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의심.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의심. Show all posts

疑心生暗鬼 (의심생암귀, yíxīnshēngànguǐ)

疑心生暗鬼(의심생암귀)

疑心生暗鬼(yíxīnshēngànguǐ)

疑 의심할 의 | 心 마음 심 | 生 날 생 | 暗 어두울 암 | 鬼 귀신 귀|


의심이 생기면 귀신이 생긴다는 뜻으로, 의심으로 인한 망상 또는 선입견으로 인한 판단 착오를 비유한 말. 줄여서 疑心暗鬼라고도 한다.


의심하는 마음이 있으면 있지도 않은 귀신이 나오듯이 느껴진다는 뜻이다. 곧 마음 속에 의심이 생기면 갖가지 무서운 망상이 잇따라 일어나 사람은 불안해진다. 그리고 선입관은 판단을 빗나가게 한다. 《열자(列子)》〈설부편(說符篇)〉의 이야기이다. 어떤 사람이 도끼를 잃어버렸다. 도둑 맞았다는 생각이 들자, 그 중에서 이웃집 아이가 수상쩍었다. 그의 걸음걸이를 보아도 그렇고, 안색을 보아도 그렇고, 말투 또한 영락없는 도끼 도둑이었다. 그러나 며칠 후 밭두렁에서 도끼를 찾았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웃집 아이를 만났는데, 이번에는 그의 거동이 조금도 수상쩍어 보이지 않았다.

어떤 사람이 이웃집 뜰에 말라죽은 오동나무를 보았다. 주인에게 “말라죽은 오동나무는 불길합니다.”하고 충고하였다. 이 말을 들은 주인이 오동나무를 베어버렸다. 베어버린 오동나무를 땔감으로 쓰게 달라고 하자, 주인은 화를 내며 “말라죽은 오동나무를 불길하다고 한 이유는 땔감 욕심에서 비롯된 음흉함이었군요.”라고 하였다.

두 이야기 모두 편견에 관한 예이다. 세상 사람들은 자신의 이해와 관련이 없으면 일견 무심하다. 그러나 만약 자신의 이해와 얽히게 되면 아무리 옳은 것도 편견과 선입견으로 먼저 대한다. 이것이 바로 암귀이다. 남을 믿지 못하고 의심으로 가득찬 현대인이 곱씹어 보아야 할 과제이다.

다음의 《한비자韓非子》〈세난편(說難篇)〉 이야기는 편견에 대한 정수(精髓)를 보여준다. 송(宋)나라에 어떤 부자가 있었다. 어느 날 장마로 담장이 무너졌다. 그 아들이, “빨리 수리하지 않으면 도둑이 들지도 모릅니다.”하고 말하였다. 이웃에 사는 노인도 무너진 담장을 보고 같은 충고를 했다. 며칠 후 그 집에 도둑이 들었다. 부자는 아들에게는 ‘선견지명이 있다’고 하고, 노인은 ‘수상하다’고 하였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杯中蛇影(배중사영) | 杯弓蛇影(배궁사영) | 失斧疑隣(실부의린) |


열자, 列子, 열자:설부편, 列子:說符篇

半信半疑 (반신반의)

半信半疑(반신반의)

반쯤은 믿고 반쯤은 의심함.

瓜田不納履 (과전불납리)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瓜田不纳履(guātián bù nà lǚ)。

瓜 오이 과 | 田 밭 전 | 不 아닐 불, 아닐 부 | 納 들일 납 | 履 밟을 리(이), 신 리(이) |

외밭에 신을 들여 놓지 않음. 곧 남에게 의심을 살 일은 아예 하지 않음의 비유.


제(齊)나라의 위왕(威王)은 간신인 주파호(周破胡)의 옳지 않은 말만 믿고 나라를 잘못 다스렸다. 위왕의 후궁인 우희(虞姬)가 보다 못해서 왕께 간했다.

"파호는 속이 검은 사람이니 등용(登用ㆍ登庸)해서는 안되며, 북곽(北郭) 선생은 현명하고 덕행(德行)이 있는 분이라 등용(登用ㆍ登庸)하시옵소서."

이 말을 전해들은 파호는 도리어 우희와 북곽 선생 사이가 수상쩍다고 모함했다. 이에 위왕이 우희를 국문하자, 우희가 아뢰었다.

"소첩을 지금 간사한 무리들이 모함하고 있을 뿐 결백하옵니다. 만약 죄가 있다면 오이 밭에서 신을 바꾸어 신지 않고, 이원(李園)을 지날 때에 갓을 고쳐 쓰지 않는다는 가르침에 따르지 않고 의심(疑心)받을 수 있는 행위를 한 것 뿐이옵니다. 하오나 설사 죽음을 당한다 할지라도 소첩은 더 이상 변명하지 않겠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거니와 파호에게 국정을 맡기심은 나라의 장래(將來)를 위해 매우 위태(危殆)로운 일입니다."

위왕은 비로소 깨닫고 간신 아대부(阿大夫)와 파호를 삶아 죽이게 했으며, 그 후 제나라는 잘 다스려졌다고 한다.

《문선(文選)》 악부(樂府)·고사(古辭) 4수 중의 〈군자행(君子行)〉에서 나온 말로, 첫머리에 "군자방미연 불처혐의간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君子防未然 不處嫌疑間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이라는 구절이 있다.


출전

문선(文選)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 瓜田之履(과전지리) | 瓜田李下(과전이하)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