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高馬肥(천고마비)
天 하늘 천 | 高 높을 고 | 馬 말 마 | 肥 살찔 비 |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뜻으로,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가을이 썩 좋은 절기(節氣)임을 일컫는 말.
원래 이 말은 중국 역사상 끊임없이 북방 변경을 괴롭혀 온 흉노족을 경계한 데서 유래됐다. 흉노족은 초원에서 목축과 수렵으로 살아가던 부족이다. 이들에게 겨울은 추위와 궁핍의 계절이므로 말이 살찌고 하늘이 높아지는 가을만 되면 농경민족인 한족들이 사는 변방을 약탈하여 먹을 것을 쌓아놓아야만 했다. 萬里長城(만리장성)도 따지고보면 흉노족의 끊임없는 침입을 막으려, 주나라때부터 변경에 쌓았던 성벽들을 증축한 것이다.
천고마비란 말은 두보의 할아버지 두심언의 시귀 '雪淨妖星落 秋高塞馬肥'(눈발은 깨끗하고 요염한 별빛처럼 흩날리고, 가을하늘 드높으니 변방의 말은 살이 오른다)에서 비롯됐다.
출전
한서(漢書)의 흉노전(匈奴傳)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燈火可親(등화가친) | 新凉燈火(신량등화) | 天高馬肥(천고마비) | 秋高气爽(qiūgāoqìshuǎng, 추고기상) | 秋高馬肥(추고마비) |
Showing posts with label 가을.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가을. Show all posts
一刻三秋 (일각삼추)
一刻三秋(일각삼추)
一 한 일 | 刻 새길 각 | 三 석 삼 | 秋 가을 추 |
시경(詩經) 왕풍(王風)에는 남녀간의 애틋한 사랑을 그린 채갈(采葛) 이라는 시(詩)가 있다.
그대 칡 캐러 가시어 하루동안 못 뵈어도 석달이나 된 듯하고[彼采葛兮 一日不見 如三月兮], 그대 대쑥 캐러 가시어 하루동안 못 뵈어도 아홉달이나 된 듯하고[彼采蕭兮 一日不見 如三秋兮], 그대 약쑥 캐러 가시어 하루동안 못 뵈어도 세 해나 된 듯하네[彼采艾兮 一日不見 如三歲兮].
고대 중국에서는 일주야(一晝夜)를 일백각(一百刻)으로 나누었는데, 절기(節氣)나 주야(晝夜)에 따라 약간 다르다. 예컨대, 동지에는 낮이 45각, 밤이 55각이었고, 하지에는 낮 65각, 밤 35각이었다. 춘분과 추분에는 낮이 55각반이었고, 밤은 44각반이었다. 청(淸)대에 이르러서는 시종(時鐘)으로 시간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현대 중국어에서는 15분을 一刻이라 한다. 하지만 옛사람들은 一刻 이라는 말로써 매우 짧은 시간을 표현하였다. 一刻三秋나 一刻如三秋(일각여삼추) 라는 말은 이 시의 一日三秋 라는 표현에서 유래된 것으로 모두 같은 의미이다.
一刻三秋란 짧은 시간도 삼년같이 느껴질 정도로 그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함을 나타낸 말이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一日千秋(일일천추) | 一日如三秋(일일여삼추) | 一日三秋(일일삼추) | 一刻三秋(일각삼추) | 三秋之思(삼추지사) | 一刻如三秋(일각여삼추) |
一 한 일 | 刻 새길 각 | 三 석 삼 | 秋 가을 추 |
시경(詩經) 왕풍(王風)에는 남녀간의 애틋한 사랑을 그린 채갈(采葛) 이라는 시(詩)가 있다.
그대 칡 캐러 가시어 하루동안 못 뵈어도 석달이나 된 듯하고[彼采葛兮 一日不見 如三月兮], 그대 대쑥 캐러 가시어 하루동안 못 뵈어도 아홉달이나 된 듯하고[彼采蕭兮 一日不見 如三秋兮], 그대 약쑥 캐러 가시어 하루동안 못 뵈어도 세 해나 된 듯하네[彼采艾兮 一日不見 如三歲兮].
고대 중국에서는 일주야(一晝夜)를 일백각(一百刻)으로 나누었는데, 절기(節氣)나 주야(晝夜)에 따라 약간 다르다. 예컨대, 동지에는 낮이 45각, 밤이 55각이었고, 하지에는 낮 65각, 밤 35각이었다. 춘분과 추분에는 낮이 55각반이었고, 밤은 44각반이었다. 청(淸)대에 이르러서는 시종(時鐘)으로 시간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현대 중국어에서는 15분을 一刻이라 한다. 하지만 옛사람들은 一刻 이라는 말로써 매우 짧은 시간을 표현하였다. 一刻三秋나 一刻如三秋(일각여삼추) 라는 말은 이 시의 一日三秋 라는 표현에서 유래된 것으로 모두 같은 의미이다.
一刻三秋란 짧은 시간도 삼년같이 느껴질 정도로 그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함을 나타낸 말이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一日千秋(일일천추) | 一日如三秋(일일여삼추) | 一日三秋(일일삼추) | 一刻三秋(일각삼추) | 三秋之思(삼추지사) | 一刻如三秋(일각여삼추) |
燈火可親 (등화가친)
燈火可親(등화가친)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읽기에 심기(心氣)가 좋다는 뜻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燈火可親(등화가친) | 新凉燈火(신량등화) | 天高馬肥(천고마비) | 秋高气爽(qiūgāoqìshuǎng, 추고기상) | 秋高馬肥(추고마비) |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읽기에 심기(心氣)가 좋다는 뜻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燈火可親(등화가친) | 新凉燈火(신량등화) | 天高馬肥(천고마비) | 秋高气爽(qiūgāoqìshuǎng, 추고기상) | 秋高馬肥(추고마비)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