막혔다.

그런데 이 말을 들은 산신령(蛇神)이 산을 허무는 인간의 노력이 끝없이 계속될까 겁이 나서 옥황상제에게 이 일을 말려 주도록 호소하였다. 그러나 옥황상제는 우공의 정성에 감동하여 가장 힘이 센 역신(力神) 과아씨(夸蛾氏)의 두 아들을 시켜 두 산을 들어 옮겨, 하나는 삭동(朔東)에 두고 하나는 옹남(雍南)에 두게 하였다고 한다.


출전·유래

列子(열자) 湯問(탕문) |


관련 한자어

유의어

塵合泰山 진합태산 | 點滴穿石 점적천석 | 積土成山 적토성산 | 積塵成山 적진성산 | 積水成淵 적수성연 | 積小成大 적소성대 | 十伐之木 십벌지목 | 水滴穿石 수적천석 | 水積成川 수적성천 山溜穿石 산류천석 | 磨斧作針 마부작침 | 磨斧爲針 마부위침 |

참조어

風燭殘年(풍촉잔년)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