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莊周胡蝶夢 (장주호접몽)

莊周胡蝶夢(장주호접몽)

莊 씩씩할 장, 전장 장 | 周 두루 주 | 胡 되 호, 오랑캐 이름 호, 수염 호 | 蝶 나비 접 | 夢 꿈 몽 |

장주가 꾼 나비 꿈

庄周梦蝶 (장주몽접, zhuāngzhōumèngdié)

庄周梦蝶(zhuāngzhōumèngdié)

Zhuangzi(莊子, 庄子) dreams of a butterfly (or is it the butterfly dreaming of Zhuangzi?)

張三李四 (장삼이사)

張三李四(장삼이사)

张三李四(zhāngsānlǐsì)

張 베풀 장 | 三 석 삼 | 李 오얏 이(리), 성씨 이(리) | 四 넉 사 |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아들이란 뜻으로, ①성명(姓名)이나 신분(身分)이 뚜렷하지 못한 평범(平凡)한 사람들 ②사람에게 성리(性理)가 있음은 아나, 그 모양(模樣)이나 이름을 지어 말할 수 없음의 비유(比喩ㆍ譬喩)

Zhang, Li— anybody; somebody

壯士斷脘 (장사단완)

壯士斷脘(장사단완)

살모사에 물린 손목을 잘라내는 장수의 용기.

당나라 시인 두고(竇皐)의 ‘술서부(述書賦)’ 하편에 나온 말로 작은 것(손목)을 희생해 큰 것(몸 전체)을 보존한다는 뜻

藏頭露尾 (장두노미)

藏頭露尾(장두노미)

藏 감출 장 | 頭 머리 두 | 露 이슬 노 | 尾 꼬리 미

쫓기던 타조가 머리는 숨겼지만 꼬리는 숨기지 못한 모습을 뜻하는 말로 진실을 숨겨두려 하지만 실마리는 만천하에 드러나 있음

長江後浪推前浪 (장강후랑추전랑)

長江後浪推前浪(장강후랑추전랑)

長 길 장 | 江 강 강 | 後 뒤 후 | 浪 파도 랑 | 推 밀 추 | 前 앞 전 | 浪 파도 랑 |

장강의 뒷물결이 앞물결을 밀어내듯, 한 시대의 새사람으로 옛사람을 교체한다는 뜻.

明代의 증광현문(增廣賢文)에 나오는 말.

長江後浪推前浪, 一代新人換舊人


長江(장강)은 6300km에 이르는 중국에서 가장 긴 강으로 중국인이 ‘창장’이라 말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揚子江(양자강)은 고대 揚(양)나라 지역에 해당하는 하류 일대의 장강을 이르는 말로, 주로 유럽에서 사용한 이름이다. 江(강) 자체가 원래는 이 장강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였다.

浪(랑)은 파도 또는 물결이다. 浪花(낭화)는 물결에 부딪쳐 생기는 물방울과 거품이다. 삼가지 않다 또는 헛되다라는 뜻도 있다. 浪費(낭비)는 헛되이 씀, 浪說(낭설)은 터무니없는 헛소리이다.

推(추)의 본뜻은 손으로 미는 것이다. 推薦(추천)처럼 밀어 올리다, 推理(추리)처럼 미루어 헤아리다, 推仰(추앙)처럼 높이 받들다의 뜻이 있다. 옮아 가다의 뜻도 있으니, 推移(추이)는 변화하거나 이동함을 뜻한다. 밀어서 열거나 밀쳐내는 등 구체적인 동작일 때는 흔히 ‘퇴’로 읽는다. 推敲(퇴고)는 글의 자구를 다듬어 고치는 일을 가리키는데, 민다는 推(퇴)와 두드린다는 敲(고)의 글자 선택을 고심한 데서 유래했다.

換(환)은 交換(교환)처럼 맞바꾸다 또는 轉換(전환)처럼 교체하거나 변경하다의 뜻이다. 換骨奪胎(환골탈태)는 뼈를 바꾸고 胎(태)를 빼앗는다는 말로, 원래는 남의 글을 본뜨되 흔적을 남기지 않고 매우 새롭게 함을 비유하며, 좋은 방향으로 아주 많이 달라짐을 비유하기도 한다.

舊(구)는 옛것이나 오래된 것을 가리킨다.

새 물결이 앞의 물결을 밀어내듯이 그 물결도 다시 뒤에 오는 물결에 밀려나기 마련이다. 내일이 오늘이 되고 다시 어제가 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앞사람이 그랬듯이 뒷사람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가 또 그 뒷사람에게 넘길 것이다. 몹시도 공평하니 참으로 다행한 일이 아닌가. 明(명) ‘增廣賢文(증광현문)’에 보인다.

釜底游魚 (부저유어)

釜底游魚(부저유어)

釜 가마 부 | 底 밑 저 | 游 헤엄칠 유 | 魚 고기 어 |

물고기가 솥바닥에서 헤엄친다는 뜻으로, 상황(狀況)이 극히 위험(危險)한 상태(狀態)에 이름을 비유한 말.


후한서(後漢書) 장강(張綱)전의 이야기.

동한(東漢) 순제(順帝) 때, 조정에는 장강(張綱)이라는 낮은 벼슬아치가 있었다. 그는 충실하고 강직하여 아부를 몰랐다. 당시 대장군으로 양기(梁冀)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황후인 누이를 믿고 마음대로 행동하였다.

장강은 그를 두려워하지 않고 공개적으로 황제에게 양기의 탐욕스런 행위를 밝혀 조정 백관들을 놀라게 했다. 그러나 양기의 세력이 워낙 강했기 때문에 황제도 감히 그를 어찌하지는 못했다. 그 후 양기는 장강에게 깊은 앙심을 품게 되었다.

얼마 후, 광릉(廣陵)의 장영(張嬰)이 모반을 일으키고 자사(刺史)를 죽이자 사태가 긴박해졌다. 양기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보복을 하고자, 장강을 광릉의 태수로 임명하여 그를 광릉으로 보냈다.

時<廣陵>賊<張嬰>等衆數萬人, 殺刺史、二千石, 寇亂<揚徐>閒, 積十餘年, 朝廷不能討. <冀>乃諷尙書, 以<綱>爲<廣陵>太守, 因欲以事中之. 前遣郡守, 率多求兵馬, <綱>獨請單車之職.

장강은 양기의 이러한 계책을 잘 알고 있었으므로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고 임지로 떠났다. 장강은 부임하자 곧 장영을 만나 그를 설득하며 반드시 탐관오리들을 처벌하겠다고 약속하였다. 장영은 장강의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희들은 살기 위하여 이렇게 모여 일을 일으켰습니다. 물고기가 솥바닥에서 헤엄치는 것과 같이, 잠시 숨만을 쉬고 있을 뿐입니다[若魚游釜中, 喘息須臾間耳]. 이제 대인께서 명철하시니 저희들에 살길이 있다면 기꺼이 조정에 귀순하겠습니다."

<嬰>初大驚, 旣見<綱>誠信, 乃出拜謁. <綱>延置上坐, 問所疾苦. 乃譬之曰:前後二千石多肆貪暴, 故致公等懷憤相聚. 二千石信有罪矣, 然爲之者又非義也. 今主上仁聖, 欲以文德服叛, 故遣太守, 思以爵祿相榮, 不願以刑罰相加, 今誠轉禍爲福之時也. 若聞義不服, 天子赫然震怒, <荊>、<揚>、<兗>、<豫>大兵雲合, 豈不危乎? 若不料彊弱, 非明也;弃善取惡, 非智也;去順效逆, 非忠也;身絶血嗣, 非孝也;背正從邪, 非直也;見義不爲, 非勇也:六者成敗之幾, 利害所從, 公其深計之. <嬰>聞, 泣下, 曰:荒裔愚人, 不能自通朝廷, 不堪侵枉, 遂復相聚偸生, 若魚遊釜中, 喘息須臾閒耳. 今聞明府之言, 乃<嬰>等更生之(晨)[辰]也. 旣陷不義, 實恐投兵之日, 不免孥戮.

이튿날, 장강은 그들의 투항을 받아들이고, 곧 다시 그들을 석방하였다. 이렇게 하여 장강은 큰 공을 세우며,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고자 노력하였으나, 부임 1년 만에 죽고 말았다.

<綱>在郡一年, 年四十六卒. 百姓老幼相携, 詣府赴哀者不可勝數.


출전

후한서 권86 열전(列傳) 제46 장강전(張綱傳)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劫數難逃(겁수난도) 액운(厄運)은 벗어나기 어려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