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畵自讚(자화자찬)
自 스스로 자 | 畵 그림 화 | 自 스스로 자 | 讚 기릴 찬 |
자기가 한 일이나 행동을 스스로 추켜 칭찬함.
자기가 그린 그림을 자신이 스스로 칭찬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을 자기 스스로 자랑하는 것을 말하며 자찬(自讚)이라고도 한다. 제 일을 제 스스로 자랑하는 것을 비유한 말.
Showing posts with label 自.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自. Show all posts
自暴自棄 (자포자기)
自暴自棄(자포자기)
自暴自弃(zìbàozìqì)
自 스스로 자 | 暴 사나울 포, 사나울 폭, 쬘 폭, 앙상할 박 | 自 스스로 자 | 棄 버릴 기 |
마음에 불만이 있어 행동을 되는 대로 마구 취하고 스스로 자신을 돌아보지 않음.
to give oneself up as hopeless; to abandon oneself to despair
이 말은 원래 孟子(맹자)의 離婁篇(이루편) 上(상)에 나오는데 오늘날의 쓰임새와는 좀 달랐다. 요즘에는 「에라 모르겠다. 될 대로 되라지」하는 마음의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만 당초에는 격이 더 높은 말로 쓰였다. 이 말의 원래의 뜻을 「맹자」에 써 있는 대로 따라 읽어보자.
맹자가 말했다.
『스스로 자신을 해치는 사람과는 더불어 말할 수가 없다. 또 스스로 자신을 버리는 사람과도 더불어 행동할 것이 못된다. 입만 열면 예의도덕을 헐뜯는 것을 「자포」라 하고 仁(인)이나 義(의)를 인정하면서도 그런 것은 도저히 자기 손에는 닿지 않는 것이라 하는 것을 「자기」라고 한다.도덕의 근본 이념인 「인」은 편안히 살 수 있는 집과 같은 것이며 「의」는 사람이 걸어야 할 올바른 길이다. 세상 사람들이 편안한 집을 비워두고 살지 않으며 올바른 길을 두고도 걷지 않으려 하니 참으로 한심한 일이로다』
自暴者 不可與有言也。 自暴者 不可與有爲也。 言非禮義 爲之自暴也, 吾身不能居仁由義 爲之自暴也。
「이루편 상」에는 이같은 맹자의 말만 나열되어 있을 뿐 이것이 언제 누구에게 한 말인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맹자는 자포와 자기를 구별해서 쓴 것 같지만 요즘에는 자포자기라하여 좌절하거나 실의에 빠졌을 때 자기자신을 아무렇게나 해버리는 것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출전]
孟子(맹자) 이루상편(離婁上篇)
自暴自弃(zìbàozìqì)
自 스스로 자 | 暴 사나울 포, 사나울 폭, 쬘 폭, 앙상할 박 | 自 스스로 자 | 棄 버릴 기 |
마음에 불만이 있어 행동을 되는 대로 마구 취하고 스스로 자신을 돌아보지 않음.
to give oneself up as hopeless; to abandon oneself to despair
이 말은 원래 孟子(맹자)의 離婁篇(이루편) 上(상)에 나오는데 오늘날의 쓰임새와는 좀 달랐다. 요즘에는 「에라 모르겠다. 될 대로 되라지」하는 마음의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만 당초에는 격이 더 높은 말로 쓰였다. 이 말의 원래의 뜻을 「맹자」에 써 있는 대로 따라 읽어보자.
맹자가 말했다.
『스스로 자신을 해치는 사람과는 더불어 말할 수가 없다. 또 스스로 자신을 버리는 사람과도 더불어 행동할 것이 못된다. 입만 열면 예의도덕을 헐뜯는 것을 「자포」라 하고 仁(인)이나 義(의)를 인정하면서도 그런 것은 도저히 자기 손에는 닿지 않는 것이라 하는 것을 「자기」라고 한다.도덕의 근본 이념인 「인」은 편안히 살 수 있는 집과 같은 것이며 「의」는 사람이 걸어야 할 올바른 길이다. 세상 사람들이 편안한 집을 비워두고 살지 않으며 올바른 길을 두고도 걷지 않으려 하니 참으로 한심한 일이로다』
自暴者 不可與有言也。 自暴者 不可與有爲也。 言非禮義 爲之自暴也, 吾身不能居仁由義 爲之自暴也。
「이루편 상」에는 이같은 맹자의 말만 나열되어 있을 뿐 이것이 언제 누구에게 한 말인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맹자는 자포와 자기를 구별해서 쓴 것 같지만 요즘에는 자포자기라하여 좌절하거나 실의에 빠졌을 때 자기자신을 아무렇게나 해버리는 것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출전]
孟子(맹자) 이루상편(離婁上篇)
自中之亂 (자중지란)
自中之亂(자중지란)
自 스스로 자 | 中 가운데 중 | 之 갈 지 | 亂 어지러울 란(난) |
자기편 속에서 일어난 싸움.
a fight among themselves, an internal strife[dissension]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內紛(내분) | 內爭(내쟁) | 內訌(내홍) | 内讧(nèihòng) | 蕭牆之亂(소장지란) | 蕭牆之變(소장지변) | 蕭牆之憂(소장지우)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自 스스로 자 | 中 가운데 중 | 之 갈 지 | 亂 어지러울 란(난) |
자기편 속에서 일어난 싸움.
a fight among themselves, an internal strife[dissension]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內紛(내분) | 內爭(내쟁) | 內訌(내홍) | 内讧(nèihòng) | 蕭牆之亂(소장지란) | 蕭牆之變(소장지변) | 蕭牆之憂(소장지우)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自怨自艾 (자원자애)
自怨自艾(자원자애)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책망하고 수양에 힘쓴다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뉘우치고 채찍질해 수양에 힘쓴다는 뜻으로, 잘못을 깨닫고 허물을 고친다는 말이다. 지난 잘못을 고치고 착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뜻의 개과천선(改過遷善)과 통한다. 《맹자(孟子)》 만장상(萬章上) '지어우이덕쇠장(至於禹而德衰章)'에 나온다.
만장이 맹자에게, 우(禹)임금 대에 이르러 덕이 쇠하자 천자의 자리가 어리석은 인물에게 전해졌다는 것에 대해 묻자 맹자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다. 맹자는 하늘이 천하를 잘난 인물에게 주면 그에게 전해지고, 하늘이 그 아들에게 주면 아들에게 주어진다고 하면서 여러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한 뒤 탕(湯)의 법도를 뒤집은 태갑(太甲)이 3년 만에 자신의 과오를 뉘우쳐, 스스로 원망하고 스스로 바른 길을 닦았다는 고사를 들려준다.
"태갑이 탕의 제도와 형제(刑制)를 파괴하자 이윤(伊尹)은 그를 동(桐) 지방으로 쫓아냈다. 3년이 지나자 태갑이 잘못을 뉘우쳐 스스로 원망하고 스스로 닦아 동 지방에서 어질고 의롭게 행하기를 3년 동안 하였다(三年 太甲悔過 自怨自艾 於桐處仁遷義 三年)."
이와 같이 자신의 잘못을 깊이 반성하고 뉘우쳐 스스로 수양에 힘쓰는 것을 자원자애라고 한다. 증자(曾子)가 스스로 잘못한 일이 있는지 하루에 3번씩 자신을 살폈다는 《논어(論語)》의 '일일삼성오신(一日三省吾身)'과도 일맥 상통한다. 반대되는 표현으로는 저 잘났다고 뽐낸다는 뜻의 '자명득의(自鳴得意)'가 있는데, 이는 봄날의 꿩이 스스로 울어 자기가 있는 곳을 노출시켜 화를 자초한다는 '춘치자명(春雉自鳴)'과 같은 말이다.
관련 한자어
반의어·상대어
自鳴得意(자명득의) | 春雉自鳴(춘치자명) |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책망하고 수양에 힘쓴다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뉘우치고 채찍질해 수양에 힘쓴다는 뜻으로, 잘못을 깨닫고 허물을 고친다는 말이다. 지난 잘못을 고치고 착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뜻의 개과천선(改過遷善)과 통한다. 《맹자(孟子)》 만장상(萬章上) '지어우이덕쇠장(至於禹而德衰章)'에 나온다.
만장이 맹자에게, 우(禹)임금 대에 이르러 덕이 쇠하자 천자의 자리가 어리석은 인물에게 전해졌다는 것에 대해 묻자 맹자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다. 맹자는 하늘이 천하를 잘난 인물에게 주면 그에게 전해지고, 하늘이 그 아들에게 주면 아들에게 주어진다고 하면서 여러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한 뒤 탕(湯)의 법도를 뒤집은 태갑(太甲)이 3년 만에 자신의 과오를 뉘우쳐, 스스로 원망하고 스스로 바른 길을 닦았다는 고사를 들려준다.
"태갑이 탕의 제도와 형제(刑制)를 파괴하자 이윤(伊尹)은 그를 동(桐) 지방으로 쫓아냈다. 3년이 지나자 태갑이 잘못을 뉘우쳐 스스로 원망하고 스스로 닦아 동 지방에서 어질고 의롭게 행하기를 3년 동안 하였다(三年 太甲悔過 自怨自艾 於桐處仁遷義 三年)."
이와 같이 자신의 잘못을 깊이 반성하고 뉘우쳐 스스로 수양에 힘쓰는 것을 자원자애라고 한다. 증자(曾子)가 스스로 잘못한 일이 있는지 하루에 3번씩 자신을 살폈다는 《논어(論語)》의 '일일삼성오신(一日三省吾身)'과도 일맥 상통한다. 반대되는 표현으로는 저 잘났다고 뽐낸다는 뜻의 '자명득의(自鳴得意)'가 있는데, 이는 봄날의 꿩이 스스로 울어 자기가 있는 곳을 노출시켜 화를 자초한다는 '춘치자명(春雉自鳴)'과 같은 말이다.
관련 한자어
반의어·상대어
自鳴得意(자명득의) | 春雉自鳴(춘치자명) |
自業自得 (자업자득)
自業自得(자업자득)
自 스스로 자 | 業 업 업 | 自 스스로 자 | 得 얻을 득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를 자기 자신이 받는 일.
to come home to roost
자신이 저지른 과보(果報)나 업을 자신이 받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저지른 결과라는 뜻으로 많이 쓴다. 따라서 여기서 업은 나쁜 업을 일컫는다. 자업자박(自業自縛)과 같은 뜻으로, 자신이 쌓은 업으로 자신을 묶는다는 말이다.
자기가 꼰 새끼로 자신을 묶어, 결국 자기 꾐에 자기가 빠지는 것을 뜻하는 자승자박(自繩自縛)도 이와 비슷하다. 그밖에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의 인연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 된다는 뜻의 인과응보(因果應報)에도 자업자득의 뜻이 들어 있다.
자업자득에는 무슨 일이든 결국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는 사필귀정(事必歸正)의 뜻이 담겨 있다.
[출전]
정법염경(正法念經)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自作之孼(자작지얼) | 自作自受(자작자수) | 自作孼(자작얼) | 自業自縛(자업자박) | 養虎遺患(양호유환) |
自 스스로 자 | 業 업 업 | 自 스스로 자 | 得 얻을 득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를 자기 자신이 받는 일.
to come home to roost
자신이 저지른 과보(果報)나 업을 자신이 받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저지른 결과라는 뜻으로 많이 쓴다. 따라서 여기서 업은 나쁜 업을 일컫는다. 자업자박(自業自縛)과 같은 뜻으로, 자신이 쌓은 업으로 자신을 묶는다는 말이다.
자기가 꼰 새끼로 자신을 묶어, 결국 자기 꾐에 자기가 빠지는 것을 뜻하는 자승자박(自繩自縛)도 이와 비슷하다. 그밖에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의 인연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 된다는 뜻의 인과응보(因果應報)에도 자업자득의 뜻이 들어 있다.
자업자득에는 무슨 일이든 결국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는 사필귀정(事必歸正)의 뜻이 담겨 있다.
[출전]
정법염경(正法念經)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自作之孼(자작지얼) | 自作自受(자작자수) | 自作孼(자작얼) | 自業自縛(자업자박) | 養虎遺患(양호유환) |
自繩自縛 (자승자박)
自繩自縛(자승자박)
自 스스로 자 | 繩 노끈 승 | 自 스스로 자 | 縛 얽을 박 |
자기(自己)의 줄로 자기(自己)를 묶다는 말로, ①자기(自己)가 자기(自己)를 망치게 한다는 뜻. 즉, 자기(自己)의 언행(言行)으로 인(因)하여 자신(自身)이 꼼짝 못하게 되는 일 ②불교(佛敎)에서, 스스로 번뇌(煩惱)를 일으켜 괴로워함
자기 스스로를 옭아 묶음으로써 자신의 언행(言行) 때문에 자기가 속박당해 괴로움을 겪는 일에 비유한 말로, 자박(自縛)이라고도 한다. 자기가 만든 법에 자신이 해를 입는다는 뜻의 작법자폐(作法自斃)와 비슷한 말이다. 자기가 주장한 의견이나 행동으로 말미암아 난처한 처지에 놓여 자신의 자유를 잃게 된다.
《한서(漢書)》 유협전(遊俠傳)에 나오는 '자박'에서 유래한 말이다. 시장에서 원섭(原涉)의 노비(奴婢)가 백정(白丁)과 말다툼을 한 뒤 죽이게 되자 무릉(茂陵)의 태수 윤공(尹公)이 원섭을 죽이려고 하여 협객들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원섭의 종이 법을 어긴 것은 부덕한 탓이다. 그에게 웃옷을 벗고 스스로 옭아묶어 화살로 귀를 뚫고 법정에 나가서 사죄하게 하면 당신의 위엄도 유지될 것이다."
原巨先奴犯法不德 使肉袒自縛 箭貫耳 詣廷門謝罪 於君威亦足矣
원래는 궁지에 몰려서 항복의 표시로 자신의 몸을 묶고 관용을 청하는 것이다. 스스로 번뇌(煩惱)를 일으켜 괴로워하거나 자기가 잘못함으로써 스스로 불행을 초래하는데 비유한 고사성어이다.
[출전]
한서(漢書) 유협전(遊俠傳)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爲法自弊(위법자폐) | 作法自斃(작법자폐) | 自繩自縛(자승자박) | 자업자득(自業自得) |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제가 놓은 덫에 치이다.
제가 놓은 덫에 제가 먼저 걸려든다.
自 스스로 자 | 繩 노끈 승 | 自 스스로 자 | 縛 얽을 박 |
자기(自己)의 줄로 자기(自己)를 묶다는 말로, ①자기(自己)가 자기(自己)를 망치게 한다는 뜻. 즉, 자기(自己)의 언행(言行)으로 인(因)하여 자신(自身)이 꼼짝 못하게 되는 일 ②불교(佛敎)에서, 스스로 번뇌(煩惱)를 일으켜 괴로워함
자기 스스로를 옭아 묶음으로써 자신의 언행(言行) 때문에 자기가 속박당해 괴로움을 겪는 일에 비유한 말로, 자박(自縛)이라고도 한다. 자기가 만든 법에 자신이 해를 입는다는 뜻의 작법자폐(作法自斃)와 비슷한 말이다. 자기가 주장한 의견이나 행동으로 말미암아 난처한 처지에 놓여 자신의 자유를 잃게 된다.
《한서(漢書)》 유협전(遊俠傳)에 나오는 '자박'에서 유래한 말이다. 시장에서 원섭(原涉)의 노비(奴婢)가 백정(白丁)과 말다툼을 한 뒤 죽이게 되자 무릉(茂陵)의 태수 윤공(尹公)이 원섭을 죽이려고 하여 협객들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원섭의 종이 법을 어긴 것은 부덕한 탓이다. 그에게 웃옷을 벗고 스스로 옭아묶어 화살로 귀를 뚫고 법정에 나가서 사죄하게 하면 당신의 위엄도 유지될 것이다."
原巨先奴犯法不德 使肉袒自縛 箭貫耳 詣廷門謝罪 於君威亦足矣
원래는 궁지에 몰려서 항복의 표시로 자신의 몸을 묶고 관용을 청하는 것이다. 스스로 번뇌(煩惱)를 일으켜 괴로워하거나 자기가 잘못함으로써 스스로 불행을 초래하는데 비유한 고사성어이다.
[출전]
한서(漢書) 유협전(遊俠傳)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爲法自弊(위법자폐) | 作法自斃(작법자폐) | 自繩自縛(자승자박) | 자업자득(自業自得) |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제가 놓은 덫에 치이다.
제가 놓은 덫에 제가 먼저 걸려든다.
自告奋勇 (자고분용, zìgàofènyǒng)
自告奋勇(자고분용)
自告奋勇(zìgàofènyǒng)
自 스스로 자 | 告 알릴 고 | 奋 날개칠 분 | 勇 용감할 용
스스로 임무를 짊어지다. 자진해서 나서다.
Volunteer
自己主动要求承担某项任务。
관련 한자어
유의어
毛遂自薦(모수자천) |
自畵自讚(자화자찬) |
自告奋勇(zìgàofènyǒng)
自 스스로 자 | 告 알릴 고 | 奋 날개칠 분 | 勇 용감할 용
스스로 임무를 짊어지다. 자진해서 나서다.
Volunteer
自己主动要求承担某项任务。
관련 한자어
유의어
毛遂自薦(모수자천) |
自畵自讚(자화자찬) |
自强不息 (자강불식)
自强不息(자강불식)
自强不息(zìqiángbùxī)
自 스스로 자 | 强 강할 강 | 不 아닐 불, 아닐 부 | 息 쉴 식 |
스스로 힘을 쓰고 몸과 마음을 가다듬어 쉬지 아니함
to strive to become stronger; to make unremitting efforts to improve oneself
[출전]
역경(易經)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自彊不息(자강불식) | 自强不息(자강불식) |
自强不息(zìqiángbùxī)
自 스스로 자 | 强 강할 강 | 不 아닐 불, 아닐 부 | 息 쉴 식 |
스스로 힘을 쓰고 몸과 마음을 가다듬어 쉬지 아니함
to strive to become stronger; to make unremitting efforts to improve oneself
[출전]
역경(易經)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自彊不息(자강불식) | 自强不息(자강불식)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