魚目混珠(어목혼주)
魚 물고기 어 | 目 눈 목 | 混 섞일 혼 | 珠 구슬 주 |
'물고기 눈이 진주와 섞이다'라는 뜻으로, 가짜와 진짜가 마구 뒤섞인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한시외전(韓詩外傳)》에서 유래되었다.
어목혼진(魚目混珍) 또는 어목사주(魚目似珠)라고도 한다. 중국 남북조시대의 임방(任昉)은 송(宋)·제(齊)·양(梁)나라의 3대에 걸쳐 벼슬을 하였으며, 중국문학사에서 경릉팔우(竟陵八友)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임방은 박학다식한 인물로, 읽지 않은 책이 없다고 일컬어질 정도였으며, 모은 책이 1만여 권에 달하여 당시에 장서가로도 이름이 높았다.
임방은 궁중에 소장된 방대한 서적을 분류하고 교감(校勘)하는 일을 담당하기도 하였는데, 표(表)·주(奏)·서(書)·계(啓) 등의 상주문 계통의 글도 잘 지어 당시의 왕공대인들이 황제에게 상주문을 올릴 때 그에게 대필을 부탁하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임방의 글은 《문선(文選)》에 여러 편이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 '도대사마기실전(到大司馬記室箋)'이 있다. 임방은 이 글에서 자신을 발탁한 조정에 감사하며, 자신은 물고기 눈알처럼 쓸모없는 사람인데도 조정에서 값진 보옥처럼 사용하였노라고 스스로를 겸손하게 표현하였다.
당(唐)나라의 이선(李善)은 《문선주(文選注)》에서 이 구절의 주석으로 《한시외전(韓詩外傳)》의 "흰 뼈는 상아와 비슷하며, 물고기 눈알은 진주와 흡사하다(白骨類象, 魚目似珠)"라는 구절을 인용하였다. 어목혼주는 여기서 유래하여 가짜가 진짜가 마구 뒤섞여 있는 상태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또 천한 것과 귀한 것 또는 열등한 것과 우수한 것이 뒤섞여 있는 상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Showing posts with label 한시외전.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한시외전. Show all posts
螳螂在後 (당랑재후, tánglángzàihòu)
螳螂在後(당랑재후)
螳螂在後(táng láng zài hòu)
螳 사마귀 당│螂 사마귀 랑│在 존재 재│後 뒤 후
사마귀가 뒤에 있다는 말로, 이익을 탐하여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지 않는 것을 뜻한다.
이 고사는 <한시외전(韓時外傳)>에서 나온다.
초장왕이 병사를 일으켜 진나라를 공격하려고 하면서 사대부들에게 이렇게 포고했다.
"감히 간언하는 자는 죽음이 있을 뿐 사면은 없다."
그러나 손숙오가 말했다.
"신은 채찍의 엄함을 두려워하여 아버지에게 감히 간언하지 못하는 자는 효자가 아니며, 부월의 형벌을 두려워하여 감히 군주에게 간언하지 못하는 자는 충신이 아니라고 들었습니다."
그리고는 나아가 이렇게 말했다.
"신의 정원 안에 느티나무가 있는데, 그 위에 매미가 있습니다. 매미는 막 날개를 펴고 슬피 울며 맑은 이슬을 마시려고 하면서 사마귀가 뒤에서 목을 굽혀 먹으려 하고 있음을 알지 못합니다. 사마귀는 매미를 먹으려고 하면서 참새가 뒤에서 목을 들고 쪼아 먹으려고 하는 것을 모릅니다.
참새는 사마귀를 먹으려고 하면서 어린아이가 아래에서 탄환을 장전하여 쏘려고 하는 것을 모릅니다. 어린아이는 참새에게 탄환을 쏘려고 하면서 앞에는 깊은 웅덩이가 있고 뒤에는 굴이 있는 것을 모릅니다.
이것은 모두 앞의 이익 때문에 뒤의 해로움을 돌아보지 않는 것입니다. 유독 곤충의 무리만이 이와 같은 것이 아닙니다. 사람 역시 그러합니다. 지금 당신은 저쪽의 땅을 탐하는 것이 병사들을 즐겁게 하는 일인 줄 알고 있지만, 나라가 게으르지 않고 진나라가 안정된 것은 저의 힘인 것입니다."
초장왕은 이 말을 듣고 느끼는 바가 있었다.
눈앞에 펼쳐진 이익만을 탐하여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지 않고 돌진하면 그 이익보다 수백 배 큰 재앙이 닥칠 수 있다.
[출전] 한시외전(韓時外傳)
관련 한자어
유의어
螳螂窺蟬(당랑규선)│螳螂搏蟬(당랑박선, táng láng bó chán)│螳螂捕蟬(당랑포선, táng láng bǔ chán)│螳螂在後(당랑재후)
螳螂在後(táng láng zài hòu)
螳 사마귀 당│螂 사마귀 랑│在 존재 재│後 뒤 후
사마귀가 뒤에 있다는 말로, 이익을 탐하여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지 않는 것을 뜻한다.
이 고사는 <한시외전(韓時外傳)>에서 나온다.
초장왕이 병사를 일으켜 진나라를 공격하려고 하면서 사대부들에게 이렇게 포고했다.
"감히 간언하는 자는 죽음이 있을 뿐 사면은 없다."
그러나 손숙오가 말했다.
"신은 채찍의 엄함을 두려워하여 아버지에게 감히 간언하지 못하는 자는 효자가 아니며, 부월의 형벌을 두려워하여 감히 군주에게 간언하지 못하는 자는 충신이 아니라고 들었습니다."
그리고는 나아가 이렇게 말했다.
"신의 정원 안에 느티나무가 있는데, 그 위에 매미가 있습니다. 매미는 막 날개를 펴고 슬피 울며 맑은 이슬을 마시려고 하면서 사마귀가 뒤에서 목을 굽혀 먹으려 하고 있음을 알지 못합니다. 사마귀는 매미를 먹으려고 하면서 참새가 뒤에서 목을 들고 쪼아 먹으려고 하는 것을 모릅니다.
참새는 사마귀를 먹으려고 하면서 어린아이가 아래에서 탄환을 장전하여 쏘려고 하는 것을 모릅니다. 어린아이는 참새에게 탄환을 쏘려고 하면서 앞에는 깊은 웅덩이가 있고 뒤에는 굴이 있는 것을 모릅니다.
이것은 모두 앞의 이익 때문에 뒤의 해로움을 돌아보지 않는 것입니다. 유독 곤충의 무리만이 이와 같은 것이 아닙니다. 사람 역시 그러합니다. 지금 당신은 저쪽의 땅을 탐하는 것이 병사들을 즐겁게 하는 일인 줄 알고 있지만, 나라가 게으르지 않고 진나라가 안정된 것은 저의 힘인 것입니다."
초장왕은 이 말을 듣고 느끼는 바가 있었다.
눈앞에 펼쳐진 이익만을 탐하여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지 않고 돌진하면 그 이익보다 수백 배 큰 재앙이 닥칠 수 있다.
[출전] 한시외전(韓時外傳)
관련 한자어
유의어
螳螂窺蟬(당랑규선)│螳螂搏蟬(당랑박선, táng láng bó chán)│螳螂捕蟬(당랑포선, táng láng bǔ chán)│螳螂在後(당랑재후)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