貧賤之交(빈천지교)
빈천할 때 사귄 잊지 못할 벗.
Showing posts with label 가난.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가난. Show all posts
米珠薪桂 (미주신계)
米珠薪桂(미주신계)
米珠薪桂[mǐzhūxīnguì]
米 쌀 미 | 珠 구슬 주 | 薪 섶 신, 땔나무 신 | 桂 계수나무 계 |
쌀은 구슬 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桂樹-)보다 비싸다는 뜻으로, 물가가 치솟아 생활(生活)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쌀은 주옥(珠玉)만큼 비싸고 땔나무는 계수나무 가격과 같다'라는 뜻으로, 식옥취계(食玉炊桂)라고도 한다. 유향(劉向)이 편찬한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실려 있는 다음 이야기에서 유래한 말이다.
전국시대, 소진(蘇秦)은 초(楚)·한(韓)·위(魏)·조(趙)·연(燕)·제(齊)나라를 종적으로 연합하여 강대한 진(秦)나라와 대결할 공수동맹을 맺도록 하는 합종책(合從策)을 주장하였다.
그가 초나라의 회왕(懷王)에게 합종책을 실행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초나라에 갔을 때였다. 그는 사흘을 기다린 끝에 겨우 초회왕을 알현할 수 있었으나, 초회왕이 자신을 소흘하게 대접하는 것 같아 불쾌하였다. 소진은 초회왕이 나타나자 일부러 당장 떠나겠다고 작별인사를 하였다. 의아하게 생각한 초회왕이 그 까닭을 묻자, 소진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초나라의 식량은 주옥(珠玉)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보다 비쌉니다[楚國之食貴于玉 薪貴于桂]. 제가 주옥같이 비싼 양식을 먹고, 계수나무처럼 비싼 땔감을 태우면서, 어찌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있겠습니까?"
이에 초나라의 회왕은 소진에게 귀빈 대우를 하였다고 전해진다.
米珠薪桂란 치솟아 오르는 물가를 비유한 말이며, 영어에는 Up corn, down horn(곡식 값이 오르면 쇠고기 값이 내린다) 라는 속담이 있다.
출전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食玉炊桂(식옥취계) | 薪桂米珠[xīnguìmǐzhū, 신계미주] |
반의어·상대어
价廉物美[jiàliánwùměi, 가렴물미] |
米珠薪桂[mǐzhūxīnguì]
米 쌀 미 | 珠 구슬 주 | 薪 섶 신, 땔나무 신 | 桂 계수나무 계 |
쌀은 구슬 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桂樹-)보다 비싸다는 뜻으로, 물가가 치솟아 생활(生活)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쌀은 주옥(珠玉)만큼 비싸고 땔나무는 계수나무 가격과 같다'라는 뜻으로, 식옥취계(食玉炊桂)라고도 한다. 유향(劉向)이 편찬한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실려 있는 다음 이야기에서 유래한 말이다.
전국시대, 소진(蘇秦)은 초(楚)·한(韓)·위(魏)·조(趙)·연(燕)·제(齊)나라를 종적으로 연합하여 강대한 진(秦)나라와 대결할 공수동맹을 맺도록 하는 합종책(合從策)을 주장하였다.
그가 초나라의 회왕(懷王)에게 합종책을 실행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초나라에 갔을 때였다. 그는 사흘을 기다린 끝에 겨우 초회왕을 알현할 수 있었으나, 초회왕이 자신을 소흘하게 대접하는 것 같아 불쾌하였다. 소진은 초회왕이 나타나자 일부러 당장 떠나겠다고 작별인사를 하였다. 의아하게 생각한 초회왕이 그 까닭을 묻자, 소진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초나라의 식량은 주옥(珠玉)보다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보다 비쌉니다[楚國之食貴于玉 薪貴于桂]. 제가 주옥같이 비싼 양식을 먹고, 계수나무처럼 비싼 땔감을 태우면서, 어찌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있겠습니까?"
이에 초나라의 회왕은 소진에게 귀빈 대우를 하였다고 전해진다.
米珠薪桂란 치솟아 오르는 물가를 비유한 말이며, 영어에는 Up corn, down horn(곡식 값이 오르면 쇠고기 값이 내린다) 라는 속담이 있다.
출전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食玉炊桂(식옥취계) | 薪桂米珠[xīnguìmǐzhū, 신계미주] |
반의어·상대어
价廉物美[jiàliánwùměi, 가렴물미] |
家無擔石 (가무담석)
家無擔石(가무담석)
家 집 가, 여자 고 | 無 없을 무 | 擔 멜 담 | 石 돌 석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담(擔)은 손 수(手)에 이를 첨(詹)을 짝지어 놓은 글자. 손이 닿는 곳에 짊어져야 할 물건이 있다는 뜻에서 '책임지다', '떠맡다'는 의미로 사용
한나라 유방의 휘하에 한신이라는 유능한 장수가 있었다. 그는 벼슬 없이 초야에 묻혀 살 때 집에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을[家無擔石] 정도로 가난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빌붙어 살았다. 때문에 그를 좋아하는 사람도 없었고 벼슬을 할 수 있도록 추천해 주는 사람도 없었다. 한신이 회음현에 살 때 그는 친구 집에 가서 밥을 얻어먹곤 했다. 이를 귀찮게 여긴 친구의 부인은 새벽에 밥을 해 먹고 그에게는 아침을 주지 않았다. 그 정도로 그는 회음현에서 거지 취급을 받았다. 이를 불쌍하게 여긴 빨래터의 한 아낙이 굶주린 한신에게 밥을 주었다. 이에 감동한 한신이 그 아낙에게 성공하여 은혜를 갚겠다고 하자, 아낙은 입에 풀칠도 못하는 사내가 불쌍하여 밥을 주는데 무슨 보답을 원하겠냐며 화를 냈다고 한다. 그러나 한신은 훗날 초나라의 왕이 되었고 권력의 중심에 섰다.
이때부터 가무담석은 '매우 가난하다'는 의미로 쓰이기 시작했다.
출전
사기(史記) 회음후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4급 사자성어 |
家 집 가, 여자 고 | 無 없을 무 | 擔 멜 담 | 石 돌 석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담(擔)은 손 수(手)에 이를 첨(詹)을 짝지어 놓은 글자. 손이 닿는 곳에 짊어져야 할 물건이 있다는 뜻에서 '책임지다', '떠맡다'는 의미로 사용
한나라 유방의 휘하에 한신이라는 유능한 장수가 있었다. 그는 벼슬 없이 초야에 묻혀 살 때 집에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을[家無擔石] 정도로 가난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빌붙어 살았다. 때문에 그를 좋아하는 사람도 없었고 벼슬을 할 수 있도록 추천해 주는 사람도 없었다. 한신이 회음현에 살 때 그는 친구 집에 가서 밥을 얻어먹곤 했다. 이를 귀찮게 여긴 친구의 부인은 새벽에 밥을 해 먹고 그에게는 아침을 주지 않았다. 그 정도로 그는 회음현에서 거지 취급을 받았다. 이를 불쌍하게 여긴 빨래터의 한 아낙이 굶주린 한신에게 밥을 주었다. 이에 감동한 한신이 그 아낙에게 성공하여 은혜를 갚겠다고 하자, 아낙은 입에 풀칠도 못하는 사내가 불쌍하여 밥을 주는데 무슨 보답을 원하겠냐며 화를 냈다고 한다. 그러나 한신은 훗날 초나라의 왕이 되었고 권력의 중심에 섰다.
이때부터 가무담석은 '매우 가난하다'는 의미로 쓰이기 시작했다.
출전
사기(史記) 회음후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4급 사자성어 |
桂玉之歎 (계옥지탄)
桂玉之歎(계옥지탄)
桂玉之叹(guìyùzhītàn)
桂 계수나무 계 | 玉 구슬 옥 | 之 갈 지 | 嘆 탄식할 탄,또 우 |
식량(食糧) 구(求)하기가 계수 나무 구(求)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求)하기가 옥을 구(求)하기 만큼이나 어려움
가난 |
桂玉之叹(guìyùzhītàn)
桂 계수나무 계 | 玉 구슬 옥 | 之 갈 지 | 嘆 탄식할 탄,또 우 |
식량(食糧) 구(求)하기가 계수 나무 구(求)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求)하기가 옥을 구(求)하기 만큼이나 어려움
가난 |
家徒壁立 (가도벽립)
家徒壁立(가도벽립)
家徒壁立[jiātúbìlì]
家 집 가, 여자 고 | 徒 무리 도 | 壁 벽 벽 | 立 설 립(입), 자리 위 |
빈한한 집안이라서 아무것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살림이 심(甚)히 구차(苟且)함을 이르는 말
출전
한서(漢書)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家徒四壁(가도사벽) | 家徒四壁(jiātúsìbì)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4급 사자성어 | 중요도 ★★ |
家徒壁立[jiātúbìlì]
家 집 가, 여자 고 | 徒 무리 도 | 壁 벽 벽 | 立 설 립(입), 자리 위 |
빈한한 집안이라서 아무것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살림이 심(甚)히 구차(苟且)함을 이르는 말
출전
한서(漢書)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家徒四壁(가도사벽) | 家徒四壁(jiātúsìbì)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4급 사자성어 | 중요도 ★★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