毆槃捫燭(구반문촉)
殴盘扪烛(ōupánménzhú)
毆 때릴 구 | 槃 쟁반 반 | 捫 어루만질 문 | 燭 촛불 촉 |
장님이 쟁반을 두드리고 초를 어루만져 본 것만 가지고 태양에 대해 말한다는 뜻이다. 확실하지도 않은 것을 가지고 이렇다 저렇다 함부로 논하거나 말하지 말라는 것을 빗댄 한자성어이다. 군맹무상(群盲撫象)과 뜻이 통한다.
북송(北宋) 때의 시인 소동파(蘇東坡)가 쓴〈일유(日喩)〉에서 유래하였다. 태어나면서 장님인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태양이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해 어떤 사람에게 물으니, 구리 쟁반처럼 생겼다고 대답하였다. 소경은 집으로 돌아와 쟁반을 두드려 보고 그 소리를 기억해 두었다. 다른 날 길을 가다가 종소리를 듣고는 쟁반을 두드릴 때 나는 소리와 비슷하자, 종을 태양이라고 하였다.
어떤 이가 다시 태양은 촛불처럼 빛을 낸다고 하자, 손으로 초를 어루만져 보고는 그 생김새를 기억해 두었다. 뒷날 우연히 피리를 만져보고는 초와 생김새가 비슷했으므로 이번에는 피리를 태양이라고 하였다.
구반문촉이란 말은 이 우화에서 생겼다. 장님은 태양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남의 말만 듣고 지레짐작으로 쟁반·종·초를 태양으로 단정하였다. 하지만 이 셋은 태양의 실체와는 전혀 다르다. 사람들이 들으면 배꼽 잡고 웃을 일인데도, 장님은 이를 태연하게 진리처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남의 말만 곧이 듣고서 그것이 마치 사실이나 진리인 듯 여겨 어리석음을 자초하지 말라고 경계하는 한자성어가 바로 구반문촉이다. 섣부른 판단, 불확실한 일, 맹목적인 믿음 등이 모두 경계 대상에 포함된다. 군맹모상(群盲摸象)·군맹무상(群盲撫象)·군맹평상(群盲評象)·맹인모상(盲人摸象)과도 뜻이 통한다.
[유래]
日喩(일유) |
관련 한자어
유의어
群盲評象(군맹평상) | 群盲撫象(군맹무상) |
Tag
日喩(일유) | 蘇東坡(소동파) |
Showing posts with label 북송.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북송. Show all posts
佳人薄命 (가인박명)
佳人薄命(가인박명)
佳人薄命(jiā rén bó mìng)
佳 아름다울 가 | 人 사람 인 | 薄 메마를 박 | 命 운명 명
여자의 얼굴이 너무 빼어나면 삶이 순탄하지 않다는 말.
소식(蘇軾:1036∼1101)의 칠언율시 '박명가인(薄命佳人)'의 한 구절인 "자고가인다박명(自古佳人多薄命)"에서 유래한다.
自古佳人多命薄 閉門春盡楊花落
예로부터 아름다운 여인의 운명 기박함이 많으니 / 문을 닫은채 봄이 지나가면 버들꽃도 떨어지리.
본래 이 시에서는 佳人命薄이라 하였으나 후에는 佳人薄命으로 바뀌었고, 지금은 美人薄命(미인박명) 이라는 말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佳人薄命이란 미모가 뛰어난 여자는 그 운명이 기구하거나 길지 못함을 뜻하는 말이다.
본명보다 雅號(아호)를 딴 蘇東坡(소동파)로 더 알려진 蘇軾(소식)은 北宋(북송)후기의 대시인이며 문장가요 학자이기도 했다. 그는 官界(관계)에 들어간 이래 줄곧 정적과의 싸움으로 보낸 덕분에 지방의 변변찮은 관직만을 맴돌 수밖에 없었다. 기구하고 파란만장한 삶을 살면서도 오히려 그의 문학은 자유롭고 활달하게 전개되어 오늘날에도 인구에 회자되는 不朽(불후)의 작품들을 남겨 놓았으며, 양주지방 장관으로 있을 때 30세가 넘은 예쁜 여승의 파란만장한 삶을 유추하여 시를 지었다.
동양 최고의 미인으로 알려진 '양귀비'가 '안녹산의 난' 중에 군인들에게 무참하게 살해당한 것을 두고 사람들은 '가인박명'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고있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佳人薄命(가인박명) | 美人薄命(미인박명) |
佳人薄命(jiā rén bó mìng)
佳 아름다울 가 | 人 사람 인 | 薄 메마를 박 | 命 운명 명
여자의 얼굴이 너무 빼어나면 삶이 순탄하지 않다는 말.
소식(蘇軾:1036∼1101)의 칠언율시 '박명가인(薄命佳人)'의 한 구절인 "자고가인다박명(自古佳人多薄命)"에서 유래한다.
自古佳人多命薄 閉門春盡楊花落
예로부터 아름다운 여인의 운명 기박함이 많으니 / 문을 닫은채 봄이 지나가면 버들꽃도 떨어지리.
본래 이 시에서는 佳人命薄이라 하였으나 후에는 佳人薄命으로 바뀌었고, 지금은 美人薄命(미인박명) 이라는 말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佳人薄命이란 미모가 뛰어난 여자는 그 운명이 기구하거나 길지 못함을 뜻하는 말이다.
본명보다 雅號(아호)를 딴 蘇東坡(소동파)로 더 알려진 蘇軾(소식)은 北宋(북송)후기의 대시인이며 문장가요 학자이기도 했다. 그는 官界(관계)에 들어간 이래 줄곧 정적과의 싸움으로 보낸 덕분에 지방의 변변찮은 관직만을 맴돌 수밖에 없었다. 기구하고 파란만장한 삶을 살면서도 오히려 그의 문학은 자유롭고 활달하게 전개되어 오늘날에도 인구에 회자되는 不朽(불후)의 작품들을 남겨 놓았으며, 양주지방 장관으로 있을 때 30세가 넘은 예쁜 여승의 파란만장한 삶을 유추하여 시를 지었다.
동양 최고의 미인으로 알려진 '양귀비'가 '안녹산의 난' 중에 군인들에게 무참하게 살해당한 것을 두고 사람들은 '가인박명'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고있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佳人薄命(가인박명) | 美人薄命(미인박명)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