累卵之危(누란지위)
포개어 놓은 달걀의 위험. 아주 위태롭다
戰國時代(전국시대)에는 세 치의 혀(舌)만으로 입신출세를 노리고 이 나라 저 나라를 遊說(유세)하며 돌아다니는 자들이 있었다.이들은 말을 잘했을 뿐만 아니라 모두가 謀士(모사)요 策士(책사)였는데 縱橫家(종횡가)라고 불렸다.
魏(위)나라의 가난한 집 아들로 태어난 范雎(범저)도 이 종횡가가 되고자 뜻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좀처럼 기회를 잡지 못하다가 中大夫(중대부) 벼슬을 하고 있던 須賈(수가)를 섬기게 되었다. 수가가 사신으로 齊(제)나라에 가게 되었을 때 범저는 從者(종자)로서 따라갔다.
제나라에 머무는 동안 범저가 오히려 모시고 간 수가보다 인기가 더 좋았으므로 수가는 매우 불쾌하게 여겨 귀국하자마자 재상 위제에게 범저가 위나라의 비밀을 제나라에 누설했다고 보고했다.
모함을 당한 범저는 호되게 매질을 당한 끝에 멍석에 둘둘 말려져 변소에 내팽개쳐졌다. 나중에 脫獄(탈옥)에 성공한 범저는 정안평이라는 사람에게 몸을 의탁했다. 이름까지 張祿(장록)으로 바꾸고 위나라를 탈출할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그러던 중 위나라에 온 秦(진)나라 사신 왕계와 몰래 접촉한 정안평이 그에게 장록을 추천했다. 은밀히 장록을 데리고 진나라로 돌아간 왕계는 소양왕에게 이렇게 보고했다.
『위나라의 장록선생은 천하의 외교가입니다. 선생은 진나라의 정치를 「계란을 쌓아놓은 것처럼 위태로운 처지(累卵之危)」라고 평하며 자기를 등용해주면 무사태평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수레에 태워 모셔왔습니다』
Showing posts with label 鷄卵.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鷄卵. Show all posts
鷄卵有骨 (계란유골)
鷄卵有骨(계란유골)
鷄 닭 계 | 卵 알 란 | 有 있을 유 | 骨 뼈 골 |
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말로, ①일이 공교롭게 틀어짐 ②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뜻함.
조선(朝鮮) 초기에 대신 黃喜(황희)가 집이 가난하므로 임금의 명령(命令)으로 하루 동안 남대문으로 들어오는 상품은 모두 황희의 집으로 보내라 했으나, 이 날은 종일 비가 와서 아무 것도 들어오는 물건이 없다가 저녁 때 달걀 한 꾸러미가 들어왔는데, 달걀을 삶아 놓고 보니 모두 곯아서 먹을 수가 없었다는 데서 나온 말. 곯았다는 '곯'음과 骨(골)의 음이 비슷하므로 와전되어 계란유골이란 말로 바뀜
출전
송남잡지(松南雜識)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 계란에도 뼈가 있다.
¶ 재수 없는 놈은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
중요도·활용도
4급 사자성어 |
鷄 닭 계 | 卵 알 란 | 有 있을 유 | 骨 뼈 골 |
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말로, ①일이 공교롭게 틀어짐 ②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뜻함.
조선(朝鮮) 초기에 대신 黃喜(황희)가 집이 가난하므로 임금의 명령(命令)으로 하루 동안 남대문으로 들어오는 상품은 모두 황희의 집으로 보내라 했으나, 이 날은 종일 비가 와서 아무 것도 들어오는 물건이 없다가 저녁 때 달걀 한 꾸러미가 들어왔는데, 달걀을 삶아 놓고 보니 모두 곯아서 먹을 수가 없었다는 데서 나온 말. 곯았다는 '곯'음과 骨(골)의 음이 비슷하므로 와전되어 계란유골이란 말로 바뀜
출전
송남잡지(松南雜識)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 계란에도 뼈가 있다.
¶ 재수 없는 놈은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
중요도·활용도
4급 사자성어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