戴天之讐 (대천지수)

戴天之讐(대천지수)

이 세상에 함께 살 수 없는 원수

大志遠望 (대지원망)

大志遠望(대지원망)

大 클 대 | 志 뜻 지 | 遠 멀 원 | 望 바랄 망 |

큰 뜻을 품고 멀리 바라본다.

對症下藥 (대증하약)

對症下藥(대증하약)

對 대할 대 | 症 증세 증, 적취 징 | 下 내릴 하 | 藥 약 약, 뜨거울 삭, 간 맞출 략(약) |

증세(症勢)에 맞게 약을 써야 한다는 뜻으로, 문제(問題)의 핵심(核心)을 바로 보고 대처(對處)해야 함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화타전(華 傳)에는 동한(東漢) 말기 뛰어난 의술로 신의(神醫)라는 칭송을 받았던 화타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한번은 고을의 벼슬아치인 예심(倪尋)과 이연(李延) 두 사람 모두 고열(高熱)과 심한 두통(頭痛)을 앓게 되었다. 다른 의원들이 와서 그들을 살펴 보았으나 효과가 없자, 결국 화타가 초빙되어 왔다. 그는 두 사람의 상태를 살펴 본 후, 각각 다른 처방을 내렸다. 증상이 똑같은 두 사람에게 각기 다른 약을 먹게 하자, 많은 사람들은 의아하게 생각하며 그 이유를 물었다.

화타는 대답하였다.

"예심은 신체 외부에 병은 없으나 잘못 먹어 내부에 배탈이 났으므로 사약(瀉藥)을 먹어야 하고, 이연은 신체 내부에 병은 없으나 외부의 영향으로 감기에 걸린 것이니 발산약(發散藥)을 먹어야 하는 것입니다."

對症下藥(There is a slave for every sore)는 증세에 맞게 약을 써야 한다는 뜻이며, 이는 곧 문제의 핵심을 바로 보고 대처해야함 을 비유한 말이다.

大材小用 (대재소용)

大材小用(대재소용)

大材小用(dàcáixiǎoyòng)

大 클 대, 큰 대, 클 태, 클 다 | 材 재목 재 | 小 작을 소 | 用 쓸 용 |

큰 재목(材木)이 작게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①사람을 부리는 데 있어서 제 능력(能力)을 다 발휘(發揮)할 수 있는 조건(條件)이 안됨 ②역설적(逆說的)으로 큰 재목(材木)은 큰 일에 쓰여야 한다는 말 ③정부나 조직(組織)에서 사람을 쓰는 법이 잘못되었음을 가리킴

to assign talented people for trivial tasks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牛鼎烹鷄(우정팽계) 소를 삶을 수 있는 큰 가마솥에 닭을 삶는다는 뜻으로, 큰 재목(材木)을 알맞은 곳에 쓰지 못하고 소소한 일을 맡기는 경우(境遇)를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

代人捉刀 (대인착도)

代人捉刀(대인착도)

代人捉刀(dàirénzhuōdāo)

代 대신할 대 | 人 사람 인 | 捉 잡을 착 | 刀 칼 도 |

남을 대신(代身)하여 일을 함


세설신어(世說新語) 용지(容止)편의 이야기다.

위(魏)나라 무제(武帝) 때, 흉노(匈奴)의 사신이 위 무제를 만나러 왔다. 위 무제는 자신의 키가 작고 풍채가 초라하여 사신들에게 위풍을 보이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에 위무제는 대신(大臣) 최계각(崔季珪)으로 하여금 흉노의 사신을 접견하게 하고, 자신은 칼을 잡고 시위(侍衛)처럼 서있었다[帝自捉刀立牀頭].

최계각은 본시 큰 몸집에 짙은 눈썹과 큰 눈으로 풍채가 당당하고 위엄있었으며, 우렁찬 목소리에 말솜씨가 뛰어난 사람이었다. 흉노의 접견을 마친 후, 위 무제는 몰래 사람을 보내어 흉노의 사신이 위 무제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아 보게 하였다.

흉노 사신의 대답은 이러하였다.

위왕의 고상한 덕은 대단했습니다만, 칼을 들고 옆자리에 서있던 그 사람은 위풍이 당당하여 정말 영웅같았습니다.

위 무제는 이 말을 듣고 사람을 시켜 흉노의 사신을 죽여 버렸다.

위 무제는 다름아닌 조조(曹操)인데, 그는 체구가 작았다고 한다. 代人捉刀란 사람을 대신하여 일을 함을 비유한 말이다.


출전

세설신어(世說新語) 용지편(容止篇)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大義名分 (대의명분)

大義名分(대의명분)

지켜야 할 큰 의리와 직분.

大義滅親 (대의멸친)

大義滅親(대의멸친)

국가나 사회의 대의를 위해서는 친족도 멸한다는 말로 큰 뜻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족에 대한 정같은 것을 버린다는 뜻이다.


때는 춘추시대. 衛(위)나라 公子(공자)인 주우가 임금인 桓公(환공)을 죽이고 스스로 임금자리에 올랐다.

환공과 주우는 이복형제간인데 둘 다 후궁의 소생이었다. 위나라 대부 석작은 충의지사로 이름난 사람으로 일찍이 주우에게 역심이 있음을 알고 아들인 石厚(석후)가 주우와 가까이 지내지 못하도록 했으나 듣지 않았다. 석작은 환공이 왕위에 오르자 은퇴했지만 그가 우려했던 주우의 반역이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반역이 성공하자 석후는 아버지인 석작에게 어떻게 하면 주우의 왕위를 굳힐 수 있겠는지를 물었다.

석작은 周(주)나라 天子(천자)의 허락을 받는 것이 좋겠다고 하면서 『허락을 받기 위해서는 주나라 왕실과 친한 진공을 통해서 청원하는 것이 좋겠다』고 권했다.

주우와 석후가 진나라로 떠나자 석작은 陳公(진공)에게 밀사를 보내어 이렇게 말하도록 했다.

『주군을 시해한 이 두사람을 잡아 처치해 주십시오』

이렇게 해서 두사람은 위나라 책임자의 입회를 기다려 사형에 처해졌다. 석작은 君臣(군신)의 대의를 이룩하기 위해서 육친의 사사로운 정을 버린 것이다.

대의멸친과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성어로 滅私奉公(멸사봉공)과 先公後私(선공후사)가 있다.

對牛彈琴 (Casting pearls before swine)

對牛彈琴 (Casting pearls before swine)

대우탄금(對牛彈琴)

對 to | 牛 the cow | 彈 to play | 琴 lute |

A long, long time ago, there was a lute player named Gong Ming Yi.

One day, while Gong was playing the lute outdoors, he saw a cow eating some grass.

"You are a lucky cow!" Gong thought. "Let me perform an exquisite piece of music for you!" he said to the cow.

Gong then closed his eyes and played his favorite tune. He was intoxicated by the melody and thought the cow would appreciate his generous offer. He opened his eyes and peeked at the cow.

The cow was not taking any heed of the elegant sounds. Instead, it kept its head down and continued to chew.

Gong couldn`t figure out why its response was not what he expected.

"Perhaps it didn`t like this music," Gong thought, so he changed the melody.

However, the cow still focused only on its meal regardless of how many pieces of music Gong played -- none of them caught the cow`s attention at all.

Gong was frustrated, but then decided to try something very different: the sound of a mosquito`s buzz.

The cow wagged its tail, pricked its ears and walked to Gong. It looked at him, lowered its head and continued to eat the grass.

The idiom refers to someone who speaks or writes without considering his or her audience.


References

Quotes·Quotations

Never try to teach a pig to sing. It's a waste of your time and annoys the pig. (Mark Twain)

對牛彈琴 (대우탄금)

대우탄금(對牛彈琴)

对牛弹琴(duìniútánqín)

對 대할 대 | 牛 소 우 | 彈 탄알 탄 | 琴 거문고 금 |

소에게 거문고를 들려준다는 말로,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참된 도리(道理)를 말해 주어도 이해하지 못한다는 뜻. 홍명집(弘明集) 이혹론(理惑論)

大辯若訥 (대변약눌)

大辯若訥(대변약눌)

大 클 대, 큰 대, 클 태, 클 다 | 辯 말씀 변, 두루 미칠 편 | 若 같을 약, 반야 야 | 訥 말 더듬거릴 눌 |

가장 잘하는 말은 어눌하다.

大亂大治 (대란대치)

대란대치(大亂大治)

크게 어지럽혀야 크게 다스릴 수 있다는 말. 흔히 마오쩌둥이 한 말로 알고 있지만 실은 청나라 옹정제의 지배전략이었다. 정치에서 사용된 말이지만 정치에서만 대란대치가 필요한 게 아니다.

일상적인 삶에서도 대란대치가 필요하다. 가만 놔두면 안 된다. 녹슬고 곰팡이 핀다! 흔들어 깨우고 크게 뒤집어 일으켜야 한다. 그래야 삶의 생생한 돌기들이 일어나 진짜 자기 삶이 펼쳐진다.

大同小異 (대동소이, dàtóngxiǎoyì)

대동소이(大同小異)

大同小异(dàtóngxiǎoyì)

大 : 큰 대 | 同 : 한가지 동 | 小 : 작을 소 | 異 : 다를 이


크게 같고 작게 다르다는 말로, 크게 보면 서로 같지만 작게 보면 각각 다르다는 뜻.

《장자(莊子)》천하편(天下篇)에서 비롯된 말이다. 장자는 천하편에서 묵가(墨家)와 법가(法家) 등이 주장하는 논점을 밝혀 비판하고 도가의 철학을 선양한 다음, 뒷부분에 친구인 혜시(惠施)의 논리학을 소개하고 이에 자기 의견을 덧붙였다. 대동소이라는 말도 혜시의 말 가운데 나오는 것이다. 장자가 한 말은 다음과 같다.

“혜시의 저술은 다방면에 걸쳐 다섯 수레나 되는데 그의 도는 복잡하고, 그가 말하는 바는 정곡을 잃었으며, 그의 생각은 만물에 걸쳐 있다. 그는 말했다. '지극히 커서 밖이 없는 것을 대일(大一)이라 하고, 지극히 작아서 속이 없는 것을 소일(小一)이라 한다. 두께가 없는 것은 쌓아올릴 수가 없지만, 그 크기는 천리나 된다. 하늘은 땅과 더불어 낮고, 산은 못[澤池]과 같이 평평하다. 해는 장차 중천에 뜨지만 장차 기울고, 만물은 장차 태어나지만 또한 장차 죽는다.

크게 보면 같다가도 작게 보면 다르니(大同而與小同異) 이것을 소동이(小同異)라 하고, 만물은 모두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니(萬物畢同畢異) 이것을 대동이(大同異)라 한다. 남쪽은 끝이 없음과 동시에 끝이 있고, 오늘 남쪽의 월(越)나라로 간 것은 어제 월나라에서 온 것이다. 꿰어 있는 고리도 풀 수가 있다. 나는 천하의 중심을 알고 있다. 연(燕)나라의 북쪽이며 월나라의 남쪽이 그 곳이다. 만물을 넓게 차별 없이 사랑하면 천지(天地)도 하나가 된다.’ 혜시는 자기가 천하를 달관한 자라고 자부하여, 이로써 여러 사람을 가르쳤다.”

혜시는 시간과 공간의 무한성, 만물이 필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상대성을 논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대동소이란 상대적 관점에서 보이는 차이는 차이가 아니라는 말이다.

당(唐)나라의 "노동(盧同)과 마이(馬異)가 사귐을 맺은 시"에, '어제의 같음은 같음이 아니고, 다름은 다름이 아니다. 이것은 크게는 같고 작게는 다르다고 말한다' 고 있고, 주자(朱子)도 중용장구(中庸章句)를 쓰면서, '뜻은 大同小異하다'는 표현을 쓰고 있다.

오늘날에는 거의 비슷하다든지, 그게 그것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출전] 장자 천하편


유의어

難兄難弟(난형난제)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大器晩成 (대기만성)

大器晩成(대기만성)

大 클 대, 큰 대, 클 태, 클 다 | 器 그릇 기 | 晩 늦을 만 | 成 이룰 성 |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①크게 될 인물(人物)은 오랜 공적(功績)을 쌓아 늦게 이루어짐 ②또는, 만년(晩年)이 되어 성공(成功)하는 일을 이름

a late bloomer


노자 41장은 이렇게 말한다.

가장 큰 인물이 道(도)를 들으면 힘써 행하려고 노력한다. 중간쯤의 인물이 도를 들으면 그 도에 대한 믿음과 의심이 반반이다. 가장 못한 인물이 도를 들으면 一笑(일소)에 부치고 만다. 그들의 웃음을 살 정도가 아니면 진정한 도라고 할 수 없다. 그래서 옛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밝은 도는 어두운 것 같고 나아가는 도는 물러서는 것 같고 평탄한 도는 험한 것 같다. 최상의 덕은 골짜기와 같고 아주 흰 것은 더러운 것 같고 넓은 덕은 부족한 것 같고 변함없은 덕은 변하는 것 같다. 아주 큰 네모는 구석이 없으며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大器晩成].

三國志(삼국지)에도 大器晩成이 등장한다.

동한(東漢) 말년, 원소(袁紹)의 측근에 崔琰(최염)이라는 식객이 있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무술을 좋아하여, 23세에야 논어 등을 공부하였다. 그는 처음 원소의 부하로 일했으나, 후에는 조조(曹操)의 휘하로 갔다. 최염은 당당한 풍채에 우렁찬 목소리를 갖고 있는 호걸풍의 인물로 인품도 좋아 曹操(조조)도 그를 총애하여 魏(위)나라의 상서(尙書)를 지내며 태자 옹립문제를 해결하여 공정한 관리로 인정받았다.

그런 최염에게 崔林(최림)이라는 사촌동생이 있었다. 최림은 사촌 형과 전혀 딴판이어서 외모도 시원치 않은 데다가 구변도 신통치 못해 출세와는 거리가 먼 길을 걷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일가 친척들도 최림은 눈 밖에 두고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최염만은 달랐다.

"큰 종이나 큰 솥은 쉽게 만들어지는게 아니네. 사람도 마찬가지여서 대성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마련이지. 내 아우도 그런 大器晩成형이니까 언젠가는 큰 인물이 될터이니 두고 보게나."

최염의 장담대로 최림은 나중에 크게 출세하여 天子(천자)를 보좌하는 三公(삼공)중의 한사람이 된다.


출전

노자(老子) |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최염(崔琰)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大巧若拙 (대교약졸)

大巧若拙(대교약졸)

大 클 대, 큰 대, 클 태, 클 다 | 巧 공교할 교 | 若 같을 약, 반야 야 | 拙 옹졸할 졸 |

①훌륭한 기교(技巧)는 도리어 졸렬(拙劣)한 듯함 ②아주 교묘(巧妙)한 재주를 가진 사람은 그 재주를 자랑하지 아니하므로 언뜻 보기엔 서투른 것 같다는 뜻

[출전]
노자

大觀小察 (대관소찰)

대관소찰(大觀小察)

크게 보고 작게 살핀다

待價而沽 (대가이고)

待價而沽(대가이고)

待 기다릴 대 | 價 값 가 | 而 말이을 이 | 沽 팔 고 |

높은 가격에 살 사람을 기다림

공자는 늘 현실정치에 참여하려던 꿈이 컸던 인물이다. 그러나 공자는 이러한 꿈을 제대로 실현하지 못했다. 학식과 재주를 겸비했으나 알아주는 사람이 없었던 당시의 상황이 '論語(논어)·子罕(자한)' 짧은 글에 나와 소개하고자 한다.

春秋時代(춘추시대), 孔子(공자)가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자신의 주장을 널리 알리려 했으나 자주 한계에 부딪쳤을 뿐 중용되지는 못했다.

한번은 학생이었던 子貢(자공)이 孔子에게 "만일 여기에 훌륭한 옥이 있다면 이를 괘 안에 보관하시겠습니까 아니면 좋은 가격을 내는 사람을 찾아 파시겠습니까"라고 물었다. 孔子가 "팔아야지, 팔아야지! 나는 지금 살 사람을 기다리고 있다(沽之哉! 沽之哉! 我待價者也)" 라고 대답했다. '待價而沽'는 이 고사에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