玩火自焚(완화자분)
玩火自焚 [wánhuǒzìfén]
玩 희롱할 완, 가지고 놀 완 | 火 불 화 | 自 스스로 자 | 焚 불사를 분 |
불을 가지고 놀다가 자신을 태워 버린다는 뜻으로, 무모한 일로 남을 해치려다 결국 자신이 해를 입게 됨.
Somebody who plays with fire will get burnt, (fig.) One venturing to do evil is bound to suffer from his own evil.
춘추좌전 은공(隱公) 4년조에는 무력의 위험성을 경고한 기록이 있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위(衛)나라 군주인 장공(莊公)의 첩이 아들을 낳자 이름을 주우라고 하였다. 주우는 어려서부터 장공의 총애를 받고 조금이라도 마음에 들지 않으면 곧 무력으로써 해결하려 했다. 장공이 죽자 환공(桓公)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그러나 위(衛)나라의 공자(孔子) 주우는 기원전 719년 환공(桓公)을 죽이고 군주의 자리를 찬탈했다. 주우는 왕위를 찬탈한 후 송(宋)나라와 진(陳)나라, 채(蔡)나라 등과 연합하여 정(鄭)나라를 공격했다.
노(魯)나라 은공(隱公)이 이 소식을 듣고 대부(大夫) 중중(衆仲)에게 주우가 뜻을 이룰 수 있겠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중중은 이렇게 대답(對答)했다.
"주우는 무력만을 믿고 잔인(殘忍)한 짓을 하면서도 태연합니다만, 무력에 의지했다간 국민들이 등을 돌리고 심복들마저 떨어져 나가게 됩니다. 무력이란 불과 같은 것이어서, 단속하지 않으면 장차 자신이 그 불속에서 타게 될 것입니다. [夫兵, 猶火也. 弗 , 將自焚也]"
玩火自焚이란 무모한 일로 남을 해치려다 결국 자신이 해를 입게 됨을 비유한 말로 이러한 노(魯)나라 중중(衆仲)의 말에서 유래(由來)한다.
출전
좌씨전(左氏傳)
Showing posts with label 완.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완. Show all posts
頑石點頭 (완석점두, wánshídiǎntóu)
頑石點頭(완석점두)
顽石点头(wánshídiǎntóu)
頑 완고할 완 | 石 돌 석 | 點 끄덕일 점 | 頭 머리 두 |
顽石(wánshí) 돌, 나쁜 사람 |
'완고한 돌도 고개를 끄덕인다'라는 뜻으로, 깊이 감화받은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동진(東晉) 시대의 도생법사(道生法師)라는 승려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도생법사는 생공(生公)이라고도 부르며, 인도불교와 선(禪)을 중국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어려서 인도에서 온 승려 축법태(竺法汰)를 따라 출가하였고, 나중에 장안(長安)에서 구마라습(鳩摩羅什)에게 불법을 배웠다. 그는 《열반경(涅槃經)》이 중국에 번역되어 전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공공연히 천제성불설(闡提成佛說:깨달음이 없는 사람도 성불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다른 승려들이 이를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생은 사찰에서 축출되었다. 도생은 소주(蘇州)의 호구산(虎口山)에서 기거하면서 때로는 돌멩이들을 모아 놓고 《열반경》에 대하여 강의하였다. 도생은 한참 강의를 하다가 천제성불 대목에 이르면 돌들을 향하여 "내 설법이 불심(佛心)에 부합되지 않는가"라고 물었는데, 돌멩이들이 모두 그의 말이 맞다고 하는 듯이 고개를 끄덕였다고 한다.
나중에 《열반경》이 중국에 번역되어 전해져 도생의 설법과 부합하는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도생은 예전에 있던 여산(廬山)의 사찰로 돌아갔다. 이 고사는 진나라 때 쓰여진 《연사고현전(蓮社高賢傳)》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완석점두는 완고하고 무지한 사람들도 기꺼이 순종할 만큼 깊이 감화받거나 그렇게 되도록 도리를 밝혀 상대방을 잘 설득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한편 소주의 호구산에는 도생이 돌들에게 강의하던 설법대(說法臺)와 점두석(點頭石)이 지금도 남아 있어 관광지로 이용된다.
蓮社高賢傳(연사고현전) |
顽石点头(wánshídiǎntóu)
頑 완고할 완 | 石 돌 석 | 點 끄덕일 점 | 頭 머리 두 |
顽石(wánshí) 돌, 나쁜 사람 |
'완고한 돌도 고개를 끄덕인다'라는 뜻으로, 깊이 감화받은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동진(東晉) 시대의 도생법사(道生法師)라는 승려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도생법사는 생공(生公)이라고도 부르며, 인도불교와 선(禪)을 중국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어려서 인도에서 온 승려 축법태(竺法汰)를 따라 출가하였고, 나중에 장안(長安)에서 구마라습(鳩摩羅什)에게 불법을 배웠다. 그는 《열반경(涅槃經)》이 중국에 번역되어 전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공공연히 천제성불설(闡提成佛說:깨달음이 없는 사람도 성불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다른 승려들이 이를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생은 사찰에서 축출되었다. 도생은 소주(蘇州)의 호구산(虎口山)에서 기거하면서 때로는 돌멩이들을 모아 놓고 《열반경》에 대하여 강의하였다. 도생은 한참 강의를 하다가 천제성불 대목에 이르면 돌들을 향하여 "내 설법이 불심(佛心)에 부합되지 않는가"라고 물었는데, 돌멩이들이 모두 그의 말이 맞다고 하는 듯이 고개를 끄덕였다고 한다.
나중에 《열반경》이 중국에 번역되어 전해져 도생의 설법과 부합하는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도생은 예전에 있던 여산(廬山)의 사찰로 돌아갔다. 이 고사는 진나라 때 쓰여진 《연사고현전(蓮社高賢傳)》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완석점두는 완고하고 무지한 사람들도 기꺼이 순종할 만큼 깊이 감화받거나 그렇게 되도록 도리를 밝혀 상대방을 잘 설득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한편 소주의 호구산에는 도생이 돌들에게 강의하던 설법대(說法臺)와 점두석(點頭石)이 지금도 남아 있어 관광지로 이용된다.
蓮社高賢傳(연사고현전) |
完璧歸趙 (완벽귀조)
完璧歸趙(완벽귀조)
完璧归赵(wánbìguīZhào)
完 완전할 완 | 璧 구슬 벽 | 歸 돌아갈 귀 | 趙 나라 조,찌를 조 |
'구슬을 온전히 조나라로 돌려보내다'라는 뜻으로, ①흠이 없는 구슬. 결점이 없이 완전함 ②빌렸던 물건을 온전히 반환함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혜문왕(惠文王)이 화씨지벽이라는 진귀한 벽옥(璧玉)을 얻었는데, 진(秦)나라 소왕(昭王)이 이를 빼앗을 속셈으로 15개의 성과 벽옥을 바꾸자고 제안하였다. 혜문왕은 소왕의 속셈을 짐작하였으나, 제안을 거절하였다가는 강대국인 진나라의 공격을 받게 될까 우려하였다. 그러자 무현(繆賢)이라는 신하가 자신의 식객으로 있는 인상여(藺相如)가 지용(智勇)을 겸비하였으니 대책을 상의해보라고 건의하였다.
혜문왕을 만난 인상여는 자신이 벽옥을 가지고 진나라로 가서 소왕이 약속을 지키면 벽옥을 내주고,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벽옥을 온전히 하여 조나라로 돌아오겠다[完璧歸趙]'고 말하였다. 인상여가 진나라로 가서 소왕에게 벽옥을 주었으나 소왕은 약속한 15개 성을 내줄 생각이 없어 보였다. 인상여는 소왕에게 벽옥이 둘도 없는 진귀한 보물이기는 하지만 작은 흠집이 있으니 그것을 보여주겠다고 하였다.
소왕이 그 말을 믿고 벽옥을 인상여에게 도로 내주었다. 그러자 인상여는 벽옥을 가지고 기둥 옆으로 가서는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벽옥을 기둥에 던져 부숴뜨리고 자신도 머리를 부딪쳐 자결하겠다고 소리쳤다. 소왕은 벽옥이 손상될까 두려워하여 임시변통으로 성을 내주겠다고 약속하였다. 소왕의 진의를 간파한 인상여는 5일 내로 약속을 지키면 벽옥을 돌려주겠다고 말하고는 남몰래 사람들을 시켜 벽옥을 조나라로 돌려보냈다. 이로써 벽옥은 온전한 상태로 조나라로 다시 돌아가게 되었다.
이 고사는 《사기(史記)》의 〈인상여열전〉 편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완벽귀조는 화씨지벽이 처음의 온전한 상태로 조나라로 돌아간 것과 마찬가지로 원래의 물건을 조금도 상하지 않게 하여 완전한 상태로 주인에게 돌려주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완벽이라는 고사성어도 이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출전]
史記(사기):廉頗藺相如列傳(염파인상여열전) |
참조어
유의어
完璧(완벽) |
사기:염파인상여열전, 史記:廉頗藺相如列傳
完璧归赵(wánbìguīZhào)
完 완전할 완 | 璧 구슬 벽 | 歸 돌아갈 귀 | 趙 나라 조,찌를 조 |
'구슬을 온전히 조나라로 돌려보내다'라는 뜻으로, ①흠이 없는 구슬. 결점이 없이 완전함 ②빌렸던 물건을 온전히 반환함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혜문왕(惠文王)이 화씨지벽이라는 진귀한 벽옥(璧玉)을 얻었는데, 진(秦)나라 소왕(昭王)이 이를 빼앗을 속셈으로 15개의 성과 벽옥을 바꾸자고 제안하였다. 혜문왕은 소왕의 속셈을 짐작하였으나, 제안을 거절하였다가는 강대국인 진나라의 공격을 받게 될까 우려하였다. 그러자 무현(繆賢)이라는 신하가 자신의 식객으로 있는 인상여(藺相如)가 지용(智勇)을 겸비하였으니 대책을 상의해보라고 건의하였다.
혜문왕을 만난 인상여는 자신이 벽옥을 가지고 진나라로 가서 소왕이 약속을 지키면 벽옥을 내주고,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벽옥을 온전히 하여 조나라로 돌아오겠다[完璧歸趙]'고 말하였다. 인상여가 진나라로 가서 소왕에게 벽옥을 주었으나 소왕은 약속한 15개 성을 내줄 생각이 없어 보였다. 인상여는 소왕에게 벽옥이 둘도 없는 진귀한 보물이기는 하지만 작은 흠집이 있으니 그것을 보여주겠다고 하였다.
소왕이 그 말을 믿고 벽옥을 인상여에게 도로 내주었다. 그러자 인상여는 벽옥을 가지고 기둥 옆으로 가서는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벽옥을 기둥에 던져 부숴뜨리고 자신도 머리를 부딪쳐 자결하겠다고 소리쳤다. 소왕은 벽옥이 손상될까 두려워하여 임시변통으로 성을 내주겠다고 약속하였다. 소왕의 진의를 간파한 인상여는 5일 내로 약속을 지키면 벽옥을 돌려주겠다고 말하고는 남몰래 사람들을 시켜 벽옥을 조나라로 돌려보냈다. 이로써 벽옥은 온전한 상태로 조나라로 다시 돌아가게 되었다.
이 고사는 《사기(史記)》의 〈인상여열전〉 편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완벽귀조는 화씨지벽이 처음의 온전한 상태로 조나라로 돌아간 것과 마찬가지로 원래의 물건을 조금도 상하지 않게 하여 완전한 상태로 주인에게 돌려주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완벽이라는 고사성어도 이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출전]
史記(사기):廉頗藺相如列傳(염파인상여열전) |
참조어
유의어
完璧(완벽) |
사기:염파인상여열전, 史記:廉頗藺相如列傳
Labels:
4자성어,
사기:염파인상여열전,
ㅇ,
완,
史記:廉頗藺相如列傳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