容或無怪(용혹무괴)
혹시 그럴 수도 있으므로 괴이(怪異)할 것이 없음. 짐작하여 헤아릴만한 사정이 있는 것.
Showing posts with label 용.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용. Show all posts
庸中佼佼 (용중교교)
庸中佼佼(용중교교)
庸中佼佼(yōngzhōngjiǎojiǎo)
庸 떳떳할 용,쓸 용 | 中 가운데 중 | 佼 예쁠 교 | 佼 예쁠 교 |
①아름다운 여인. ②범인(凡人) 중에서 좀 나은 자.
a giant among dwarfs
후한(後漢)의 시조 광무제(光武帝)가 서선(徐宣)의 사람됨을 평한 데서 연유함.
광무제는 후한의 초대 황제로 이름은 유수(劉秀)이며, 전한(前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9세손이다. 그는 황제위에 올랐으나 적미(赤眉)를 비롯하여 왕망 때부터의 유적(流賊)들이 날뛰고 있어서 옥좌에 편히 앉아 있을 틈이 없었다. 광무제는 먼저 적미를 토벌하기로 했다. 적미는 유분자(劉盆子)를 황제로 추대하고 있었는데, 광무제는 등우(鄧禹)와 풍이(馮異)를 보냈으나 전세가 불리해져 그가 몸소 출진하여 가까스로 항복을 받아냈다. 광무제는 항복한 적미의 잔병 10여 만이 뤄양[洛陽]으로 오고 있다는 보고를 받고 기다리고 있었다. 그들은 대장 번숭(樊崇)이 유분자와 함께 웃통을 벗어 스스로를 벌하는 모습으로 항복해왔다. 광무제는 먼저 유분자에게 죄를 묻자, 유분자는 ‘만 번 죽어 마땅하나 제발 살려달라’고 했다. 이어 번숭에게 ‘아군의 실정을 보고 항복한 것을 혹시 후회하지 않는가’를 물었다. 이때 함께 항복한 그들의 승상인 서선은, 숭이 대답하기도 전에 머리를 땅에 내리치면서 “천만의 말씀입니다. 호구를 벗어나 자모의 품으로 돌아온 느낌입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광무제는 다소 비웃듯이 “경은 철중쟁쟁(鐵中錚錚), 용중교교(庸中佼佼)한 자로군.”이라고 쌀쌀하게 말했다.
여기서 ‘철중쟁쟁’은 ‘용중교교’와 함께 대응을 이루어 ‘보통 사람 중에서 조금 나은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용중교교’란 ‘범인(凡人) 중에서 좀 나은 자’라는 뜻으로 ‘철중쟁쟁’과 함께 그만그만한 자 중에서 조금 나은 자를 두고 이르는 말이다. 광무제는 통찰력이 있는 인재라면 시세의 추이를 보고 벌써 귀순했을 것이고, 대세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자라면 아직도 항복을 받아들이지 않고 버티고 있을 것이므로, 서선이 항복한 시기가 결코 이른 것은 아니지만 아직도 항복하지 않고 고집을 부리는 어리석은 자에 비하면 그래도 조금 낫다고 본 것이다.
출전
후한서(後漢書) 卷13 유분자전(劉盆子傳)
관련 한자어
참조어
庸中佼佼(용중교교) | 鐵中錚錚(철중쟁쟁) |
庸中佼佼(yōngzhōngjiǎojiǎo)
庸 떳떳할 용,쓸 용 | 中 가운데 중 | 佼 예쁠 교 | 佼 예쁠 교 |
①아름다운 여인. ②범인(凡人) 중에서 좀 나은 자.
a giant among dwarfs
후한(後漢)의 시조 광무제(光武帝)가 서선(徐宣)의 사람됨을 평한 데서 연유함.
광무제는 후한의 초대 황제로 이름은 유수(劉秀)이며, 전한(前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9세손이다. 그는 황제위에 올랐으나 적미(赤眉)를 비롯하여 왕망 때부터의 유적(流賊)들이 날뛰고 있어서 옥좌에 편히 앉아 있을 틈이 없었다. 광무제는 먼저 적미를 토벌하기로 했다. 적미는 유분자(劉盆子)를 황제로 추대하고 있었는데, 광무제는 등우(鄧禹)와 풍이(馮異)를 보냈으나 전세가 불리해져 그가 몸소 출진하여 가까스로 항복을 받아냈다. 광무제는 항복한 적미의 잔병 10여 만이 뤄양[洛陽]으로 오고 있다는 보고를 받고 기다리고 있었다. 그들은 대장 번숭(樊崇)이 유분자와 함께 웃통을 벗어 스스로를 벌하는 모습으로 항복해왔다. 광무제는 먼저 유분자에게 죄를 묻자, 유분자는 ‘만 번 죽어 마땅하나 제발 살려달라’고 했다. 이어 번숭에게 ‘아군의 실정을 보고 항복한 것을 혹시 후회하지 않는가’를 물었다. 이때 함께 항복한 그들의 승상인 서선은, 숭이 대답하기도 전에 머리를 땅에 내리치면서 “천만의 말씀입니다. 호구를 벗어나 자모의 품으로 돌아온 느낌입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광무제는 다소 비웃듯이 “경은 철중쟁쟁(鐵中錚錚), 용중교교(庸中佼佼)한 자로군.”이라고 쌀쌀하게 말했다.
여기서 ‘철중쟁쟁’은 ‘용중교교’와 함께 대응을 이루어 ‘보통 사람 중에서 조금 나은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용중교교’란 ‘범인(凡人) 중에서 좀 나은 자’라는 뜻으로 ‘철중쟁쟁’과 함께 그만그만한 자 중에서 조금 나은 자를 두고 이르는 말이다. 광무제는 통찰력이 있는 인재라면 시세의 추이를 보고 벌써 귀순했을 것이고, 대세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자라면 아직도 항복을 받아들이지 않고 버티고 있을 것이므로, 서선이 항복한 시기가 결코 이른 것은 아니지만 아직도 항복하지 않고 고집을 부리는 어리석은 자에 비하면 그래도 조금 낫다고 본 것이다.
출전
후한서(後漢書) 卷13 유분자전(劉盆子傳)
관련 한자어
참조어
庸中佼佼(용중교교) | 鐵中錚錚(철중쟁쟁) |
龍躍雲進 (용약운진)
龍躍雲進(용약운진)
龍 용 용, 용 룡, 언덕 농, 언덕 롱, 얼룩 망, 은총 총 | 躍 뛸 약, 빨리 달릴 적 | 雲 구름 운 | 進 나아갈 진, 선사 신 |
영웅이 풍운을 좇아 일어남을 비유한 말.
龍 용 용, 용 룡, 언덕 농, 언덕 롱, 얼룩 망, 은총 총 | 躍 뛸 약, 빨리 달릴 적 | 雲 구름 운 | 進 나아갈 진, 선사 신 |
영웅이 풍운을 좇아 일어남을 비유한 말.
用管窺天 (용관규천, yòngguǎnkuītiān)
用管窺天(용관규천)
用管窥天(yòngguǎnkuītiān)
用 쓸 용 | 管 대롱 관,주관할 관 | 窺 엿볼 규 | 天 하늘 천 |
대롱을 통(通)해 하늘을 살핀다는 뜻으로, 소견(所見)이나 견문(見聞)이 좁음을 이르는 말
用管窥天(yòngguǎnkuītiān)
用 쓸 용 | 管 대롱 관,주관할 관 | 窺 엿볼 규 | 天 하늘 천 |
대롱을 통(通)해 하늘을 살핀다는 뜻으로, 소견(所見)이나 견문(見聞)이 좁음을 이르는 말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