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千載一遇 (천재일우)

千載一遇(천재일우)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載 실을 재, 떠받들 대 | 一 한 일 | 遇 만날 우 |

千載는 천년. 그러니까 천년에 한 번 만날 수 있는 기회란 뜻으로 지극히 드문 좋은 기회의 비유로 쓰인다.

a rare opportunity


이 千載一遇란 말은 文選(문선)에 실려있는 三國名臣序(삼국명신서찬)이란 글에 나오는 문구다. 작자는 東晋(동진)의 학자 袁宏(원굉)이다.

文才(문재)는 있었지만 생활이 곤궁했던 원굉은 수송선의 인부노릇을 하고 있다가 우연한 기회에 실력자의 눈에 띄어 동양군의 태수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관직에 있는 동안 詩文(시문) 3백편을 남겼는데 그 중에서도 유명한 것이 「삼국명신서찬」. 이것은 魏(위) 蜀(촉) 吳(오) 삼국의 건국공신 20명을 골라 그 한 사람 한 사람을 칭찬하는 (찬․한구에 4자로 된 운문)을 짓고 거기에 서문을 붙인 것이다. 그중 위(魏)나라의 순문약을 찬양한 글에서 원굉은 이렇게 쓰고있다.

대저 伯樂(백락)을 만나지 못하면 천년이 지나도 천리마는 없으리라
夫未遇伯樂 則千載無一驥 (부미우백락 즉천재무일기).

다시 말하면 좋은 말을 알아보는데 명수인 백락을 만나지 않고서는 천년이 지난다 해도 천리마 한 마리를 발견해낼 수 없다는 것은 어진 신하가 名君(명군)을 만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쓴 것이다. 이어 원굉은 다음과 같이 이렇게 쓰고 있다.

대저 만 년에 한 번 기회가 오는 것은 이 세상의 공통된 법칙이며 천년에 한 번 만나는 것은 어진 사람과 지혜로운 사람의 아름다운 만남이로다. 이런 기회를 만나면 그 누가 기뻐하지 않으며 이를 놓치면 그 누가 한탄하지 않으랴.
夫萬歲一期 有生之通塗․(부만세일기 유생지통도). 千載一遇 賢智之嘉會․ (천재일우 현지지가회).遇之不能無欣 喪之何能無慨․(우지불능무흔 상지하능무개).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千歲一時(천세일시) | 千载难逢(천재난봉,qiānzǎinánféng) | 千載一時(천재일시) | 千载一时(qiānzǎiyìshí) | 千載一遇(천재일우) |

반의어

司空见惯(사공견관,sīkōngjiànguàn) |


관련 작품

文選(문선) 蕭統(소통, 501~531) | 三國名臣序(삼국명신서찬) 袁宏(원굉, 328~376) |

千紫萬紅 (천자만홍)

千紫萬紅(천자만홍)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紫 자줏빛 자 | 萬 일만 만 | 紅 붉을 홍, 상복 공 |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의 빛깔이라는 뜻으로, ①색색의 꽃이 피어 있는 상태(狀態)를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②사물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모양.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모양. 사업이 번창하는 모양

blaze of color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萬紫千紅(만자천홍) | 万紫千红(wànzǐqiānhóng) | 千紫萬紅(천자만홍) |

千仞萬丈 (천인만장)

千仞萬丈(천인만장)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仞 길 인, 길(길이의 단위) 인 | 萬 일만 만 | 丈 어른 장, 장(길이의 단위, 열 자) 장, 길이 장 |

천길 만길이라는 뜻으로 매우 높거나 깊음을 의미.

千仞斷崖 (천인단애)

千仞斷崖(천인단애)

千 일천 천,밭두둑 천,그네 천 | 仞 길 인 | 斷 끊을 단 | 崖 언덕 애 |

천 길 낭떠러지.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千仞絶壁(천인절벽) |

千言萬語 (천언만어)

千言萬語(천언만어)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言 말씀 언, 화기애애할 은 | 萬 일만 만 | 語 말씀 어 |

천 마디 만 마디 말이라는 뜻으로, 수 많은 말.

千里之行始於足下 (천리지행시어족하)

천리지행 시어족하(千里之行 始於足下). 천리길도 발아래부터 시작된다.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말.

千慮一失 (천려일실)

千慮一失(천려일실)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慮 생각할 려(여), 사실할 록(녹) | 一 한 일 | 失 잃을 실, 놓을 일 |

천번의 생각에 한번의 실수라는 뜻으로, ①지혜(智慧)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하나쯤은 실수(失手)가 있을 수 있다는 말 ②여러 번 생각하여 신중(愼重)하고 조심스럽게 한 일에도 때로는 실수(失手)가 있음


한나라 고조의 명에 따라 대군을 이끌고 조나라로 쳐들어간 한신(韓信)은 결전을 앞두고 '적장 이좌거를 사로잡는 장병에게는 천금을 주겠다'고 공언했다. 지덕을 겸비한 그를 살리고 싶었기 때문이다.

漢(한)나라의 장군 韓信(한신)이 趙(조)나라를 공격했다.조나라의 탁월한 전략가 李左車(이좌거)는 主君(주군)에게 3만명의 군대를 보내주면 한신이 쳐들어올 길목을 끊겠다고 歎願(탄원)했다. 그러나 주군은 이 말을 받아 들이지 않았다.그 결과 조나라는 싸움에서 크게 패하여 나라는 망하고 말았다.이좌거의 작전이 받아들여졌다면 한신은 아예 조나라를 정벌할 마음조차 먹지 않았을 것이다. 미리 첩자를 보내 이좌거의 작전이 채택되지 않은 것을 안 한신은 마음놓고 조나라를 쳤던 것이다.

이좌거는 포로가 되어 한신(韓信) 앞에 끌려 나왔다. 한신(韓信)은 손수 포박을 풀어준 뒤 상석에 앉히고 주연을 베풀어 위로(慰勞)했다. 그리고 허리를 굽혀 한나라의 천하통일(統一天下)에 마지막 걸림돌로 남아 있는 연, 제에 대한 공략책을 물었다. 그러나 이좌거는 '패한 장수는 병법을 논하지 않는 법'이라며 입을 굳게 다물었다. 한신(韓信)이 재삼 정중히 청하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패한 장수는 병법에 대해 말할 자격이 없습니다』하며 거절했지만 끈질긴 한신의 간청에 마음이 움직여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반드시 하나쯤은 실책이 있고[智者千慮 必有一失 (지자천려 필유일실)],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반드시 하나쯤은 득책이 있다[愚者千慮 必有一得 (우자천려 필유일득)]고 했습니다.그러니, 패장의 생각 가운데 하나라도 득책이 있으면 이만 다행이 없을까 합니다.』하고 말한 뒤 연나라와 제나라를 쳐부술 계책을 말해주었다. 그 후 이좌거는 한신(韓信)의 참모가 되어 크게 공헌(貢獻)했다고 한다.

출전
사기(史記)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智者一失(지자일실) |

반의어·상대어

千慮一得(천려일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