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이자성어.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이자성어. Show all posts

壟斷 (농단)

壟斷(농단)

壟 언덕 농 | 斷 끊을 단 |

‘깎아지른 듯이 높이 솟아 있는 언덕’이란 뜻. 높은 언덕에 올라가 시장의 전체를 둘러보며 자기에게 유리한 이익을 독점하는 행위를 말한다.


'맹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옛날 시장이라는 것은(古之爲市者) 자신이 소유한 것을(以其所有) 소유하지 못한 사람과 바꾸는(易其所無者) 물물교환의 순수한 장소였다. 그래서 관리들은 물물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감독만 하면 되었다(有司者治之耳). 그런데 어느 날 교활하고 천박한 사나이가 나타나서(有賤丈夫焉) 시장을 모두 바라볼 수 있는 언덕을 찾아 위로 올라가(必求龍斷而登之) 시장의 좌우를 살펴보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시장의 이익을 독점하였다(以左右望而罔市利). 사람들은 모두 그를 천박하다고 생각하였고(人皆以爲賤) 그 때부터 시장의 이익을 독점하는 사람에게 세금을 거두게 된 것이다(故從而征之). 상인에게 세금을 걷게 된 이유는 바로 이런 천한 사나이에게서부터 시작되었다(征商自此賤丈夫始矣).’


출전

맹자(孟子)

取捨 (취사)

取捨(취사)

取 가질 취 | 捨 버릴 사 |

취해야 할 것과 버려야 할 것

秋扇 (추선)

秋扇(추선)

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 남자의 사랑을 잃은 여자나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知音 (지음)

知音(지음)

知 알 지 | 音 소리 음 |

거문고 소리를 듣고 안다는 뜻으로, 자기(自己)의 속마음까지 알아주는 친구(親舊)

an intimate friend; one's best friend; an acquaintance.

助長 (조장)

助長(조장)

助 도울 조 | 長 길 장 |

孟子 '공손추(公孫丑)' 상편에는 공손추와 맹자의 문답이 실려 있다. 맹자는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설명하고 나서, 순리(順理)와 의기(義氣)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송(宋)나라의 한 농부의 조급한 행동을 예로 들었다.

그 농부는 자기가 심은 곡식 싹이 자라지 않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그 싹들은 뽑아 올렸으나, 그 싹들은 모두 말라 죽고 말았다는 것이다. 무리해서라도 잘 되게 하려고 했던 농부의 행동은 오히려 무익(無益)의 정도를 넘어서 해악(害惡)이 되었던 것이다.

맹자는 이 이야기 끝에 다음과 같은 말을 덧붙였다.

천하에 싹이 자라도록 돕지 않은 사람을 드물다[天下之不助苗長者寡矣]. 아무 이익이 없다고 하여 내버려두는 사람은 김을 매지 않는 자이고, 자라도록 돕는 사람[助之長者]은 싹을 뽑아 올리는 사람이니, 이는 무익할 뿐 아니라 도리어 그 것을 해치는 것이다.

助長이라는 말은 문자적으로 도와서 성장시키다라는 좋은 뜻을 가지고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쓸데없는 일을 해서 일을 모두 망쳐버리다라는 부정적 의미가 훨씬 강하다.


출전

孟子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拔苗助長(발묘조장) | 助長(조장) |

庭訓 (정훈)

庭訓(정훈)

庭 뜰 정 | 訓 가르칠 훈 |

뜰에서 가르친다는 뜻으로 가정 교육을 이르는 말.


논어(論語) 계씨(季氏)편의 이야기.

공자의 제자인 진항(陳亢)이 공자의 아들인 백어(伯魚)에게 물었다.

"그대는 또 다른 말씀을 들은 적이 있는가."

백어가 대답하였다.

"아직 없습니다. 한번은 홀로 서 계실 때 제가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가자 이르시기를, '시(詩)를 배웠느냐?' 하시기에 '아직 배우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그러자 '시를 배우지 않으면 말을 제대로 할 수 없다' 하시기에 물러나 시를 배웠습니다. 다른 날 또 홀로 서 계실 때 제가 뜰을 지나가자 이르시기를, '예(禮)를 배웠느냐?' 하시기에 '아직 배우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그러자 '예를 배우지 않으면 세상에 나가 설 수 없다' 하시기에 물러나 예를 배웠습니다. 들은 것은 이 두 가지뿐입니다."

진항이 물러나와 기뻐하며, "하나를 물어 셋을 얻었다. 시와 예에 관한 것을 들었고, 또 군자는 자식을 멀리한다는 것을 들어 알았으니 말이다"라고 하였다.

공자는 이처럼 아들에게 세세한 가르침을 주지 않고, 그저 뜰을 지나는 아들을 불러 간접적으로 가르침을 주었을 뿐이다. 뜰을 지날 때의 가르침이라 하여 과정지훈(過庭之訓) 또는 추정(趨庭)이라고도 한다.


출전

논어(論語) 계씨(季氏)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趨庭(추정) | 鯉庭之訓(이정지훈) | 鯉庭(이정) | 過庭之訓(과정지훈) | 家敎(가교)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逆鱗 (역린)

逆鱗(역린)

逆 거스를 역 | 鱗 비늘 린 |

용의 가슴에 거꾸로 난 비늘이라는 뜻으로, ①건드리면 반드시 살해됨 ②임금님의 노여움을 비유(比喩ㆍ譬喩)함


중국에는 용에 관한 전설적 이야기가 많다. 용은 상상의 동물이지만 봉(鳳), 인(麟), 귀(龜)와 더불어 사령(四靈)이라 하여 영물로 실재화하여 생각했다. 용은 특히 비늘[鱗] 달린 짐승 중 으뜸가는 것으로 구름을 일으키고 비를 몰고 온다고 여겼다.

그리고 군주를 용에 비겨서 용상(龍床)이니 용안(龍顔)이니 하여 그 권위와 존엄성을 높이기도 했다. 용상(龍床)이나 용안(龍顔) 외에도, 황제의 후대를 뜻하는 용자(龍子), 황제의 수레인 용여(龍輿) 등은 그 권위와 존엄성을 나타낸 말들이다.

역린은 '한비자(韓非子) 세난편(說難篇)'에 나오는 말이다.

용(龍)이라는 짐승은 잘 길들이면 올라탈 수도 있지만 그의 목 아래에 있는 직경 한 자쯤 되는 역린, 즉 다른 비늘과는 반대 방향으로 나 있는 비늘을 건드리면 반드시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임금도 역린이 있어 말하는 사람이 이 역린만 건드리지 않으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였다.[人主亦有逆鱗]

임금을 용에 비유한 말이다.

食言 (식언)

食言(식언)

食言[shíyán]

食 밥 식, 먹을 식, 먹이 사, 사람 이름 이 | 言 말씀 언, 화기애애할 은 |

한번 입 밖으로 냈던 말을 다시 입속에 넣는다는 뜻으로, ①앞서 한 말을 번복하거나 약속(約束)을 지키지 않고 거짓말을 하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②약속(約束)한 말을 지키지 않는 것

go back on one's word; break one's promise


서경(書經) 탕서(湯誓)에 나오는 말이다. 탕서는 殷(은)나라 탕임금이 夏(하)나라 桀王(걸왕)을 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켰을 때 모든 사람들에게 맹세한 말이다.

탕왕은 출전에 앞 둔 전군(全軍)에 다음과 같이 훈시한다.

“고하노니 그대들이여, 모두 짐의 말을 들으라. 결코 내가 경솔하게 감히 난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고 하나라의 죄가 크기에 하늘이 나에게 명하여 그를 멸하도록 한 것이다. 이제 그대들은 말하기를 ‘우리 임금이 우리들을 가엾게 여기지 않고 우리들의 농사를 그르치게 하고, 하나라를 치게 한다’라고 한다. 나도 그대들의 말을 들었다. 그러나 하나라의 왕이 죄를 지은 이상 나는 하늘이 두려워 감히 정벌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 그대들은 ‘하나라의 죄가 무엇이냐’고 물을 것이다. 하의 걸왕은 모든 사람의 힘을 고갈시키고 하나라를 해치기만 하였다. 이에 모든 사람들은 게을러지고 걸왕과 화합하지 못하게 되어 말하기를 ‘이 해가 언제 망할 것인가. 내 너와 함께 망했으면 한다’고 하였다. 하왕의 덕이 이와 같으니 이제 나도 반드시 가서 정벌해야 하겠다."

탕왕은 하나라 걸왕의 죄상을 설명하며, 계속하여 정벌의 불가피함을 외친다.

"바라건대 그대들은 오로지 나를 보필하여 하늘의 벌을 이루도록 하라. 내 그대들에게 크게 상을 내리리라. 그대들은 이 말을 불신하지 말라. [爾無不信]. 나는 약속을 지킬 것다[朕不食言].

그리고 그는 자신의 처자식의 목숨을 담보로 제시한다. 여기에는 ‘말을 먹는다[食言]’라고 나와 있는데 밥이 뱃속에서 소화되어 버리듯 약속을 슬그머니 넘겨 버리는 것이니, 이는 곧 약속을 지키지 않거나 거짓을 말함을 뜻한다.


《춘추좌씨전》에도 나온다.

춘추 시대 노(魯)나라 애공(哀公)이 월(越)나라에 갔다가 오랜만에 돌아왔다. 조정 중신인 계강자(季康子)와 맹무백(孟武伯)은 애공을 맞이하기 위해 멀리까지 달려나갔고, 애공의 마음을 위로해 주기 위해 조촐한 축하연을 열었다.

그러나 겉으로는 어떨망정 그 술자리는 본질적으로 별로 유쾌한 것이 못 되었다. 왜냐하면 애공이 없는 동안에 계강자와 맹무백은 여러 번이나 그를 비방하고 헐뜯었기 때문이다. 두 사람이 자기를 나쁘게 말했다는 사실을 애공도 알고 있었고 애공이 그 일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계강과 맹무백 또한 알고 있었으니 술자리가 유쾌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한참 어색한 분위기가 이어진 뒤에 맹무백은 곽중(郭重)이란 사람을 보고 이렇게 말했다.

“공은 그동안 몸이 많이 부해졌구려.”

화제가 궁색하여 그렇게 말했던 것인데, 애공이 냉큼 받아넘겼다.

“곽공이 그럴 수밖에요. 그대들이 한 ‘거짓말을 하도 많이 주워 먹었으니[食言]’ 말이오. 그러니 어찌 살이 찌지 않을 수 있었겠소?”

농담 반 진담 반으로 한 이 말은 계강자와 맹무백이 곽중을 통해 자신을 비방하는 거짓말을 일삼을 것을 꼬집은 것이다. 한번 입 밖에 낸 말을 다시 입 속에 넣는다는 말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자신이 한 말을 밥먹듯이 바꾼다는 것을 가리켜 말한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僞言(위언) | 違約(위약) | 負約(부약) |

반의어·상대어

移木之信(이목지신) |

참조어

食言而肥[shíyán'érféi] [성어] 식언으로 배를 불리다.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약속을 지키지 않다. [成语] to break one's promise; to fail to fulfill one's promise |

决不食言[juébùshíyán] [성어] 절대 식언하지 않다. 절대 약속을 어기지 않다. |

四知 (사지)

四知(사지)

四 넉 사 | 知 알 지 |

두 사람만의 사이일지라도 하늘과 땅, 나와 상대편(相對便)이 다 알고 있다는 뜻으로, 비밀(秘密)은 언젠가는 반드시 탄로(綻露)나게 마련임을 이르는 말


後漢(후한)의 楊震(양진)은 그의 해박한 지식과 淸廉潔白(청렴결백)으로 關西公子(관서공자)라는 칭호를 들었다고 한다.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왕밀(王密)을 추천하여 왕밀이 창읍령(昌邑令)이 되었는데, 양진이 동래 태수(東萊太守)로 부임할 때 昌邑(창읍)에서 묵게 되었다. 그러자, 王密(왕밀)이 밤에 찾아와서 10금을 내밀며 뇌물로 바쳤다. 양진은 좋은 말로 타이르며 거절했다.

“나는 당신을 정직한 사람으로 믿어 왔는데, 당신은 나를 이렇게 대한단 말인가.”

왕밀은 말했다.

“지금은 밤중이라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러자 양진이 나무랐다.

“아무도 모르다니,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그대가 알고 내가 아는데[天知地知子知我知] 어째서 아는 사람이 없다고 한단 말인가.”

여기에서 사지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훗날 양진은 삼공(三公)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지만, 환관과 황제의 유모인 왕성의 청탁을 거절했다가 모함을 받게 되자 스스로 독약을 마시고 자살하였다. 四知 란 天知地知子知我知를 가리키는 말이며, 세상에는 비밀이 있을 수 없음을 뜻한다. 四知 와 비슷한 서양식 표현으로는 영어의 'Walls have ears'라는 속담을 들 수 있다.


출전

십팔사략(十八史略) 양진전(楊震傳)


관련 속담

Walls have ears.


관련 한시

應過數粒食 得近四知金(응과수립식 득근사지금)
두어 술 밥이 내 분수에 응당 과분하나니, 어찌 넷이나 알고 있는 돈을 가까이 하리오.

- 두보(杜甫) 풍질주중복침서회정호남친우36운(風疾舟中伏枕書懷呈湖南親友三十六韻)

所寶惟金 楊震四知之說(소보유금 양진사지지설)
값진 것이 오직 금이로되 양진은 사지의 설을 말했네.

- 무명씨(無名氏) 기욕개동유현자절지부(嗜欲皆同惟賢者節之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