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問鼎之大小輕重焉 (문정지대소경중언)

問鼎之大小輕重焉(문정지대소경중언)

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말로 어떤 직위에 있는 인물의 자격을 묻고 퇴임을 압박한다는 말. 줄여서 문정(問鼎) 또는 문정경중(問鼎輕重)이라고도 함.

門前雀羅 (문전작라)

門前雀羅(문전작라)

門 문 문 | 前 앞 전, 자를 전 | 雀 참새 작 | 羅 벌일 라(나), 새그물 라(나) |

문 밖에 새 그물을 쳐놓을 만큼 손님들의 발길이 끊어짐을 뜻하는 말. 몰락한 사람 집에는 손님의 발길이 끊어져 한가한 것을 비유.


漢(한)나라 무제(武帝) 때 급암(汲黯)과 정당시(鄭當時)라는 충신이 있었다.

급암은 의협심이 강하고 성품이 대쪽 같아서 황제 앞에서도 하고 싶은 말을 거침없이 다 하는 편이었다. 동료 대신들이 그 점을 나무라면, 급암은 이렇게 반박했다.

“폐하께서 이 사람이나 공들 같은 신하를 두심은 올바른 보필로 나라를 부강케 하고 백성들을 편안케 하시고자 함인데, 누구나 듣기 좋은 말만 하여 성총(聖聰)이 흐려지기라도 한다면 그보다 더한 불충이 어디 있겠소? 그만한 지위에 있으면 설령 자기 한 몸 희생을 각오하고라도 폐하를 욕되게 하진 말아야 할 것이오.”

그런 반면 정당시는 후덕하고 겸손하며 청렴한 인물이었다. 자기를 찾아온 손님은 문밖에서 기다리는 일이 없게 하고, 벼슬아치의 사명감으로 집안일을 돌보지 않았으며, 봉록과 하사품을 받으면 손님이나 아랫사람들에게 아낌없이 나누어 주었다.

둘다 의리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이었던 만큼 어질고 의협심이 강한 선비들을 좋아했다. 그들은 장관격인 九卿(구경)의 지위까지 오른 적도 있지만 너무 개성이 강한 탓에 경계의 대상이 되어 벼슬자리의 浮沈(부침)이 많았다.

급암은 한때 무제의 미움을 사 면직되기도 했고 정당시는 庶民(서민)으로 내려앉기도 했다.두 사람은 찾아오는 손님들을 극진히 맞았다. 정당시는 밑의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하곤 했다.

손님이 왔을 때는 그 신분의 귀천에 관계없이 문전에서 기다리게 해서는 안된다. 예를 갖추어 따뜻하게 접대해야 한다.

이랬기 때문에 그들이 현직에 있을 때에는 찾아오는 손님들로 문앞이 저자를 이루었으나 벼슬자리에서 물러나 있자 방문객들의 발길은 뚝 끊어졌다.

사기(史記)를 쓴 司馬遷(사마천)은 그들의 이야기를 쓴 뒤 이렇게 덧붙이고 있다.

급암과 정당시 같은 훌륭한 사람도 세력이 있으면 손님이 10배로 늘어나고 세력이 없어지면 그렇지 않았다. 하물며 보통 사람들이야 더 말할 나위도 없다.

翟公(적공)이란 사람도 正尉(정위)벼슬을 하자 손님이 문에 가득찼다. 그러나 면직을 당하자 문밖에 참새그물을 쳐놓을 만큼[門外可設雀羅] 사람들의 출입이 없어졌다. 적공이 다시 정위가 되자 손님이 줄을 이었다. 그래서 적공은 문앞에 이런 글을 써붙였다.

一死一生 卽知交情 (일사일생 즉지교정)
一貧一富 卽知交態 (일빈일부 즉지교태)
一貴一賤 卽見交情 (일귀일천 즉현교정)

한 번 죽고 한 번 삶에 곧 사귐의 정을 알고
한 번 가난하고 한 번 부유함에 곧 사귐의 태도를 알며
한 번 귀하고 한 번 천함에 곧 사귐의 정이 나타나네

門前雀羅란 문 앞의 참새 그물이라는 뜻으로 門可雀羅(문가작라)라고도 한다.


출전

사기(史記) 급정열전(汲鄭列傳)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門可雀羅(문가작라) | 門外可設雀羅(문외가설작라) | 門前雀羅(문전작라) |

동의어·유의어

門前成市(문전성시) | 門庭若市(문정약시) |

門前成市 (문전성시)

門前成市(문전성시)

권세 있는 집 문 앞에 찾아오는 손이 많아 마치 시장을 이룬 것 같음

門前薄待 (문전박대)

門前薄待(문전박대)

門 문 문 | 前 앞 전, 자를 전 | 薄 엷을 박, 동자기둥 벽, 풀 이름 보 | 待 기다릴 대 |

인정(人情) 없이 몹시 모질게 대(待)함

refusal of admittance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聞一知十 (문일지십)

聞一知十(문일지십)

한 가지를 들으면 열 가지를 앎

門外漢 (문외한)

門外漢(문외한)

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테 밖의 사람. 그 일에 전문가가 아닌 사람.

文房四友 (문방사우)

文房四友(문방사우)

종이, 붓, 벼루, 먹.

文武崇尙 (문무숭상)

文武崇尙(문무숭상)

학문과 무예를 다같이 높이어 숭상함.

文君司馬 (문군사마)

文君司馬(문군사마)

文 무늬 문 | 君 임금 군 | 司 맡을 사 | 馬 말 마 |

文君司馬란 사랑하는 부부나 연인(戀人)을 비유한 말이다.


사기(史記) 사마상여(司馬相如) 열전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서한(西漢) 시기, 임공(臨 )이라는 곳에 탁왕손(卓王孫)이라는 부유한 상인이 있었는데, 그에게는 일찍 남편과 사별(死別)하고 혼자 지내는 탁문군(卓文君)이라는 딸이 있었다. 평소 이러한 탁문군에게 마음을 가지고 있었던 젊고 유능한 사마상여는 연회에 참석한 기회를 이용하여 탁문군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하였다.

그 날 밤, 탁문군은 잠을 이룰 수 없었다. 그녀는 몰래 집을 빠져 나와 사마상여의 집으로 달려가서 그와 부부의 연을 맺게 되었다. 그녀의 아버지 탁왕손은 딸의 이러한 행동을 수치스럽게 생각하고 두문불출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어려운 생활을 더 이상 볼 수가 없어서 그들의 결혼을 인정하고 많은 재물을 주었다.

이렇듯 사마상여와 탁문군은 자신들의 진실한 마음과 행동으로 행복한 애정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출전

사기(史記) 사마상여(司馬相如) 열전

刎頸之交 (문경지교)

刎頸之交(문경지교)

목이 잘리는 한이 있어도 마음을 변치 않는 우정. 중국 전국 시대 인상여와 염파의 친교에서 생긴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