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刮目相對 (괄목상대)

刮目相對(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상대한다. 몰라볼 정도로 실력이나 지위가 향상된 것을 두고 하는 말.


魏(위) 吳(오) 蜀(촉) 삼국이 鼎立(정립)하고 있을 당시 오나라 왕 孫權(손권)에게는 呂蒙(여몽)이라는 장수가 있었다. 졸병에서 장군까지 오른 그는 촉나라 명장 關羽(관우)를 사로잡기도 한 삼국지의 스타중의 한 명. 그러나 그는 어렸을 때 집안이 무척 가난하여 어렵게 자라느라 공부할 틈이 없어 무식꾼일 수밖에 없었다. 어느날 여몽은 손권으로부터 책을 많이 읽어 학식을 쌓으라는 말을 들었다.

"장군은 이 나라의 대관 아니오. 학문을 하라고 해서 經學(경학)박사가 되라는 말은 아니오. 옛 사람들이 남긴 병법을 이론적으로 익히기 위해서는 책을 많이 읽어야 된단 말이오."

이때부터 시작한 여몽의 공부는 쉴 줄을 모르고 계속되었다. 그는 읽은 책속에서 많은 지식을 얻었고 사물의 이치를 깨우쳤다. 전쟁터에서도 책을 손에서 떼지 않을 정도로 열심이어서 마침내 그의 학식은 상당한 경지에 이르렀다. 언젠가 여몽의 오랜 친구이자 학문이 깊은 걸로 이름난 오나라 重臣(중신) 魯肅(노숙)이 여몽과 토론을 벌이다가 그의 학문이 상당한 경지에 도달한 걸 알고 깜짝 놀랐다.

"나는 그대가 무예만 능하고 학식은 부족한 줄 알았는데 이제 보니 옛날의 여몽이 아니로군."

여몽은 이 말을 받아 이렇게 대꾸했다.

"무릇 선비라면 헤어졌다가 사흘이 지나 만났을 때는 눈을 비비고 상대를 다시 봐야 한다네[刮目相對]"

刮骨療毒 (괄골요독)

刮骨療毒(괄골요독)

뼈를 긁어 독을 치료하다.


관공(關公)이 조병(曹兵)을 공격할 때 적군으로 부터 초오(草烏)를 화살촉에 바른 화살을 어깨에 맞아 괄골요독(刮骨療毒) 수술을 받았다. 명의 화타(華陀)가 관우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칼로 살을 째고 뼈를 긁어 내었는데 여기서 나온 고사성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