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患爲利(이환위리)
以 써 이 | 患 근심 환 | 爲 하 위, 할 위 | 利 이로울 리, 이로울 이 |
어려움을 오히려 기회로 삼으라
우회함으로써 곧장 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고, 아군의 불리한 여건을 이로움이 되도록 한다 [以迂爲直, 以患爲利]
출전
손자(孫子)
관련 한자어
참조어
以迂爲直(이우위직) | 以患爲利(이환위리) |
Showing posts with label 以.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以. Show all posts
以火救火 (이화구화)
以火救火(이화구화)
以 -로써 이 | 火 불 화 | 救 건질 구 | 火 불 화 |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방법을 생각하지 않아 오히려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것을 비유한 말.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에는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인 안회(顔回)의 대화가 실려 있다.
안회는 위(衛)나라로 떠나기에 앞서 스승에게 작별을 고하였다.
위나라 국왕은 제멋대로 독재를 한다고 합니다. 국권을 남용하고, 백성들 가운데는 죽은 자들이 많다고 합니다. 이전에 선생님으로부터 잘 다스려지는 나라에서는 떠나고, 어지러운 나라로 가라. 의사 집에 환자가 많이 모이기 마련이다라는 말씀을 들었는데, 저는 이에 따르려는 것입니다.
이에 공자는 대답했다.
위나라 왕이 어진 이를 반기고 어리석은 자를 싫어한다면, 어찌 너를 써서 다른 일을 하겠느냐? 그는 왕의 권세로 너를 누르며 능숙한 말솜씨로 이기려고 덤벼들 것이니, 이는 불을 끄려고 불을 더하고 물을 막으려고 물을 붓는 일과 같다[是以火救火, 以水救水].
以 -로써 이 | 火 불 화 | 救 건질 구 | 火 불 화 |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방법을 생각하지 않아 오히려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것을 비유한 말.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에는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인 안회(顔回)의 대화가 실려 있다.
안회는 위(衛)나라로 떠나기에 앞서 스승에게 작별을 고하였다.
위나라 국왕은 제멋대로 독재를 한다고 합니다. 국권을 남용하고, 백성들 가운데는 죽은 자들이 많다고 합니다. 이전에 선생님으로부터 잘 다스려지는 나라에서는 떠나고, 어지러운 나라로 가라. 의사 집에 환자가 많이 모이기 마련이다라는 말씀을 들었는데, 저는 이에 따르려는 것입니다.
이에 공자는 대답했다.
위나라 왕이 어진 이를 반기고 어리석은 자를 싫어한다면, 어찌 너를 써서 다른 일을 하겠느냐? 그는 왕의 권세로 너를 누르며 능숙한 말솜씨로 이기려고 덤벼들 것이니, 이는 불을 끄려고 불을 더하고 물을 막으려고 물을 붓는 일과 같다[是以火救火, 以水救水].
以迂爲直 (이우위직)
以迂爲直(이우위직)
以 써 이 | 迂 굽을 우 | 爲 할 위 | 直 곧을 직 |
'굽은 것으로써 바른 것이 되게 하다'라는 뜻으로, 우회함으로써 곧장 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두는 전략을 말한다. 《손자(孫子)》에서 유래되었다.
《손자》의 군쟁(軍爭)편에 "무릇 용병의 방법은 장수가 군주의 명령을 받아 군대를 편성하고 적과 대치하여 주둔한다. 적보다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하여 경쟁하는 것보다 어려운 일은 없는데, 이는 우회함으로써 곧장 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고, 아군의 불리한 여건을 이로움이 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以迂爲直, 以患爲利). 그러므로 그 길을 우회함으로써 적으로 하여금 자신이 유리하다고 판단하게 하고, 적보다 나중에 출발하여 먼저 도달하는 것을 우직(迂直)의 전략을 안다고 한다"라고 하였다.
아군이 멀리 우회하는 것처럼 적을 속임으로써 적이 기동을 지체하도록 유인하면 적보다 늦게 출동하여도 먼저 도착하여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 이것이 우회함으로써 곧장 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는 뜻이다.
이러한 우회작전의 예로는 암도진창(暗渡陳倉)의 고사(故事)에서 한신(韓信)이 잔도를 수리하는 척하여 초나라 장수 장한(章邯)을 속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군을 이끌고 우회하여 진창을 점령하고 관중을 함락시킨 일을 들 수 있다.
출전
손자(孫子)
관련 한자어
참조어
以迂爲直(이우위직) | 以患爲利(이환위리) |
以 써 이 | 迂 굽을 우 | 爲 할 위 | 直 곧을 직 |
'굽은 것으로써 바른 것이 되게 하다'라는 뜻으로, 우회함으로써 곧장 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두는 전략을 말한다. 《손자(孫子)》에서 유래되었다.
《손자》의 군쟁(軍爭)편에 "무릇 용병의 방법은 장수가 군주의 명령을 받아 군대를 편성하고 적과 대치하여 주둔한다. 적보다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하여 경쟁하는 것보다 어려운 일은 없는데, 이는 우회함으로써 곧장 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고, 아군의 불리한 여건을 이로움이 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以迂爲直, 以患爲利). 그러므로 그 길을 우회함으로써 적으로 하여금 자신이 유리하다고 판단하게 하고, 적보다 나중에 출발하여 먼저 도달하는 것을 우직(迂直)의 전략을 안다고 한다"라고 하였다.
아군이 멀리 우회하는 것처럼 적을 속임으로써 적이 기동을 지체하도록 유인하면 적보다 늦게 출동하여도 먼저 도착하여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 이것이 우회함으로써 곧장 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는 뜻이다.
이러한 우회작전의 예로는 암도진창(暗渡陳倉)의 고사(故事)에서 한신(韓信)이 잔도를 수리하는 척하여 초나라 장수 장한(章邯)을 속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군을 이끌고 우회하여 진창을 점령하고 관중을 함락시킨 일을 들 수 있다.
출전
손자(孫子)
관련 한자어
참조어
以迂爲直(이우위직) | 以患爲利(이환위리) |
以心傳心 (이심전심)
以心傳心(이심전심)
以 써 이 | 心 마음 심 | 傳 전할 전 | 心 마음 심
석가(釋迦)와 가섭이 마음으로 마음에 전한다는 뜻으로, ①말로써 설명(說明)할 수 없는 심오(深奧)한 뜻은 마음으로 깨닫는 수밖에 없다는 말 ②마음과 마음이 통(通)하고, 말을 하지 않아도 의사(意思)가 전달(傳達)됨
以 써 이 | 心 마음 심 | 傳 전할 전 | 心 마음 심
석가(釋迦)와 가섭이 마음으로 마음에 전한다는 뜻으로, ①말로써 설명(說明)할 수 없는 심오(深奧)한 뜻은 마음으로 깨닫는 수밖에 없다는 말 ②마음과 마음이 통(通)하고, 말을 하지 않아도 의사(意思)가 전달(傳達)됨
以小人之心度君子之腹 (이소인지심탁군자지복)
以小人之心,度君子之腹(이소인지심 탁군자지복)
以小人之心,度君子之腹[yǐxiǎorénzhīxīn, duójūnzǐzhīfù]
以 써 이, 에서 이 | 小 작을 소 | 人 사람 인 | 之 어조사 지 | 心 마음 심 | 度 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 君 임금 군 | 子 아들 자 | 之 어조사 지 | 腹 배 복 |
소인의 마음으로 군자의 마음을 가늠해 보다. 저속한 마음으로 고상한 사람의 심정을 추측하다.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以小人之心,度君子之腹[yǐxiǎorénzhīxīn, duójūnzǐzhīfù]
以 써 이, 에서 이 | 小 작을 소 | 人 사람 인 | 之 어조사 지 | 心 마음 심 | 度 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 君 임금 군 | 子 아들 자 | 之 어조사 지 | 腹 배 복 |
소인의 마음으로 군자의 마음을 가늠해 보다. 저속한 마음으로 고상한 사람의 심정을 추측하다.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以卵擊石 (이란격석)
以卵擊石(이란격석)
以 써 이 | 卵 알 란(난) | 擊 칠 격 | 石 돌 석 |
계란으로 벽치기. 즉, 약한 것으로 강한 것을 당해 내려는 어리석음을 비유.
묵자(墨子) 귀의(貴義)편에는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말이 있다.
전국(戰國)시대 초기, 묵자는 노(魯)나라를 떠나 북쪽의 제(齊)나라로 가는 길에 점장이를 만나게 되었다. 이 점장이는 묵자에게 북쪽으로 가는 것이 불길하다고 말했다. 묵자는 터무니없는 소리라고 생각하고 계속 북쪽으로 향하여 치수(淄水)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이때 치수의 물흐름이 너무 빨라 건널 수 없게 되자 묵자는 다시 돌 수 밖에 없었다.
되돌아 오는 묵자를 보고 그 점장이는 거만하게 굴며 묵자의 기분을 건드렸다. 묵자는 제나라에 가지 못하게 된 판국에 점장이의 비웃음까지 받게 되자, 몹시 화가 나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신의 말은 근거없는 미신이오. 당신의 말을 믿는다면 천하에 길을 걸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오. 그러한 말로써 나의 말을 비난하는 것은 마치 계란으로 돌을 치는 것과 같소[以其言非吾言者, 是猶以卵投石也]. 천하의 계란을 다 없앤다 해도 돌은 깨어지지 않을 것이오.
以卵擊石은 계란으로 바위를 친다는 뜻이니, 이는 곧 손해만 볼 뿐 이익이 없는 어리석은 일을 비유한 말이다.
출전
荀子(순자) | 묵자(墨子) |
관련 한자어
유의어
紅爐點雪(홍로점설) 벌겋게 단 화로에 눈 한 송이 | 紅爐上一點雪(홍로상일점설) | 漢江投石(한강투석) 한강에 돌던지기 | 以卵投石(이란투석) | 杯水輿薪(배수여신) | 杯水救車(배수구거) | 杯水車薪(배수거신)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 맹자(孟子) |
以 써 이 | 卵 알 란(난) | 擊 칠 격 | 石 돌 석 |
계란으로 벽치기. 즉, 약한 것으로 강한 것을 당해 내려는 어리석음을 비유.
묵자(墨子) 귀의(貴義)편에는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말이 있다.
전국(戰國)시대 초기, 묵자는 노(魯)나라를 떠나 북쪽의 제(齊)나라로 가는 길에 점장이를 만나게 되었다. 이 점장이는 묵자에게 북쪽으로 가는 것이 불길하다고 말했다. 묵자는 터무니없는 소리라고 생각하고 계속 북쪽으로 향하여 치수(淄水)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이때 치수의 물흐름이 너무 빨라 건널 수 없게 되자 묵자는 다시 돌 수 밖에 없었다.
되돌아 오는 묵자를 보고 그 점장이는 거만하게 굴며 묵자의 기분을 건드렸다. 묵자는 제나라에 가지 못하게 된 판국에 점장이의 비웃음까지 받게 되자, 몹시 화가 나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신의 말은 근거없는 미신이오. 당신의 말을 믿는다면 천하에 길을 걸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오. 그러한 말로써 나의 말을 비난하는 것은 마치 계란으로 돌을 치는 것과 같소[以其言非吾言者, 是猶以卵投石也]. 천하의 계란을 다 없앤다 해도 돌은 깨어지지 않을 것이오.
以卵擊石은 계란으로 바위를 친다는 뜻이니, 이는 곧 손해만 볼 뿐 이익이 없는 어리석은 일을 비유한 말이다.
출전
荀子(순자) | 묵자(墨子) |
관련 한자어
유의어
紅爐點雪(홍로점설) 벌겋게 단 화로에 눈 한 송이 | 紅爐上一點雪(홍로상일점설) | 漢江投石(한강투석) 한강에 돌던지기 | 以卵投石(이란투석) | 杯水輿薪(배수여신) | 杯水救車(배수구거) | 杯水車薪(배수거신)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 맹자(孟子)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