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순자.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순자. Show all posts

靑出於藍 (청출어람)

靑出於藍(청출어람)

靑 푸를 청 | 出 날 출 | 於 어조사 어, 탄식할 오, 어조사 우 | 藍 쪽 람(남), 볼 감 |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나음을 이르는 말이다. 쪽은 잎을 물감으로 쓰는 한해살이 풀.


이 말은 孟子(맹자)와 더불어 전국시대의 사상가로 맹자의 性善說(성선설)에 대해 性惡說(성악설)을 주장한 荀子(순자)의 다음과 같은 유명한 문장에서 생겨났다.

「배움은 중지하지 말아야 한다 (學不可以已). 청색은 쪽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쪽보다 더 푸르고(靑出於藍而靑於藍) 얼음은 물이 얼어서 되는 것이지만 물보다 더 차다 (氷水爲之而寒於水)」

학문이란 그만둘 수 없는 것이므로 결코 게을리하지 말아야 하며 학문의 기초를 만들어준 스승보다 훨씬 깊은 학문을 쌓아올린 제자도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여기서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나다는 뜻인 청출어람(靑出於藍)이 나왔으며, 출람(出藍)이란 말도 여기서 비롯된 말이다. 또 이러한 재주 있는 사람을 출람지재(出藍之才)라고 한다.

비록 제자일지라도 열심히 하면 얼마든지 스승을 능가할 수 있음을 강조한 순자의 주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있다. 남북조시대 이야기다. 北朝(북조)의 공번이란 선비에게 李謐(이밀)이란 제자가 있었다. 비상한 재주를 가졌던 이밀의 실력은 日就月將(일취월장), 몇년이 흐르자 공번은 이밀이 자기를 앞섰다면서 스스로 그의 제자가 되었다는 것이다.그러자, 친구(親舊)들은 그의 용기를 높이 사고 또 훌륭한 제자를 두었다는 뜻에서 청출어람(靑出於藍)이라고 칭찬(稱讚)했다.

출전
荀子(순자) 勸學篇(권학편)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後生角高(후생각고) | 出藍之才(출람지재) | 出藍之譽(출람지예) | 出藍(출람) | 靑出於藍而靑於藍(청출어람이청어람) | 青出于蓝而胜于蓝(qīngchūyúlán’érshèngyúlán) |


관련 속담

반의어·상대어

¶ 형만한 아우 없다.
¶ 아비만 한 자식없다.

從道不從君 (종도부종군)

從道不從君(종도부종군)

도를 따라야지 임금을 따르면 안된다

[출전]
「순자」 자도(子道): 從道不從君, 從義不從父, 人之大行也.
「순자」 신도(臣道): 傳曰, 從道不從君. 此之謂也.

駑馬十駕 (노마십가)

駑馬十駕(노마십가)

駑 둔한 말 노, 둔할 노 | 馬 말 마 | 十 열 십 | 駕 멍에 가 |

둔한 말도 열흘 동안 수레를 끌 수 있다는 뜻으로, 재주 없는 사람도 노력(努力)하고 태만(怠慢)하지 않으면 재주 있는 사람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음을 비유(比喩ㆍ譬喩)


중국 주(周)나라의 유학자(儒學者)인 순자(荀子)의 사상을 집록(輯錄)한 순자(荀子) 수신편(修身篇)에 나오는 말이다.

'천리마는 하루 만에 천 리를 달리는데, 둔한 말도 열흘 동안 달리면 이에 미칠 수 있다[夫驥一日而千里 駑馬十駕則亦及之矣].'

또한 '반 걸음이라도 쉬지 않으면 절룩거리며 가는 자라도 천리를 갈 수 있고, 흙을 쌓는데도 멈추지 않고 쌓아나가면 언덕이나 산을 이룰 것이다'라는 말도 있다.

駑馬란 걸음이 느린 말을 가리키며, 재능이 없고 무능한 사람을 비유하기도 한다. 말이 수레를 끌고 다니는 하루 동안의 노정(路程)을 일가(一駕)라 하니, 十駕란 곧 열흘간의 노정을 말한다.

駑馬十駕란 둔한 말이 열흘 동안 수레를 끌고 다니다라는 뜻이다. 이는 곧 재주 없는 사람이라도 열심히 노력하면 훌륭한 사람에 미칠 수 있음을 비유한 것이다. 영어의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라는 표현과 비슷한 말이라 할 수 있다.


출전

순자(荀子) 수신편(修身篇)

開源節流 (개원절류)

開源節流(개원절류)

開 열 개, 평평할 견 | 源 근원 원 | 節 절제할 절 | 流 흐를 류(유) |

재원(財源)을 늘리고 지출(支出)을 줄인다는 뜻으로, 부를 이루기 위하여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原則)을 비유(比喩ㆍ譬喩)한 말


춘추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학자 순황(荀況)은 순자(荀子)를 저술하였다. 그는 부국(富國)편에서 국가의 강약과 빈부에 대해 설명하였다.

순황은 경제를 물에 비유하여 생산과 수입은 원천(源)으로, 비용과 지출은 흐름(流)으로 파악하였다. 그는 부국의 요체는 바로 원천을 늘리고(開源) 흐름을 줄이는(節流) 것으로 보았다.

국가가 부강해지고자 한다면, 조정은 백성들을 사랑해야 하며, 그들로 하여금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했다. 이렇게 하여 백성들은 적극적으로 생산에 임하며, 그 축적된 것이 증가함에 따라 국고(國庫)가 충실해지고, 국가는 곧 부강해진다고 하였다.

그러나 반대로 조정에서 생산은 돌보지 않고 무거운 세금만 부과하며 물자를 아끼지 않는다면, 백성들과 나라가 빈곤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특히 그는 이에 대한 군주의 의무를 이렇게 말하고 있다.

온 백성이 천시(天時)의 화기(和氣)를 얻고 사업에 차서를 얻으니 이는 재화의 본원이요, 차등을 두어 거둬들인 국고의 저장물은 재화의 지류(支流)이다. 그러므로 명철한 군주는 반드시 신중하게 화기를 기르고 그 지류를 절제하며, 재화의 원천을 더욱 개발하여야 한다[故明主必謹養其和, 節其流, 開其源]

여기서 유래하여 이 고사성어는 국가 재정에만 국한되지 않고, 부를 이루기 위해 지켜야 할 철칙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출전

순자(荀子) 부국(富國)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4급 사자성어 | 중요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