盲玩丹靑(맹완단청)
장님의 단청 구경. 보이지 않는 눈으로 단청을 구경해 봤자 아무런 소득이나 분별이 있을 수 없듯이, 사물을 보아도 전혀 사리를 분별하지 못함의 비유.
Showing posts with label 맹.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맹. Show all posts
孟母三遷之敎 (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孟 : 맏 맹| 母 : 어미 모| 三 : 석 삼| 遷 : 옮길 천| 之 : 어조사 지| 敎 : 가르칠 교
맹자(孟子)의 어머니가 자식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뜻으로, 인간의 성장에 있어서 그 환경이 중요함을 가리키는 말.
孟 : 맏 맹| 母 : 어미 모| 三 : 석 삼| 遷 : 옮길 천| 之 : 어조사 지| 敎 : 가르칠 교
맹자(孟子)의 어머니가 자식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뜻으로, 인간의 성장에 있어서 그 환경이 중요함을 가리키는 말.
孟母三遷 (맹모삼천)
孟母三遷(맹모삼천)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의 준말. 환경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여, 맹자어머니가 세 번이나 이사를 하면서 맹자의 교육에 힘썼다는 고사.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의 준말. 환경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여, 맹자어머니가 세 번이나 이사를 하면서 맹자의 교육에 힘썼다는 고사.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孟母斷機 (맹모단기)
맹모단기(孟母斷機)
맹자 어머니가 베의 날실을 끊다. 시작했으면 끝을 보아야 한다.
타향에서 공부하던 어린 맹자가 느닷없이 집에 돌아왔을 때 맹자의 어머니는 베틀에 앉은 채 맹자에게 물었다.
"그래, 글은 얼마나 배웠느냐?"
"별로 배우지 못했습니다. 어머님."
맹자가 대답하자 어머니는 짜고 있던 베의 날실을 끊어버리며 말했다.
"네가 공부를 중도에 그만두고 돌아온 것은 지금 내가 짜고 있던 이 베의 날실을 끊어 버린 것과 다를 게 없다."
시작했으면 끝을 보아야 하는 이치는 단지 학문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일이든 마음먹었으면 끝까지 도전해보십시오.
맹자 어머니가 베의 날실을 끊다. 시작했으면 끝을 보아야 한다.
타향에서 공부하던 어린 맹자가 느닷없이 집에 돌아왔을 때 맹자의 어머니는 베틀에 앉은 채 맹자에게 물었다.
"그래, 글은 얼마나 배웠느냐?"
"별로 배우지 못했습니다. 어머님."
맹자가 대답하자 어머니는 짜고 있던 베의 날실을 끊어버리며 말했다.
"네가 공부를 중도에 그만두고 돌아온 것은 지금 내가 짜고 있던 이 베의 날실을 끊어 버린 것과 다를 게 없다."
시작했으면 끝을 보아야 하는 이치는 단지 학문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일이든 마음먹었으면 끝까지 도전해보십시오.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