或躍在淵(혹약재연)
或 장차 혹 | 躍 뛸 약 | 在 있을 재 | 淵 못 연 |
장차 크게 뛰려 하나 아직은 깊은 못 속에 있음. 이전보다 발전했지만 아직 안정되지 못한 상태
[출전]
주역
Showing posts with label 주역.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주역. Show all posts
亢龍有悔 (항룡유회)
亢龍有悔(항룡유회)
亢 오를 항 | 龍 용 룡 | 有 있을 유 | 悔 뉘우칠 회 |
하늘 끝까지 올라간 용이 내려갈 길밖에 없음을 후회한다는 뜻으로, 부귀영달이 극도에 달한 사람은 쇠퇴할 염려가 있으므로 행동을 삼가야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는 욕심에 한계가 없으면 반드시 후회하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항룡유회(亢龍有悔)라는 말은 《주역(周易)》 건괘(乾卦)의 육효(六爻)의 뜻을 설명한 '효사(爻辭)'에 나오는 말이다. 《주역》의 건괘는 용이 승천하는 기세로 왕성한 기운이 넘치는 남성적인 기상을 표현하고 있다. 《주역》에서는 특히 이 기운을 다루는 데 신중을 기하여 이 운세를 단계별로 용에 비유하고 있다. 그 첫 단계가 잠룡(潛龍)으로, 연못 깊숙이 잠복해 있는 용은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으므로 덕을 쌓으며 때를 기다려야 한다.
다음은 현룡(現龍)으로, 땅 위로 올라와 자신을 드러내어 덕을 만천하에 펴서 군주의 신임을 받게 되니, 곧 때를 얻어 정당한 지위에 있으면서 중용의 도와 선을 행하며 덕을 널리 펴서 백성을 감화시키는 것이다. 그 다음은 비룡(飛龍)으로, 하늘을 힘차게 나는 용은 본 괘의 극치로서 제왕의 지위에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여 절정의 경지에 이른 용이 바로 항룡(亢龍)인 것이다. 항룡은 하늘 끝까지 다다른 용으로, 곧 '승천한 용'인 셈이다. 그 기상이야 한없이 뻗쳐 좋지만 결국 하늘에 닿으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공자(孔子)는 "항룡은 너무 높이 올라갔기 때문에 존귀하나 지위가 없고, 너무 높아 교만하기 때문에 자칫 민심을 잃게 될 수도 있으며, 남을 무시하므로 보필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따라서 항룡의 지위에 오르면 후회하기 십상이므로, 이것이 바로 '항룡유회'라는 것이다. 즉, 일을 할 때에는 적당한 선에서 만족할 줄 알아야지 무작정 밀고 나가다가는 오히려 일을 망치게 된다는 말이다. 요컨대 건괘는 변화에 순응할 것과 지위가 높을수록 겸손을 잃지 말 것을 강조하여, 스스로 분수를 알고 만족하는 삶이 양생에 이롭다는 교훈을 준다. 다음은 이러한 교훈을 잘 일깨워주는 이야기이다.
이사(李斯)는 진(秦)나라 때의 정치가로 시황제를 섬겨 재상이 된 사람이다. 그의 일족은 모두가 고위고관에 올라 최고의 권세와 번영을 누리고 있었다. 어느 날, 이사가 축하연을 베푼 자리에 조정의 문무백관이 모두 참석해 축사를 올렸다. 그러자 이사는 깊이 탄식하며 "나는 일찍이 스승 순자(荀子)로부터 매사에 성(盛)함을 금하라고 가르침을 받았는데, 오늘날 우리 일족은 부귀와 영예가 모두 극도에 이르렀다. 달도 차면 기울듯이 영속을 기할 수 없는 법. 앞으로 나에게 닥쳐올 일이 두렵다"라고 말했다. 과연 그가 염려한 대로 그의 일족은 조고(趙高)의 참소로 몰살당하는 비운을 맞았다.
한편, 항룡유회의 교훈을 일찍 깨닫고 지극한 영예를 스스로 멀리해 조용한 만년을 보낸 지혜로운 사람도 있다. 장량(張良)은 전한(前漢)의 고조(高祖)를 도와 공을 세운 개국공신이었다. 천하를 평정한 고조는 한나라 황실의 안녕을 위하여 전쟁에 공로가 있었던 여러 장수를 차례로 주살하여 뒷날의 걱정거리를 없앴다. 고조의 이러한 의중을 살핀 장량은 일체의 영예와 권력을 마다하고 시골에 운둔하는 삶을 선택하여 고조를 안심시키고 천수를 누렸다.
亢 오를 항 | 龍 용 룡 | 有 있을 유 | 悔 뉘우칠 회 |
하늘 끝까지 올라간 용이 내려갈 길밖에 없음을 후회한다는 뜻으로, 부귀영달이 극도에 달한 사람은 쇠퇴할 염려가 있으므로 행동을 삼가야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는 욕심에 한계가 없으면 반드시 후회하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항룡유회(亢龍有悔)라는 말은 《주역(周易)》 건괘(乾卦)의 육효(六爻)의 뜻을 설명한 '효사(爻辭)'에 나오는 말이다. 《주역》의 건괘는 용이 승천하는 기세로 왕성한 기운이 넘치는 남성적인 기상을 표현하고 있다. 《주역》에서는 특히 이 기운을 다루는 데 신중을 기하여 이 운세를 단계별로 용에 비유하고 있다. 그 첫 단계가 잠룡(潛龍)으로, 연못 깊숙이 잠복해 있는 용은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으므로 덕을 쌓으며 때를 기다려야 한다.
다음은 현룡(現龍)으로, 땅 위로 올라와 자신을 드러내어 덕을 만천하에 펴서 군주의 신임을 받게 되니, 곧 때를 얻어 정당한 지위에 있으면서 중용의 도와 선을 행하며 덕을 널리 펴서 백성을 감화시키는 것이다. 그 다음은 비룡(飛龍)으로, 하늘을 힘차게 나는 용은 본 괘의 극치로서 제왕의 지위에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여 절정의 경지에 이른 용이 바로 항룡(亢龍)인 것이다. 항룡은 하늘 끝까지 다다른 용으로, 곧 '승천한 용'인 셈이다. 그 기상이야 한없이 뻗쳐 좋지만 결국 하늘에 닿으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공자(孔子)는 "항룡은 너무 높이 올라갔기 때문에 존귀하나 지위가 없고, 너무 높아 교만하기 때문에 자칫 민심을 잃게 될 수도 있으며, 남을 무시하므로 보필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따라서 항룡의 지위에 오르면 후회하기 십상이므로, 이것이 바로 '항룡유회'라는 것이다. 즉, 일을 할 때에는 적당한 선에서 만족할 줄 알아야지 무작정 밀고 나가다가는 오히려 일을 망치게 된다는 말이다. 요컨대 건괘는 변화에 순응할 것과 지위가 높을수록 겸손을 잃지 말 것을 강조하여, 스스로 분수를 알고 만족하는 삶이 양생에 이롭다는 교훈을 준다. 다음은 이러한 교훈을 잘 일깨워주는 이야기이다.
이사(李斯)는 진(秦)나라 때의 정치가로 시황제를 섬겨 재상이 된 사람이다. 그의 일족은 모두가 고위고관에 올라 최고의 권세와 번영을 누리고 있었다. 어느 날, 이사가 축하연을 베푼 자리에 조정의 문무백관이 모두 참석해 축사를 올렸다. 그러자 이사는 깊이 탄식하며 "나는 일찍이 스승 순자(荀子)로부터 매사에 성(盛)함을 금하라고 가르침을 받았는데, 오늘날 우리 일족은 부귀와 영예가 모두 극도에 이르렀다. 달도 차면 기울듯이 영속을 기할 수 없는 법. 앞으로 나에게 닥쳐올 일이 두렵다"라고 말했다. 과연 그가 염려한 대로 그의 일족은 조고(趙高)의 참소로 몰살당하는 비운을 맞았다.
한편, 항룡유회의 교훈을 일찍 깨닫고 지극한 영예를 스스로 멀리해 조용한 만년을 보낸 지혜로운 사람도 있다. 장량(張良)은 전한(前漢)의 고조(高祖)를 도와 공을 세운 개국공신이었다. 천하를 평정한 고조는 한나라 황실의 안녕을 위하여 전쟁에 공로가 있었던 여러 장수를 차례로 주살하여 뒷날의 걱정거리를 없앴다. 고조의 이러한 의중을 살핀 장량은 일체의 영예와 권력을 마다하고 시골에 운둔하는 삶을 선택하여 고조를 안심시키고 천수를 누렸다.
類類相從 (유유상종, lèilèixiāngcóng)
類類相從(유유상종)
类类相从(lèi lèi xiāng cóng)
類 무리 유 | 類 무리 유 | 相 서로 상 | 從 좇을 종 |
같은 종류의 사람들끼리 서로 왕래하여 사귄다는 뜻으로, 비슷한 부류의 인간 모임을 비유한 말.
Each follows its own kind. or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유유상종의 근원은 알 수 없으나, 《주역(周易)》의 〈계사(繫辭)〉 상편에서 그 전거를 찾을 수 있다. 방이유취 물이군분 길흉생의(方以類聚 物以群分 吉凶生矣), 즉 "삼라만상은 그 성질이 유사한 것끼리 모이고, 만물은 무리를 지어 나뉘어 산다. 거기서 길흉이 생긴다" 하였다. 이후로 이 말이 연관되어 생성된 듯하다.
《전국책》의 〈제책(齊策)〉편에 이 말과 관련된 고사가 전한다. 제(齊)나라의 선왕(宣王)은 순우곤(淳于髡)에게 각 지방에 흩어져 있는 인재를 찾아 등용하도록 하였다. 며칠 뒤에 순우곤이 일곱 명의 인재를 데리고 왕 앞에 나타나자 선왕이 이렇게 말하였다. "귀한 인재를 한번에 일곱 명씩이나 데려 오다니, 너무 많지 않은가?"
그러자 순우곤은 자신만만한 표정으로, "같은 종의 새가 무리지어 살듯, 인재도 끼리끼리 모입니다. 그러므로 신이 인재를 모으는 것은 강에서 물을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라고 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이러한 인재의 모임보다 배타적 카테고리라는 의미가 더 강하며, 비꼬는 말로 주로 쓰인다. '끼리끼리' 또는 '초록은 동색'과 통하는 경우가 많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物以類聚(물이유취) 끼리끼리 어울리다, 나쁜 사람들이 의기투합하다.
草綠同色(초록동색)
주역, 주역:계사, 전국책, 전국책:제책, 끼리끼리
周易, 周易:繫辭, 戰國策, 戰國策:齊策
类类相从(lèi lèi xiāng cóng)
類 무리 유 | 類 무리 유 | 相 서로 상 | 從 좇을 종 |
같은 종류의 사람들끼리 서로 왕래하여 사귄다는 뜻으로, 비슷한 부류의 인간 모임을 비유한 말.
Each follows its own kind. or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유유상종의 근원은 알 수 없으나, 《주역(周易)》의 〈계사(繫辭)〉 상편에서 그 전거를 찾을 수 있다. 방이유취 물이군분 길흉생의(方以類聚 物以群分 吉凶生矣), 즉 "삼라만상은 그 성질이 유사한 것끼리 모이고, 만물은 무리를 지어 나뉘어 산다. 거기서 길흉이 생긴다" 하였다. 이후로 이 말이 연관되어 생성된 듯하다.
《전국책》의 〈제책(齊策)〉편에 이 말과 관련된 고사가 전한다. 제(齊)나라의 선왕(宣王)은 순우곤(淳于髡)에게 각 지방에 흩어져 있는 인재를 찾아 등용하도록 하였다. 며칠 뒤에 순우곤이 일곱 명의 인재를 데리고 왕 앞에 나타나자 선왕이 이렇게 말하였다. "귀한 인재를 한번에 일곱 명씩이나 데려 오다니, 너무 많지 않은가?"
그러자 순우곤은 자신만만한 표정으로, "같은 종의 새가 무리지어 살듯, 인재도 끼리끼리 모입니다. 그러므로 신이 인재를 모으는 것은 강에서 물을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라고 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이러한 인재의 모임보다 배타적 카테고리라는 의미가 더 강하며, 비꼬는 말로 주로 쓰인다. '끼리끼리' 또는 '초록은 동색'과 통하는 경우가 많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物以類聚(물이유취) 끼리끼리 어울리다, 나쁜 사람들이 의기투합하다.
草綠同色(초록동색)
주역, 주역:계사, 전국책, 전국책:제책, 끼리끼리
周易, 周易:繫辭, 戰國策, 戰國策:齊策
元亨利貞 (원형이정)
元亨利貞(원형이정)
역학(易學)에서 말하는 천도(天道)의 네 원리(原理)라는 뜻으로, ①사물(事物)의 근본(根本) 되는 원리(原理)②만물(萬物)이 처음 생겨나서 자라고 삶을 이루고 완성(完成)함 ③또는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 《주역(周易)》의 '건괘(乾卦)'에서 유래
《주역》의 '건괘'에 "건은 원형이정이다(乾, 元亨利貞)"라고 하였다. '문언전(文言傳)'에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풀이하였다.
"원은 착함이 자라는 것이요, 형은 아름다움이 모인 것이요, 이는 의로움이 조화를 이룬 것이요, 정은 사물의 근간이다. 군자는 인을 체득하여 사람을 자라게 할 수 있고, 아름다움을 모아 예에 합치시킬 수 있고, 사물을 이롭게 하여 의로움과 조화를 이루게 할 수 있고, 곧음을 굳건히 하여 사물의 근간이 되게 할 수 있다. 군자는 이 4가지 덕을 행하는 고로 건은 원형이정이라고 하는 것이다."
元者, 善之長也. 亨者, 嘉之會也, 利者, 義之和也. 貞者, 事之幹也. 君子體仁足以長人, 嘉會足以合禮, 利物足以和義, 貞固足以幹事. 君子行此四德, 故曰, 乾, 元亨利貞.
원형이정은 보통 만물이 처음 생겨나서 자라고 삶을 이루고 완성되는, 사물의 근본 원리를 말한다. 여기서 원은 만물이 시작되는 봄(春)에, 형은 만물이 성장하는 여름(夏)에, 이는 만물이 이루어지는 가을(秋)에, 정은 만물이 완성되는 겨울(冬)에 해당된다. 원형이정은 각각 인(仁)·의(義)·예(禮)·지(智)를 뜻하기도 한다.
역학(易學)에서 말하는 천도(天道)의 네 원리(原理)라는 뜻으로, ①사물(事物)의 근본(根本) 되는 원리(原理)②만물(萬物)이 처음 생겨나서 자라고 삶을 이루고 완성(完成)함 ③또는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 《주역(周易)》의 '건괘(乾卦)'에서 유래
《주역》의 '건괘'에 "건은 원형이정이다(乾, 元亨利貞)"라고 하였다. '문언전(文言傳)'에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풀이하였다.
"원은 착함이 자라는 것이요, 형은 아름다움이 모인 것이요, 이는 의로움이 조화를 이룬 것이요, 정은 사물의 근간이다. 군자는 인을 체득하여 사람을 자라게 할 수 있고, 아름다움을 모아 예에 합치시킬 수 있고, 사물을 이롭게 하여 의로움과 조화를 이루게 할 수 있고, 곧음을 굳건히 하여 사물의 근간이 되게 할 수 있다. 군자는 이 4가지 덕을 행하는 고로 건은 원형이정이라고 하는 것이다."
元者, 善之長也. 亨者, 嘉之會也, 利者, 義之和也. 貞者, 事之幹也. 君子體仁足以長人, 嘉會足以合禮, 利物足以和義, 貞固足以幹事. 君子行此四德, 故曰, 乾, 元亨利貞.
원형이정은 보통 만물이 처음 생겨나서 자라고 삶을 이루고 완성되는, 사물의 근본 원리를 말한다. 여기서 원은 만물이 시작되는 봄(春)에, 형은 만물이 성장하는 여름(夏)에, 이는 만물이 이루어지는 가을(秋)에, 정은 만물이 완성되는 겨울(冬)에 해당된다. 원형이정은 각각 인(仁)·의(義)·예(禮)·지(智)를 뜻하기도 한다.
易窮則變 (역궁즉변)
易窮則變(역궁즉변)
易 바꿀 역, 쉬울 이 | 窮 다할 궁, 궁할 궁 | 則 법칙 칙, 곧 즉 | 變 변할 변 |
역은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는 길이 생기고, 통하면 오래 지속 한다
易窮則變 變則通 通則久(역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출전
周易(주역) 계사(繫辭) 하전(下傳)
易 바꿀 역, 쉬울 이 | 窮 다할 궁, 궁할 궁 | 則 법칙 칙, 곧 즉 | 變 변할 변 |
역은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는 길이 생기고, 통하면 오래 지속 한다
易窮則變 變則通 通則久(역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출전
周易(주역) 계사(繫辭) 하전(下傳)
物以類聚 (물이유취, wùyǐlèijù)
物以類聚(물이유취)
物以类聚(wùyǐlèijù)
物 만물 물 | 以 써 이 | 類 같을 류 | 聚 모일 취 |
'물건은 종류대로 모인다'라는 뜻의 고사성어로, 《주역》과 《전국책》 등에서 유래하였다. 끼리끼리 어울리다, 유유상종하다, 나쁜 사람들이 의기투합하여 한데 어울리다 등의 뜻으로 사용된다.
유유상종과 같은 뜻으로, 우리말의 '끼리끼리 모인다'와 같은 표현이다. 인이군분(人以群分:사람은 같은 무리끼리 모인다)과 연결하여 '물이유취 인이군분'이라고 쓰이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좋은 의미로 사용되기보다는 주로 좋지 않은 사람들이 한 부류로 모인 것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주역》〈계사(繫辭)〉편의 "삼라만상은 같은 종류끼리 모이고, 만물은 무리를 지어 나누어지니, 이로부터 길함과 흉함이 생긴다(方以類聚, 物以群分, 吉凶生矣)"라는 구절에서 유래되었다.
《전국책》의 〈제책(齊策)〉편에 따르면, 전국시대 제나라의 순우곤(淳于髡)은 왕이 인재를 구한다는 말을 듣고는 하루에 7명이나 천거하였다. 왕이 순우곤에게 인재는 구하기 어려운 법인데 하루에 7명이나 천거한 것은 너무 많지 않냐고 말했다. 이에 순우곤은 물건은 각기 비슷한 부류가 있으며(物各有疇), 자신도 인재의 부류에 속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인재를 추천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또 《주역》〈문언(文言)〉편에는 "하늘에 근본을 둔 것은 위와 친하고, 땅에 근본을 둔 것은 아래와 친하니, 이는 각자가 그 비슷한 것을 좇기 때문이다(本乎天者親上, 本乎地者親下, 則各從其類也)"라는 구절이 있다. 물각유주(物各有疇)나 물각유류(物各有類), 방이유취(方以類聚), 물이군분(物以群分), 각종기류(各從其類)는 모두 같은 의미이며, 물이유취로 많이 쓰인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類類相從(유유상종) | 物各有疇(물각유주) | 物各有類(물각유류) | 方以類聚(방이유취) | 物以群分(물이군분) | 各從其類(각종기류) | 草綠同色(초록동색) |
周易(주역) | 전국책 | 끼리끼리 |
物以类聚(wùyǐlèijù)
物 만물 물 | 以 써 이 | 類 같을 류 | 聚 모일 취 |
'물건은 종류대로 모인다'라는 뜻의 고사성어로, 《주역》과 《전국책》 등에서 유래하였다. 끼리끼리 어울리다, 유유상종하다, 나쁜 사람들이 의기투합하여 한데 어울리다 등의 뜻으로 사용된다.
유유상종과 같은 뜻으로, 우리말의 '끼리끼리 모인다'와 같은 표현이다. 인이군분(人以群分:사람은 같은 무리끼리 모인다)과 연결하여 '물이유취 인이군분'이라고 쓰이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좋은 의미로 사용되기보다는 주로 좋지 않은 사람들이 한 부류로 모인 것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주역》〈계사(繫辭)〉편의 "삼라만상은 같은 종류끼리 모이고, 만물은 무리를 지어 나누어지니, 이로부터 길함과 흉함이 생긴다(方以類聚, 物以群分, 吉凶生矣)"라는 구절에서 유래되었다.
《전국책》의 〈제책(齊策)〉편에 따르면, 전국시대 제나라의 순우곤(淳于髡)은 왕이 인재를 구한다는 말을 듣고는 하루에 7명이나 천거하였다. 왕이 순우곤에게 인재는 구하기 어려운 법인데 하루에 7명이나 천거한 것은 너무 많지 않냐고 말했다. 이에 순우곤은 물건은 각기 비슷한 부류가 있으며(物各有疇), 자신도 인재의 부류에 속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인재를 추천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또 《주역》〈문언(文言)〉편에는 "하늘에 근본을 둔 것은 위와 친하고, 땅에 근본을 둔 것은 아래와 친하니, 이는 각자가 그 비슷한 것을 좇기 때문이다(本乎天者親上, 本乎地者親下, 則各從其類也)"라는 구절이 있다. 물각유주(物各有疇)나 물각유류(物各有類), 방이유취(方以類聚), 물이군분(物以群分), 각종기류(各從其類)는 모두 같은 의미이며, 물이유취로 많이 쓰인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類類相從(유유상종) | 物各有疇(물각유주) | 物各有類(물각유류) | 方以類聚(방이유취) | 物以群分(물이군분) | 各從其類(각종기류) | 草綠同色(초록동색) |
周易(주역) | 전국책 | 끼리끼리 |
南山玄豹 (남산현표)
南山玄豹(남산현표)
南 남녘 남, 나무 나 | 山 뫼 산 | 玄 검을 현 | 豹 표범 표 |
남산의 검은 표범. 배고픔을 견뎌야 무늬가 박힌다. 공부를 차곡차곡 쌓아야 문득 반짝이는 지혜를 갖게 된다는 뜻.
[출전]
열녀전, 주역
주역엔 '군자는 표범처럼 변한다.'는 '군자표변'(君子豹變)으로 등장.
南 남녘 남, 나무 나 | 山 뫼 산 | 玄 검을 현 | 豹 표범 표 |
남산의 검은 표범. 배고픔을 견뎌야 무늬가 박힌다. 공부를 차곡차곡 쌓아야 문득 반짝이는 지혜를 갖게 된다는 뜻.
[출전]
열녀전, 주역
주역엔 '군자는 표범처럼 변한다.'는 '군자표변'(君子豹變)으로 등장.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