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曹操.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曹操. Show all posts

寧我負人毋人負我 (영아부인무인부아)

寧我負人毋人負我(영아부인무인부아)

「寧我負人,毋人負我!」

- 曹操

Translation: "I'd rather betray others, than have others betray me."
Statement in 190, after falsely killing Lü Boshe. Source: Sun Sheng Zaji, page 5 of Sanguo Zhi.

- Cáo Cāo (曹操; 155 – 220 March 15)

Cáo Cāo (曹操; 155 – 220 March 15) was a Chinese military leader, a regional warlord and the penultimate Chancellor of the Eastern Han Dynasty who rose to great power during its final years in ancient China. As one of the central figur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e laid the foundations for what was to become the Kingdom of Wei (also known as Cáo Wèi) and was posthumously titled Emperor Wu of Wei (魏武帝)

다른 사람이 나를 배신하도록 하기 보다는 차라리 내가 다른 사람을 배신하겠다. [寧我負人 毋人負我 (영아부인 무인부아)]

- 曹操(조조, 155~220)

http://en.wikiquote.org/wiki/Cao_Cao

望梅解渴 (망매해갈)

望梅解渴(망매해갈)

望 바랄 망 | 梅 매화나무 매 | 解 풀 해 | 渴 목마를 갈 |

세설신어(世說新語) 가휼(假譎)편에는 조조(曹操)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한 위(魏)나라 문제(文帝)의 일화가 실려 있다.

동한(東漢) 말엽에, 조조는 군대를 통솔하여 장수(張繡)를 정벌하러 나섰다. 행군 도중 날씨가 너무 더워 병사들은 지치고 심한 갈증에 시달리게 되었다. 마실 물을 찾지 못해 진군을 멈출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조조는 한참 생각하다가 묘책이 떠올랐는지 병사들을 향해 다음과 같이 외쳤다. 조금나 더 가면 앞에 큰 매화나무 숲이 있다[前有大梅林]. 열매도 많이 달려 있는데, 그 맛은 달고도 새콤하다. 이제 갈증을 풀 수 있을 것이다[可以解渴].

병사들은 매화가 있다는 말에 입안에 곧 침이 돌았다. 모두 정신을 가다듬고 다시 전진하였는데, 얼마가지 않아 물이 있는 곳에 이르게 되었다.

望梅解渴(매실을 생각하며 갈증을 풀다)은 望梅止渴(망매지갈), 梅林解渴(매림해갈)이라고도 한다. 이는 공상으로 잠시 동안의 평안과 위안을 얻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望梅解渴(망매해갈) | 望梅止渴(망매지갈) | 梅林解渴(매림해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