程門立雪(정문입설)
程门立雪(Chéngménlìxuě)
程 한도 정,길 정 | 門 문 문 | 立 설 입(립) | 雪 눈 설 |
'정씨 집 문 앞에 서서 눈을 맞다'라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을 존경함 또는 간절히 배움을 구하는 자세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송(宋)나라 때 양시(楊時)와 유초(游酢 또는 遊酢)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양시와 유초는 북송(北宋) 때의 대유학자 정호(程顥)의 제자였다. 정호가 세상을 떠난 뒤에 양시와 유초는 정호의 동생인 정이를 스승으로 섬기고자 찾아갔다. 그들이 정이의 집에 이르렀을 때, 마침 정이는 눈을 감고 좌정하여 명상에 잠겨 있었다.
두 사람은 조용히 서서 정이가 눈을 뜨기를 기다렸는데, 이때 밖에는 눈이 내리기 시작하였다. 한참 뒤에 정이가 눈을 뜨고 양시와 유초를 보았을 때, 문 밖에는 눈이 한 자나 쌓여 있었다. 그렇게 오랜 시간이 지날 때까지 두 사람은 스승을 뵙고자 말없이 서서 기다렸던 것이다.
이 고사는 《송사(宋史)》의 〈양시전(楊時傳)〉에 실려 있다. 양시와 유작은 이와 같이 배움을 간절히 구하는 자세로 학문에 정진하여, 여대림(呂大臨)·사양좌(謝良佐)와 함께 정문(程門:정호와 정이의 문하)의 4대 제자로 꼽힌다. 이들의 고사에서 유래하여 정문입설은 스승을 존경하는 제자의 마음이나 배움을 간절히 구하는 자세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유래]
宋史(송사):楊時傳(양시전) | 名臣言行錄(명신언행록) |
宋史, 송사, 宋史:楊時傳, 송사:양시전, 名臣言行錄, 명신언행록
Showing posts with label 송사.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송사. Show all posts
一網打盡 (일망타진)
一網打盡(일망타진)
한 그물에 모두 다 두드려 잡음. 곧 한꺼번에 모조리 체포함.
송(宋)나라의 인종은 온유하고 겸손한 성품으로 학문(學問)을 숭상하고 인재를 등용(登用ㆍ登庸)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그때에 명신인 범중엄(范仲淹), 구양수(歐陽脩), 사마광(司馬光),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顥) 등이 황제(皇帝)를 보필했다. 한편, 현사(賢士)들이 제각기 정론을 제기하게 되니 당파가 생기게 되어 자주 대신들이 바뀌게 되었다. 두연(杜衍)이 승상이 되었을 때에는 황제(皇帝)가 대신들과 상의하지 않고도 조칙(詔勅)을 내리는 것이 관례(이를 內隆이라 함)였다. 그러나 두연은 정도(政道)에 어긋난다 하여 내강이 내려도 보류했다가 10여 장이 모이면 황제(皇帝)에게 도로 반송했다. 이 같은 두연의 행동(行動)은 성지(聖旨)를 마음대로 굽히는 것이라 해 많은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이때에 두연의 사위 소순흠(蘇舜欽)이 공금을 횡령하여 제사를 지내고 손님 접대에 탕진했다는 죄목으로 붙잡혔다. 두연을 못마땅하게 여겨 온 어사 왕공진(王拱辰)은, 기회는 이때다 하고 이를 엄중히 처단했다. 그리고는 손뼉을 탁 치면서 "일망타진했도다."라고 말했다 함
관련 한자어
출전: 송사(宋史)의 인종기(仁宗紀)
관련 한자어
유의어
網打(망타) |
한 그물에 모두 다 두드려 잡음. 곧 한꺼번에 모조리 체포함.
송(宋)나라의 인종은 온유하고 겸손한 성품으로 학문(學問)을 숭상하고 인재를 등용(登用ㆍ登庸)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그때에 명신인 범중엄(范仲淹), 구양수(歐陽脩), 사마광(司馬光),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顥) 등이 황제(皇帝)를 보필했다. 한편, 현사(賢士)들이 제각기 정론을 제기하게 되니 당파가 생기게 되어 자주 대신들이 바뀌게 되었다. 두연(杜衍)이 승상이 되었을 때에는 황제(皇帝)가 대신들과 상의하지 않고도 조칙(詔勅)을 내리는 것이 관례(이를 內隆이라 함)였다. 그러나 두연은 정도(政道)에 어긋난다 하여 내강이 내려도 보류했다가 10여 장이 모이면 황제(皇帝)에게 도로 반송했다. 이 같은 두연의 행동(行動)은 성지(聖旨)를 마음대로 굽히는 것이라 해 많은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이때에 두연의 사위 소순흠(蘇舜欽)이 공금을 횡령하여 제사를 지내고 손님 접대에 탕진했다는 죄목으로 붙잡혔다. 두연을 못마땅하게 여겨 온 어사 왕공진(王拱辰)은, 기회는 이때다 하고 이를 엄중히 처단했다. 그리고는 손뼉을 탁 치면서 "일망타진했도다."라고 말했다 함
관련 한자어
출전: 송사(宋史)의 인종기(仁宗紀)
관련 한자어
유의어
網打(망타) |
雪中送炭 (설중송탄)
雪中送炭(설중송탄)
雪中送炭[xuězhōngsòngtàn]
雪 눈 설 | 中 가운데 중 | 送 보낼 송 | 炭 숯 탄 |
눈 속에 있는 사람에게 땔감을 보내준다는 뜻으로, 급(急)히 필요할 때 필요한 도움을 줌을 이르는 말
송사(宋史) 태종기(太宗紀)의 이야기.
북송(北宋) 초, 토지 겸병을 둘러싼 귀족들의 분란이 깊어지자, 일반 백성들의 삶은 몹시 궁핍해졌다.
서기 993년, 즉 북송 태종(太宗) 조광의(趙光義) 순화(淳化) 4년 봄, 빈곤을 참지 못한 농민 왕소파(王小波)와 이순(李順) 등은 많은 농민들을 이끌고 사천(四川)에서 봉기하였다.
그 해 겨울, 여러 날 동안 눈이 내리고 날씨 또한 매우 추웠다. 태종인 조광의(趙光義)는 왕소파 이순 등의 농민 봉기에 두려움을 느껴 죽을 지경이었다. 그는 이렇게 추운 날씨에 다시 봉기가 일어날까 염려되어, 사람을 시켜 몇몇 외롭고 늙은 가난한 백성들에게 돈과 쌀과 땔감을 보냈다[雨雪大寒, 遣中使賜孤老貧窮人千錢米炭].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민심을 수습하려 생각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아부 잘하는 사관(史官)으로 하여금 이 일을 역사에 기록하게 하였다.
二月己未朔,日有食之。壬戌,召賜京城高年帛,百歲者一人加賜塗金帶。是日,雨雪,大寒,再遣中使賜孤老貧窮人千錢、米炭。
출전
송사(宋史) 권5 태종본기(太宗本紀)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雪里送炭[xuělǐsòngtàn, 설리송탄] 다른 사람이 급할 때 도움을 주다 |
반의어·상대어
落井下石 [luòjǐngxiàshí, 낙정하석] 남의 어려움을 틈타 해를 가하다 | 乘人之危 [chéngrénzhīwēi, 승인지위] 남의 위급한 상황을 틈타 남을 해치다 |
중요도·활용도
雪中送炭[xuězhōngsòngtàn]
雪 눈 설 | 中 가운데 중 | 送 보낼 송 | 炭 숯 탄 |
눈 속에 있는 사람에게 땔감을 보내준다는 뜻으로, 급(急)히 필요할 때 필요한 도움을 줌을 이르는 말
송사(宋史) 태종기(太宗紀)의 이야기.
북송(北宋) 초, 토지 겸병을 둘러싼 귀족들의 분란이 깊어지자, 일반 백성들의 삶은 몹시 궁핍해졌다.
서기 993년, 즉 북송 태종(太宗) 조광의(趙光義) 순화(淳化) 4년 봄, 빈곤을 참지 못한 농민 왕소파(王小波)와 이순(李順) 등은 많은 농민들을 이끌고 사천(四川)에서 봉기하였다.
그 해 겨울, 여러 날 동안 눈이 내리고 날씨 또한 매우 추웠다. 태종인 조광의(趙光義)는 왕소파 이순 등의 농민 봉기에 두려움을 느껴 죽을 지경이었다. 그는 이렇게 추운 날씨에 다시 봉기가 일어날까 염려되어, 사람을 시켜 몇몇 외롭고 늙은 가난한 백성들에게 돈과 쌀과 땔감을 보냈다[雨雪大寒, 遣中使賜孤老貧窮人千錢米炭].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민심을 수습하려 생각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아부 잘하는 사관(史官)으로 하여금 이 일을 역사에 기록하게 하였다.
二月己未朔,日有食之。壬戌,召賜京城高年帛,百歲者一人加賜塗金帶。是日,雨雪,大寒,再遣中使賜孤老貧窮人千錢、米炭。
출전
송사(宋史) 권5 태종본기(太宗本紀)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雪里送炭[xuělǐsòngtàn, 설리송탄] 다른 사람이 급할 때 도움을 주다 |
반의어·상대어
落井下石 [luòjǐngxiàshí, 낙정하석] 남의 어려움을 틈타 해를 가하다 | 乘人之危 [chéngrénzhīwēi, 승인지위] 남의 위급한 상황을 틈타 남을 해치다 |
중요도·활용도
莫须有 (막수유, mòxūyǒu)
莫须有(막수유)
莫须有(mòxūyǒu)
莫 없을 막 | 須 마땅히 수,수염 수 | 有 있을 유 |
(죄명을) 날조하다. 뒤집어씌우다.
어쩌면 있을 것이다. 아마 있을 것이다. 《송사·악비전(宋史·岳飛傳)》에서 간신 진회(秦檜)가 악비(岳飛)를 반역죄로 무고했는데, 한세충(韓世忠)이 그 증거가 있는지를 묻자 진회(秦檜)가 ‘莫须有’라고 대답한 고사에서 유래함.
宋史(송사) : 岳飛傳(악비전) |
莫须有(mòxūyǒu)
莫 없을 막 | 須 마땅히 수,수염 수 | 有 있을 유 |
(죄명을) 날조하다. 뒤집어씌우다.
어쩌면 있을 것이다. 아마 있을 것이다. 《송사·악비전(宋史·岳飛傳)》에서 간신 진회(秦檜)가 악비(岳飛)를 반역죄로 무고했는데, 한세충(韓世忠)이 그 증거가 있는지를 묻자 진회(秦檜)가 ‘莫须有’라고 대답한 고사에서 유래함.
宋史(송사) : 岳飛傳(악비전)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