負重致遠(부중치원)
負 질 부 | 重 무거울 중, 아이 동 | 致 이를 치, 빽빽할 치 | 遠 멀 원 |
무거운 물거운 지고 먼 곳까지 간다는 뜻으로, 중요한 직책을 맡음을 이르는 말
삼국지(三國志) 촉서(蜀書) 방통전(龐統傳)의 이야기.
중국 후한(後漢)이 멸망한 뒤 위(魏)·오(吳)·촉한(蜀漢) 등 3국이 정립했던 삼국시대에 동오(東吳)의 대도독(大都督)이었던 주유(周瑜:175∼210)가 병으로 죽자, 그의 친구인 방통은 몹시 슬퍼하며 달려와 조문을 하였다.
박학다식하고 명성이 높은 방통이 동오지방에 오자, 육적(陸績), 고소(顧邵), 전종(全琮) 등 이름난 오나라의 선비들도 참석하여 방통과 친분을 맺었다. 문상을 마치고 방통을 환송하는 술자리를 마련하고 대화를 나누었다. 이 자리에서 방통은 사람들에 대한 평을 하면서 말했다.
"육적은 잘 달리는 말처럼 재능이 뛰어나고, 고소는 힘든 일을 이겨내며 일하는 소처럼 무거운 짐을 지고 멀리 갈 수 있으며[顧子可謂駑牛能負重致遠也], 전종은 지혜가 조금 부족하지만 이 시대의 인재입니다."
이에 어떤 사람이 방통에게 물었다.
"그렇다면 육적의 재능이 고소를 능가한다는 뜻입니까?"
그러자 방통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말은 민첩하여 빠르게 달릴 수 있지만, 한 사람 밖에 태울 수 없소. 하지만 소는 하루에 삼백리를 갈 수 있거니와, 소가 짊어진 짐이 어찌 한 사람의 몸 무게만 되겠소?"
방통의 말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무거운 짐을 지고 먼 곳까지 간다는 뜻인데, 직무상의 중요한 책임을 맡을 만큼 역량을 지닌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서(蜀書) 방통전(龐統傳)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Showing posts with label 삼국지(三國志).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삼국지(三國志). Show all posts
大器晩成 (대기만성)
大器晩成(대기만성)
大 클 대, 큰 대, 클 태, 클 다 | 器 그릇 기 | 晩 늦을 만 | 成 이룰 성 |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①크게 될 인물(人物)은 오랜 공적(功績)을 쌓아 늦게 이루어짐 ②또는, 만년(晩年)이 되어 성공(成功)하는 일을 이름
a late bloomer
노자 41장은 이렇게 말한다.
가장 큰 인물이 道(도)를 들으면 힘써 행하려고 노력한다. 중간쯤의 인물이 도를 들으면 그 도에 대한 믿음과 의심이 반반이다. 가장 못한 인물이 도를 들으면 一笑(일소)에 부치고 만다. 그들의 웃음을 살 정도가 아니면 진정한 도라고 할 수 없다. 그래서 옛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밝은 도는 어두운 것 같고 나아가는 도는 물러서는 것 같고 평탄한 도는 험한 것 같다. 최상의 덕은 골짜기와 같고 아주 흰 것은 더러운 것 같고 넓은 덕은 부족한 것 같고 변함없은 덕은 변하는 것 같다. 아주 큰 네모는 구석이 없으며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大器晩成].
三國志(삼국지)에도 大器晩成이 등장한다.
동한(東漢) 말년, 원소(袁紹)의 측근에 崔琰(최염)이라는 식객이 있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무술을 좋아하여, 23세에야 논어 등을 공부하였다. 그는 처음 원소의 부하로 일했으나, 후에는 조조(曹操)의 휘하로 갔다. 최염은 당당한 풍채에 우렁찬 목소리를 갖고 있는 호걸풍의 인물로 인품도 좋아 曹操(조조)도 그를 총애하여 魏(위)나라의 상서(尙書)를 지내며 태자 옹립문제를 해결하여 공정한 관리로 인정받았다.
그런 최염에게 崔林(최림)이라는 사촌동생이 있었다. 최림은 사촌 형과 전혀 딴판이어서 외모도 시원치 않은 데다가 구변도 신통치 못해 출세와는 거리가 먼 길을 걷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일가 친척들도 최림은 눈 밖에 두고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최염만은 달랐다.
"큰 종이나 큰 솥은 쉽게 만들어지는게 아니네. 사람도 마찬가지여서 대성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마련이지. 내 아우도 그런 大器晩成형이니까 언젠가는 큰 인물이 될터이니 두고 보게나."
최염의 장담대로 최림은 나중에 크게 출세하여 天子(천자)를 보좌하는 三公(삼공)중의 한사람이 된다.
출전
노자(老子) |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최염(崔琰)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大 클 대, 큰 대, 클 태, 클 다 | 器 그릇 기 | 晩 늦을 만 | 成 이룰 성 |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①크게 될 인물(人物)은 오랜 공적(功績)을 쌓아 늦게 이루어짐 ②또는, 만년(晩年)이 되어 성공(成功)하는 일을 이름
a late bloomer
노자 41장은 이렇게 말한다.
가장 큰 인물이 道(도)를 들으면 힘써 행하려고 노력한다. 중간쯤의 인물이 도를 들으면 그 도에 대한 믿음과 의심이 반반이다. 가장 못한 인물이 도를 들으면 一笑(일소)에 부치고 만다. 그들의 웃음을 살 정도가 아니면 진정한 도라고 할 수 없다. 그래서 옛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밝은 도는 어두운 것 같고 나아가는 도는 물러서는 것 같고 평탄한 도는 험한 것 같다. 최상의 덕은 골짜기와 같고 아주 흰 것은 더러운 것 같고 넓은 덕은 부족한 것 같고 변함없은 덕은 변하는 것 같다. 아주 큰 네모는 구석이 없으며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大器晩成].
三國志(삼국지)에도 大器晩成이 등장한다.
동한(東漢) 말년, 원소(袁紹)의 측근에 崔琰(최염)이라는 식객이 있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무술을 좋아하여, 23세에야 논어 등을 공부하였다. 그는 처음 원소의 부하로 일했으나, 후에는 조조(曹操)의 휘하로 갔다. 최염은 당당한 풍채에 우렁찬 목소리를 갖고 있는 호걸풍의 인물로 인품도 좋아 曹操(조조)도 그를 총애하여 魏(위)나라의 상서(尙書)를 지내며 태자 옹립문제를 해결하여 공정한 관리로 인정받았다.
그런 최염에게 崔林(최림)이라는 사촌동생이 있었다. 최림은 사촌 형과 전혀 딴판이어서 외모도 시원치 않은 데다가 구변도 신통치 못해 출세와는 거리가 먼 길을 걷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일가 친척들도 최림은 눈 밖에 두고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최염만은 달랐다.
"큰 종이나 큰 솥은 쉽게 만들어지는게 아니네. 사람도 마찬가지여서 대성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마련이지. 내 아우도 그런 大器晩成형이니까 언젠가는 큰 인물이 될터이니 두고 보게나."
최염의 장담대로 최림은 나중에 크게 출세하여 天子(천자)를 보좌하는 三公(삼공)중의 한사람이 된다.
출전
노자(老子) |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최염(崔琰)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