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겸손.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겸손. Show all posts

別無長物 (별무장물)

別無長物(별무장물)

別 나눌 별, 다를 별 | 無 없을 무 | 長 길 장, 어른 장 | 物 물건 물 |

필요한 것 이외에는 갖지 않음. 검소한 생활(生活)


당(唐) 나라 때 태종(太宗:598~649)의 지시로 644년에 편찬한《진서(晉書)》의〈왕공전(王恭傳)〉에 나오는 말이다.

동진(東晉:317~419) 시대에 청렴결백하고 지조가 있는 인격자 왕공(王恭)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태자(太子)의 스승을 지낸 사람이었지만 생활이 매우 검소하였다. 사람들은 그의 청렴결백에 대해 “반드시 큰 인물이 될 것이라”고 하면서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송하였다고 한다.

그가 태어난 곳인 회계(會稽:지금의 저장성)에서 수도인 건강(建康:지금의 난징)으로 아버지와 함께 갔을 때의 일이다. 화려한 도시의 모습에 전혀 동요하지 않고 그의 질박하고 검소한 생활은 건강에서도 변함이 없었는데, 친척인 왕침(王枕)이 찾아왔다. 왕침 또한 태자의 스승을 지냈던 사람이었다.

두 사람은 대나무 돗자리에 않아서 정답게 대화를 나누었다. 왕침은 왕공이 그 돗자리를 대나무의 명산지인 회계에서 가져왔을 것이므로 몇 개가 더 있겠지라는 생각에 돗자리가 매우 마음에 들어 달라고 하였다. 그러자 왕공은 주저하지 않고 그냥 주어 버렸고, 자신은 들에 널려 있는, 하찮은 풀로 엮은 자리를 깔고 생활하였다.

우연히 이 소식을 들은 왕침은 너무나도 놀란 나머지 다시 돌려주려고 하다가 일단 왜 그랬는지 물어보았다. 왕공이 “나에게 그 돗자리는 별무장물(別無長物)이네[恭作人無長物]”라고 대답하였다. 왕침은 왕공의 검소한 생활에 새삼 경의를 표시하고 우의를 더욱 돈독히 하였다.

별무장물은 왕공의 청렴결백하고 검소한 생활을 표현한 것에서 유래하며, 자신에게 불필요한 물건은 취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출전

진서(晉書) 왕공전(王恭傳) | 세설신어(世說新語) 덕행(德行)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別無長物(별무장물) |

半部論語 (반부논어)

半部論語(반부논어)

半 반 반 | 部 분류 부, 떼 부, 거느릴 부 | 論 논할 논(론), 조리 윤(륜) | 語 말씀 어 |

반 권의 논어라는 뜻으로, ①학습(學習)의 중요함을 이르는 말 ②자신의 지식을 겸손(謙遜)하게 이르는 말


송(宋)나라 나대경(羅大經)이 쓴 학림옥로(鶴林玉露)에 실린 이야기.

북송(北宋) 초, 산동(山東)에 조보(趙普)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일찍이 송 태조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여 송나라를 건국하게 하였다. 그러나 그는 어릴 때부터 전쟁터에 나가느라 글공부를 할 틈이 없어 학문에 어두웠으므로, 늘 이 점을 염려하여 퇴근한 뒤에는 두문불출(杜門不出)하며 글을 읽어 마침내 많은 학식을 갖추게 되었다.

태종(太宗)이 제위를 계승하자, 그는 승상에 임용되어 국가를 매우 잘 다스렸다. 그러나 시기하는 사람들이 그를 몰아내기 위해, 그가 겨우 논어 밖에 읽지 않아 학식이 없는데다, 별다른 재능도 없어서 중책을 맡기 어렵다고 모략하였다. 송 태종이 이를 알고 조보에게 묻자, 조보는 조금도 숨기지 않고 대답하였다.

"신(臣)이 평생에 아는 바는 분명히 논어를 넘지 못합니다. 하지만 저는 논어의 절반 지식으로 태조(太祖)께서 천하를 평정하시는 일을 도왔으며, 이제는 그 나머지 절반의 지식으로 폐하께서 태평성대를 이룩하시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臣平生所知 誠不出此 昔以其半輔太祖定天下 今欲以其半輔陛下治太平]."

나중에 조보가 죽은 뒤 가족이 유품을 정리하다가 그의 책 상자를 열어 보니, 정말 《논어》밖에 들어 있지 않았다고 한다. 반부논어는 위의 글에서 유래한 말로, '반부논어치천하(半部論語治天下)'라고도 쓴다. 모름지기 학문을 하는 사람은 이렇듯 자신의 지식을 겸손해할 줄도 알아야 함을 이른 말이다.


출전

나대경(羅大經)의 학림옥로(鶴林玉露)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반부논어치천하(半部論語治天下)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