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內存知己天涯若比隣(해내존지기천애약비린)
나를 알아주는 벗 하나
海內存知己, 天涯若比隣
- 王勃
진정 알아주는 이 있다면 하늘 끝이라도 이웃과 같으리. [海內存知己, 天涯若比隣(해내존지기 천애약비린)]
- 당나라 왕발(王勃)
나라 안에 마음 통하는 친한 벗이 있으면, 저 하늘 끝도 가까운 이웃과 같음.
나이 들수록 견디기 힘든 게 외로움이라 합니다. 그래서 누군가는 외로움의 무게가 죽음보다 열 배는 더 무겁다고도 했습니다. 사람살이라는 게 결국은 사람입니다. 자신이 지닌 재산의 크기 보다는 자신을 알아주는 벗의 숫자가 더 중요합니다.
당나라 시인 왕발이 시로 읊은 것처럼 자신을 진정으로 알아주는 이가 있다면 하늘절벽 끝에 앉아 있다 해도 지척에 둔 이웃처럼 마음이 따뜻하고 흐뭇할 것입니다.
내게도 진정으로 나를 알아주는 벗이 있는지 내 안을 살펴봐야겠습니다. 정말 있기나 한 것인지.
사색의향기님(culppy@culppy.org)께서 보내주신 글입니다.
海內存知己 天涯若比隣 無爲在岐路 兒女共沾巾(해내존지기 천애약비린 무위재기로 아녀공첨건)
이 세상에 지기의 벗이 있는 한, 저 하늘 끝도 가까운 이웃 같다네. 그러니 지금 헤어지는 이 마당에, 아녀자처럼 눈물 흘리지 말자.)
- 왕발(王勃) 두소부지임촉주(杜少府之任蜀州)
Showing posts with label 10자성어.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10자성어. Show all posts
留得青山在不怕没柴烧 (유득청산재불파몰시소)
留得青山在,不怕没柴烧。[liúdéqīngshānzài, búpàméicháishāo]
- 中國俗談
You don't have to worry about firewood in forest.
- Chinese Proverb
Where there is life, there is hope.
푸른 산을 남겨 두면 땔나무 걱정은 없다. [留得青山在不怕没柴烧 (유득청산재불파몰시소)]
- 중국속담(中國俗談)
留 머무를 류,머무를 유 | 得 얻을 득 | 青 푸를 청 | 山 뫼 산 | 在 있을 재 | 不 아닐 부, 아닐 불 | 怕 두려워할 파, 담담할 백 | 没 빠질 몰 | 柴 섶 시 | 烧 사를 소 |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것(흔히 생명·건강을 가리킴)만 남겨 두면 이후의 회복과 발전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근본이 충실하면 걱정할 것 없다.
讀書須用意一字值千金 (독서수용의일자치천금)
读书须用意,一字值千金
读 dú | 书 shū | 须 xū | 用 yòng | 意 yì | 一 yī | 字 zì | 值 zhí | 千 qiān | 金 jīn |
- 中國俗談
Intention of required study, the word worth a thousand gold.
- Chinese Proverb
Meaning: When reading, don’t let a single word escape your attention; one word may be worth a thousand pieces of gold. This proverb stresses the fact that study requires undivided attention. And if there is something you don't understand, interrupt yourself. Only in this way can study be rewarded.
책을 읽고 그 뜻을 가다듬으면, 한 글자가 천냥의 가치가 있다. [讀書須用意 一字值千金(독서수용의 일자치천금)]
- 중국속담(中國俗談)
讀 읽을 독,구절 두 | 書 글 서 | 須 모름지기 수, 수염 수 | 用 쓸 용 | 意 뜻 의, 기억할 억 | 一 한 일 | 字 글자 자 | 値 값 치 |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金 성씨 김, 쇠 금 |
知之爲知之不知爲不知 (지지위지지부지위부지)
知之爲知之,不知爲不知(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知 알 지 | 之 갈 지 | 爲 하 위,할 위 | 知 알 지 | 之 갈 지 | 不 아닐 부,아닐 불 | 知 알 지 | 爲 하 위,할 위 | 不 아닐 부,아닐 불 | 知 알 지 |
아는 것은 아는 것이고, 모르는 것은 모르는 것이다. 이런 태도가 현명한 것이다.
When you know a thing, to hold that you know it; and when you do not know a thing, to allow that you do not know it - this is knowledge.
출전
논어(論語) 위정(爲政)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知 알 지 | 之 갈 지 | 爲 하 위,할 위 | 知 알 지 | 之 갈 지 | 不 아닐 부,아닐 불 | 知 알 지 | 爲 하 위,할 위 | 不 아닐 부,아닐 불 | 知 알 지 |
아는 것은 아는 것이고, 모르는 것은 모르는 것이다. 이런 태도가 현명한 것이다.
When you know a thing, to hold that you know it; and when you do not know a thing, to allow that you do not know it - this is knowledge.
출전
논어(論語) 위정(爲政)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只要功夫深铁杵磨成针 (지요공부심철저마성침)
只要功夫深 铁杵磨成针(지요공부심 철저마성침)
只要功夫深 铁杵磨成针[zhǐyàogōngfushēn, tiěchǔmóchéngzhēn]
只 다만 지 | 要 바랄 요 | 功 공로 공 | 夫 무릇 부 | 深 깊을 심 | 铁 쇠 철 | 杵 절굿공이 저 | 磨 갈 마 | 成 이룰 성 | 针 바늘 침 |
공을 들여 열심히 노력하면 절굿공이도 갈아서 바늘을 만들 수 있다. 사람이 의지가 있고 시간을 들이기만 하면 반드시 일을 성공할 수 있다. 지성이면 감천이다.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只要功夫深 铁杵磨成针[zhǐyàogōngfushēn, tiěchǔmóchéngzhēn]
只 다만 지 | 要 바랄 요 | 功 공로 공 | 夫 무릇 부 | 深 깊을 심 | 铁 쇠 철 | 杵 절굿공이 저 | 磨 갈 마 | 成 이룰 성 | 针 바늘 침 |
공을 들여 열심히 노력하면 절굿공이도 갈아서 바늘을 만들 수 있다. 사람이 의지가 있고 시간을 들이기만 하면 반드시 일을 성공할 수 있다. 지성이면 감천이다.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以小人之心度君子之腹 (이소인지심탁군자지복)
以小人之心,度君子之腹(이소인지심 탁군자지복)
以小人之心,度君子之腹[yǐxiǎorénzhīxīn, duójūnzǐzhīfù]
以 써 이, 에서 이 | 小 작을 소 | 人 사람 인 | 之 어조사 지 | 心 마음 심 | 度 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 君 임금 군 | 子 아들 자 | 之 어조사 지 | 腹 배 복 |
소인의 마음으로 군자의 마음을 가늠해 보다. 저속한 마음으로 고상한 사람의 심정을 추측하다.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以小人之心,度君子之腹[yǐxiǎorénzhīxīn, duójūnzǐzhīfù]
以 써 이, 에서 이 | 小 작을 소 | 人 사람 인 | 之 어조사 지 | 心 마음 심 | 度 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 君 임금 군 | 子 아들 자 | 之 어조사 지 | 腹 배 복 |
소인의 마음으로 군자의 마음을 가늠해 보다. 저속한 마음으로 고상한 사람의 심정을 추측하다.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若要人不知除非己莫爲 (약요인부지제비기막위)
若要人不知,除非己莫爲(약요인부지 제비기막위)
若要人不知,除非己莫为 [ruòyàorénbùzhī, chúfēijǐmòwéi]
若 같을 약 | 要 바랄 요 | 人 사람 인 | 不 아닐 불, 아닐 부 | 知 알 지 | 除 제거할 제 | 非 아닐 비 | 己 자기 기 | 莫 없을 막 | 爲 할 위 |
남이 모르게 하려면 스스로 일을 저지르지 마라. 무슨 일이든 사람을 속일 수는 없다.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若要人不知,除非己莫为 [ruòyàorénbùzhī, chúfēijǐmòwéi]
若 같을 약 | 要 바랄 요 | 人 사람 인 | 不 아닐 불, 아닐 부 | 知 알 지 | 除 제거할 제 | 非 아닐 비 | 己 자기 기 | 莫 없을 막 | 爲 할 위 |
남이 모르게 하려면 스스로 일을 저지르지 마라. 무슨 일이든 사람을 속일 수는 없다.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少壯不努力老大徒傷悲 (소장불노력노대도상비)
少壯不努力 老大徒傷悲(소장불노력 노대도상비)
젊어서 노력하지 않으면 늙어 부질없이 슬퍼질 따름이다
A lazy youth, lousy age.
출전
심약(沈約) 장가행(長歌行) |
관련 한자어
참조어
少壯不努力 老大徒傷悲(소장불노력 노대도상비) 젊어서 노력하지 않으면, 늙어서는 상심과 슬픔뿐 어쩔 도리 없다네. [심약(沈約) 장가행(長歌行)] |
吏情更覺滄洲遠 老大徒悲未拂衣(이정갱각창주원 노대도비미불의) 벼슬하는 뜻이 신선이 사는 창주와 멀어짐을 새삼 깨닫나니, 늙어서 훌훌 털고 일어서지 못함을 못내 설워하노라. [두보(杜甫) 곡강대주(曲江對酒)] |
旣壯不努力 白首而無知(기장불노력 백수이무지) 젊어서 노력하지 않았더니, 백발 되어서는 아는 것이 없도다. [변계량(卞季良) 감흥(感興)]
중요도·활용도
|
젊어서 노력하지 않으면 늙어 부질없이 슬퍼질 따름이다
A lazy youth, lousy age.
출전
심약(沈約) 장가행(長歌行) |
관련 한자어
참조어
少壯不努力 老大徒傷悲(소장불노력 노대도상비) 젊어서 노력하지 않으면, 늙어서는 상심과 슬픔뿐 어쩔 도리 없다네. [심약(沈約) 장가행(長歌行)] |
吏情更覺滄洲遠 老大徒悲未拂衣(이정갱각창주원 노대도비미불의) 벼슬하는 뜻이 신선이 사는 창주와 멀어짐을 새삼 깨닫나니, 늙어서 훌훌 털고 일어서지 못함을 못내 설워하노라. [두보(杜甫) 곡강대주(曲江對酒)] |
旣壯不努力 白首而無知(기장불노력 백수이무지) 젊어서 노력하지 않았더니, 백발 되어서는 아는 것이 없도다. [변계량(卞季良) 감흥(感興)]
중요도·활용도
|
路遙知馬力日久見人心 (노요지마력일구견인심)
路遙知馬力,日久見人心(노요지마력 일구견인심)
路 길 로, 길 노, 울짱 락, 울짱 낙 | 遙 멀 요 | 知 알 지 | 馬 말 마 | 力 힘 력, 힘 역 | 日 날 일 | 久 오랠 구 | 見 볼 견, 뵈올 현 | 人 사람 인 | 心 마음 심 |
길이 멀어야 말의 힘을 알 수 있고, 세월이 흘러야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다; 사람은 같이 살아 보아야 알고, 말은 타 보아야 안다.
A Long Road Tests a Horse’s Strength
출전
명심보감(明心寶鑑) 교우편(交友篇)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路 길 로, 길 노, 울짱 락, 울짱 낙 | 遙 멀 요 | 知 알 지 | 馬 말 마 | 力 힘 력, 힘 역 | 日 날 일 | 久 오랠 구 | 見 볼 견, 뵈올 현 | 人 사람 인 | 心 마음 심 |
길이 멀어야 말의 힘을 알 수 있고, 세월이 흘러야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다; 사람은 같이 살아 보아야 알고, 말은 타 보아야 안다.
A Long Road Tests a Horse’s Strength
출전
명심보감(明心寶鑑) 교우편(交友篇)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君子坦蕩蕩小人長戚戚 (군자탄탕탕소인장척척)
君子坦蕩蕩 小人長戚戚(군자탄탕탕 소인장척척)
君 임금 군 | 子 아들 자 | 坦 평탄할 탄, 너그러울 탄 | 蕩 방탕할 탕 | 小 작을 소 | 人 사람 인 | 長 | 길 장, 어른 장 | 戚 친척 척, 근심할 척, 재촉할 촉 |
군자는 마음이 평탄하며 넓고, 소인은 항상 걱정이 많다.
[출처]
論語(논어) 述而(술이)
관련 한자어
참조어
君子與小人(군자여소인) |
君 임금 군 | 子 아들 자 | 坦 평탄할 탄, 너그러울 탄 | 蕩 방탕할 탕 | 小 작을 소 | 人 사람 인 | 長 | 길 장, 어른 장 | 戚 친척 척, 근심할 척, 재촉할 촉 |
군자는 마음이 평탄하며 넓고, 소인은 항상 걱정이 많다.
[출처]
論語(논어) 述而(술이)
관련 한자어
참조어
君子與小人(군자여소인) |
瓜田不納履李下不整冠 (과전불납리이하부정관)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오이 밭에서는 신이 벗겨져도 다시 신지 아니하며 자두나무 밑에서는 갓을 고쳐 쓰지 않는다. 남에게 의심받을 일은 하지 마라.
출전
군자행(君子行) |
군자방미연 불처혐의간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君子防未然 不處嫌疑間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瓜李(과리) | 瓜李之嫌(과리지혐) |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오이 밭에서는 신이 벗겨져도 다시 신지 아니하며 자두나무 밑에서는 갓을 고쳐 쓰지 않는다. 남에게 의심받을 일은 하지 마라.
출전
군자행(君子行) |
군자방미연 불처혐의간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君子防未然 不處嫌疑間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瓜李(과리) | 瓜李之嫌(과리지혐) |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