懸梁刺股(현량자고)
懸 매달 현 | 梁 대들보 량 | 刺 찌를 자 | 股 넓적다리 고 |
'머리카락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지를 송곳으로 찌른다'라는 뜻으로, 분발하여 학문에 정진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한(漢)나라 때의 대학자인 손경(孫敬)과 전국시대에 종횡가(縱橫家)로 명성을 떨친 소진(蘇秦)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현두자고(懸頭刺股) 또는 자고현량(刺股懸梁)이라고도 한다. 손경(孫敬)과 소진 두 사람의 일화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합쳐진 것이다.
'현량'은 손경의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손경은 자가 문보(問寶)이며, 학문을 좋아하여 사람들이 찾아오지 못하도록 문을 잠근 채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학문에 몰두하였다.
그는 공부를 하다가 졸음이 오면 노끈으로 머리카락을 묶어 대들보에 매달았다. [以繩系頭, 懸屋梁] 잠이 와서 고개를 떨구면 노끈이 팽팽해지면서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는 통증 때문에 정신이 번쩍 들어 다시 공부를 계속하였다. 이와 같이 노력하여 손경은 나중에 대유학자가 되었다. 이 고사는 《몽구(蒙求)》와 《태평광기(太平廣記)》 등에 실려 있다.
'자고'는 소진의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소진은 처음에 진(秦)나라 혜왕(惠王)에게 연횡책(連橫策)을 유세하다가 좌절하여 집으로 돌아왔는데, 가족들이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 그를 박대하였다. 그는 자신을 한탄하며 궤짝에 들어 있는 책들을 꺼내 살펴보다가 태공(太公)이 지은 《음부(陰符)》를 발견하였다.
소진은 그 책을 공부하는 데 몰두하였으며, 몸이 지쳐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넓적다리를 찔러 피가 줄줄 흐르곤 하였다. [引錐自刺其股, 血流至足] 1년이 지나 소진은 마침내 그 책의 이치를 터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종횡가로 명성을 떨치며 전국시대 6국의 재상이 되었다. 이 고사는 《전국책(戰國策)》의 〈진책(秦策)〉편에 실려 있다. 이 두 가지 고사에서 유래하여 현량자고는 고통을 감수하고 분발하여 학문에 정진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출전
전국책(戰國冊) 진책(秦策)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刺股懸梁(자고현량) | 懸頭刺股(현두자고) | 懸梁刺股(현량자고) |
Showing posts with label 懸.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懸. Show all posts
懸河雄辯 (현하웅변)
懸河雄辯(현하웅변)
懸 달 현 | 河 물 하 | 雄 수컷 웅 | 辯 말씀 변, 두루 미칠 편 |
현하구변.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懸河之辯(현하지변) | 懸河口辯(현하구변) |
懸 달 현 | 河 물 하 | 雄 수컷 웅 | 辯 말씀 변, 두루 미칠 편 |
현하구변.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懸河之辯(현하지변) | 懸河口辯(현하구변) |
懸河口辯 (현하구변)
懸河口辯(현하구변)
懸 달 현 | 河 물 하 | 口 입 구 | 辯 말씀 변, 두루 미칠 편 |
흐르는 물과 같이 거침없이 술술 나오는 말.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懸河之辯(현하지변) | 懸河雄辯(현하웅변) |
懸 달 현 | 河 물 하 | 口 입 구 | 辯 말씀 변, 두루 미칠 편 |
흐르는 물과 같이 거침없이 술술 나오는 말.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懸河之辯(현하지변) | 懸河雄辯(현하웅변) |
懸頭刺股 (현두자고)
懸頭刺股(현두자고)
懸 달 현 | 頭 머리 두 | 刺 찌를 자, 찌를 척, 수라 라(나), 비방할 체 | 股 넓적다리 고 |
상투를 천장에 달아매고,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찔러서 잠을 깨운다는 뜻으로, 학업(學業)에 매우 힘씀을 이르는 말
漢(한)나라의 孫敬(손경)은 洛陽(낙양)의 대학에 있을 때 공부에만 매달렸다. 공부하다가 졸음이 와서 고개가 숙여지지 못하도록 자신의 머리를 대들보에 끈으로 매달아 놓고(懸頭) 책을 읽었다.
전국시대 遊說家(유세가)로 유명한 蘇秦(소진)은 책을 읽는데 졸음이 오면 송곳을 가져다가 자신의 넓적다리를 찔렀다(刺股). 어떨 때는 흘러내린 피가 발뒤꿈치까지 이를 정도였다고 한다.
[출전]
초국선현전(楚國先賢傳)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刺股懸梁(자고현량) | 懸頭刺股(현두자고) | 懸梁刺股(현량자고) |
懸 달 현 | 頭 머리 두 | 刺 찌를 자, 찌를 척, 수라 라(나), 비방할 체 | 股 넓적다리 고 |
상투를 천장에 달아매고,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찔러서 잠을 깨운다는 뜻으로, 학업(學業)에 매우 힘씀을 이르는 말
漢(한)나라의 孫敬(손경)은 洛陽(낙양)의 대학에 있을 때 공부에만 매달렸다. 공부하다가 졸음이 와서 고개가 숙여지지 못하도록 자신의 머리를 대들보에 끈으로 매달아 놓고(懸頭) 책을 읽었다.
전국시대 遊說家(유세가)로 유명한 蘇秦(소진)은 책을 읽는데 졸음이 오면 송곳을 가져다가 자신의 넓적다리를 찔렀다(刺股). 어떨 때는 흘러내린 피가 발뒤꿈치까지 이를 정도였다고 한다.
[출전]
초국선현전(楚國先賢傳)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刺股懸梁(자고현량) | 懸頭刺股(현두자고) | 懸梁刺股(현량자고)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