巧言令色 (교언영색)

巧言令色 (교언영색)

巧 공교할 교 | 言 말씀 언 | 令 착할 령 | 色 빛 색 |

남에게 아첨하려고 듣기 좋게 꾸미는 말과 얼굴빛


상서(尙書) 경명(景命)편에는 주(周)나라 목왕(穆王)이 백경(伯京)을 태복(太僕)으로 임명하며 훈계하였던 말이 기록되어 있다.

그대의 아래 사람들을 신중히 고르되, 교묘한 말을 하는 자, 좋은 듯 꾸민 얼굴을 하는 자, 남의 눈치만 보는 자, 아첨하는 자는 쓰지 말고, 오직 올바른 사람만을 쓰도록 하시오[無以巧言令色便 側媚, 其惟吉士].

巧言令色에다 鮮矣仁(선의인)을 붙여 巧言令色 鮮矣仁이라고 하면 교묘한 말솜씨에 꾸민 얼굴을 하고 있는 자 중에는 어진 사람이 적다는 뜻으로 孔子(공자)의 가르침이 된다. 여기서 鮮은 적다는 의미.

논어의 제일 앞대목 學而(학이)편에 교묘한 말과 꾸민 얼굴에는 인이 적다[巧言令色鮮矣仁(교언영색선의인)]이라는 말이 있으며, 공야장(公冶長)편, 양화(陽貨)편 등에도 巧言令色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교묘하게 꾸며대는 말솜씨와 꾸민 얼굴빛으로 잘난 척 착한 척 하는 행동에서 무슨 성실성을 찾을 수 있겠는가. 그런 사람은 성실성의 빈곤을 스스로 광고하는 것에 다름아니다.

공자는 巧言令色 鮮矣仁의 對句(대구)가 됨직한 剛毅朴訥 近仁(강의박눌 근인)이란 글귀도 남기고 있다. 의지가 굳세고 의연하고 질박하고 말이 매끄럽지 못한 사람이 어진 사람에 가깝다는 뜻. 논어 子路(자로)편에 나오는 말이다.그러니까 도시의 때가 묻지 않은 村夫(촌부)같은 사람, 私慾(사욕)에 집착하지 않고 꾸밈이 없는 사람, 말은 서툴러도 진정이 담긴 말을 하는 사람을 공자는 진짜 인간으로 보았던 것이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巧言令色 (교언영색) |

矯角殺牛 (교각살우)

矯角殺牛 (교각살우)

뿔을 고치려다 소를 죽인다. 작은 일에 힘쓰다가 큰 일을 망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