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負荊請罪 (To beg forgiveness)

負荊請罪 (To beg forgivenes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B.C. 403-221) in the kingdom of Zhao, there was a general named Lian Po who held an important position at court.

One day, he found himself losing his popularity because of Lin Xiang Ru - another gentleman who was made a high-ranking official after retrieving the jade intact from the kingdom of Qin.

Lian believed it was unjust, so he often told people: "You know what, Lin Xiang Ru is good at pleasing the king and that`s how he made his title. Shame on him! I swear that if I meet him, I will insult him on his face!"

Lian`s condemnation was soon heard by Lin, so he tried to keep away from Lian.

One day, Lin went out with his subordinates and saw Lian from the distance; he immediately turned his vehicle around to avoid meeting Lian. However, his subordinates weren`t happy about this at all. They felt that Lin was being too cowardly.

"Why do you have to be afraid of him," asked one of his subordinates.

"I`m not even afraid of the king of Qin, so would I be afraid of Lian? If Lian and I have a conflict, do you think Qin will take this opportunity to invade our country?" said Lin. "At the moment, the security of our country is my priority."

The next day, Lian paid a visit to Lin. He had a thorn on his bare shoulder and said to Lin: "I overheard your conversation yesterday ... I`m an idiot. I`m shallow. Now, I understand how great you are!"

Since then, Lian and Lin became the closest friends.

* The idiom is used to describe a person who asks for forgiveness.

Translation

부형청죄(負荊請罪)

부(負):to carry

형(荊):thorn

청(請):to request

죄(罪):guilt

負荊請罪 (부형청죄)

負荊請罪(부형청죄)

負 질 부 | 荊 가시나무 형 | 請 청할 청 | 罪 허물 죄 |

가시 나무를 등(等)에 지고 때려 주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認定)하고 사죄(謝罪)하는 것을 의미(意味)함


사기(史記) 염파인상여(廉頗藺相如)열전의 이야기.

중국 전국(戰國)시대 조(趙)나라 혜문왕(惠文王)은 인상여와 염파라는 신하를 두었다. 이들의 명성은 널리 알려져 있었다.

인상여는 조나라의 보물인 화씨지벽을 진나라의 위협으로부터 지켜낸 인물로, 이로부터 '완벽(完璧)'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또 민지의 회합에서 혜문왕이 진나라 소양왕의 위협에 수모를 당할 상황에 처하였을 때, 인상여가 지모를 발휘하여 이를 막아냄으로써 조나라의 위엄을 지켰다. 인상여는 이러한 공을 인정받아 상경(上卿)에 임명되었다.

대장군 염파는 자신보다 나이도 어린 인상여가 더 높은 지위에 오른 데 불만을 품고 공공연히 떠들고 다녔다.

"나는 성을 공격하고 들에서 싸워 큰 공을 세웠다. 인상여는 입을 놀린 일밖에 한 일이 없는데 나보다 윗자리에 앉다니. 내 어찌 그런 자 밑에 있을 수 있겠는가. 언제고 그를 만나면 반드시 망신을 주고 말리라"

이 말을 듣고 나서부터 인상여는 일부러 염파를 피하였다. 그러자 인상여가 염파를 두려워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생겼고, 염파는 이를 알고 득의양양하였다. 인상여는 이에 대하여 "나는 진나라 왕의 위세도 두려워하지 않은 사람인데, 어찌 염파를 두려워하겠는가? 지금 진나라가 우리 조나라를 침범하지 못하는 까닭은 나와 염파가 있기 때문이다. 만일 두 호랑이가 싸우게 된다면 어느 한 쪽은 다치거나 죽기 마련이다. 내가 염파를 피해 다니는 이유는 나라의 위급함이 먼저이고 사사로운 일은 나중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하였다.

염파가 이 말을 전해 듣고는 잘못을 깨우쳐 '웃통을 벗고 가시나무를 등에 지고[肉袒負荊]' 인상여를 찾아가서는 "비천한 놈이 장군의 넓은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였으니 벌을 주시오"라고 사죄하였다. 인상여는 염파를 환대하였고, 이로부터 두 사람은 생사를 같이하는 '문경지교'를 맺게 되었다.

이 고사는 《사기》의 '염파인상여열전'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부형청죄(또는 육단부형)는 남에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죄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출전

사기(史記) 염파인상여열전(廉頗藺相如列傳)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육단부형(肉袒負荊)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負重致遠 (부중치원)

負重致遠(부중치원)

負 질 부 | 重 무거울 중, 아이 동 | 致 이를 치, 빽빽할 치 | 遠 멀 원 |

무거운 물거운 지고 먼 곳까지 간다는 뜻으로, 중요한 직책을 맡음을 이르는 말

삼국지(三國志) 촉서(蜀書) 방통전(龐統傳)의 이야기.

중국 후한(後漢)이 멸망한 뒤 위(魏)·오(吳)·촉한(蜀漢) 등 3국이 정립했던 삼국시대에 동오(東吳)의 대도독(大都督)이었던 주유(周瑜:175∼210)가 병으로 죽자, 그의 친구인 방통은 몹시 슬퍼하며 달려와 조문을 하였다.

박학다식하고 명성이 높은 방통이 동오지방에 오자, 육적(陸績), 고소(顧邵), 전종(全琮) 등 이름난 오나라의 선비들도 참석하여 방통과 친분을 맺었다. 문상을 마치고 방통을 환송하는 술자리를 마련하고 대화를 나누었다. 이 자리에서 방통은 사람들에 대한 평을 하면서 말했다.

"육적은 잘 달리는 말처럼 재능이 뛰어나고, 고소는 힘든 일을 이겨내며 일하는 소처럼 무거운 짐을 지고 멀리 갈 수 있으며[顧子可謂駑牛能負重致遠也], 전종은 지혜가 조금 부족하지만 이 시대의 인재입니다."

이에 어떤 사람이 방통에게 물었다.

"그렇다면 육적의 재능이 고소를 능가한다는 뜻입니까?"

그러자 방통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말은 민첩하여 빠르게 달릴 수 있지만, 한 사람 밖에 태울 수 없소. 하지만 소는 하루에 삼백리를 갈 수 있거니와, 소가 짊어진 짐이 어찌 한 사람의 몸 무게만 되겠소?"

방통의 말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무거운 짐을 지고 먼 곳까지 간다는 뜻인데, 직무상의 중요한 책임을 맡을 만큼 역량을 지닌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서(蜀書) 방통전(龐統傳)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