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强不息(자강불식)
自强不息(zìqiángbùxī)
自 스스로 자 | 强 강할 강 | 不 아닐 불, 아닐 부 | 息 쉴 식 |
스스로 힘을 쓰고 몸과 마음을 가다듬어 쉬지 아니함
to strive to become stronger; to make unremitting efforts to improve oneself
[출전]
역경(易經)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自彊不息(자강불식) | 自强不息(자강불식) |
Showing posts with label 易經.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易經. Show all posts
一朝一夕 (일조일석)
一朝一夕(일조일석)
一朝一夕(yìzhāoyìxī)
一 한 일 | 朝 아침 조, 고을 이름 주 | 一 한 일 | 夕 저녁 석, 한 움큼 사 |
1. 하루의 아침 혹은 하루의 저녁. 2. 하루 아침, 하루 저녁과 같은 짧은 시일
in one morning or evening; overnight; in one day
출전
역경(易經)
관련 한자어
반의어
千秋万代(qiānqiūwàndài, 천추만대) | 长此以往(chángcǐyǐwǎng, 장차이왕) | 长年累月(chángniánlěiyuè, 장년누월) |
一朝一夕(yìzhāoyìxī)
一 한 일 | 朝 아침 조, 고을 이름 주 | 一 한 일 | 夕 저녁 석, 한 움큼 사 |
1. 하루의 아침 혹은 하루의 저녁. 2. 하루 아침, 하루 저녁과 같은 짧은 시일
in one morning or evening; overnight; in one day
출전
역경(易經)
관련 한자어
반의어
千秋万代(qiānqiūwàndài, 천추만대) | 长此以往(chángcǐyǐwǎng, 장차이왕) | 长年累月(chángniánlěiyuè, 장년누월) |
安不忘危 (안불망위)
安不忘危(안불망위)
安不忘危(ānbúwàngwēi)
安 편안 안 | 不 아닐 불, 아닐 부 | 忘 잊을 망 | 危 위태할 위 |
편안한 가운데서도 늘 위험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항상 스스로를 경계해 언제 닥쳐올지 모르는 어려움에 대처한다는 뜻.
to be aware of possible danger in times of peace
《주역》의 '계사전(繫辭傳)' 하편에 "그러므로 군자는 태평할 때에도 위기를 잊지 않고, 순탄할 때에도 멸망을 잊지 않으며, 잘 다스려지고 있을 때에도 혼란을 잊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내 몸을 보전할 수 있고, 가정과 나라를 보전할 수 있다(是故君子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身安而國家可保也)"라고 하였다.
이는 안정과 위기는 돌고 도는 것이므로 태평한 시기에도 언제 닥쳐올지 모르는 위기와 어려움에 대비하여 이를 예방하도록 힘써야 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유래하여 안불망위는 평안할 때에도 마음을 놓지 않고 항상 스스로 경계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거안사위(居安思危:편안할 때에도 위태로울 때의 일을 생각한다)와 비슷한 의미이다.
출전
易經(역경)=周易(주역) 繫辭傳(계사전) 하편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居安思危(거안사위) | 安不忘危(안불망위) |
安不忘危(ānbúwàngwēi)
安 편안 안 | 不 아닐 불, 아닐 부 | 忘 잊을 망 | 危 위태할 위 |
편안한 가운데서도 늘 위험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항상 스스로를 경계해 언제 닥쳐올지 모르는 어려움에 대처한다는 뜻.
to be aware of possible danger in times of peace
《주역》의 '계사전(繫辭傳)' 하편에 "그러므로 군자는 태평할 때에도 위기를 잊지 않고, 순탄할 때에도 멸망을 잊지 않으며, 잘 다스려지고 있을 때에도 혼란을 잊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내 몸을 보전할 수 있고, 가정과 나라를 보전할 수 있다(是故君子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身安而國家可保也)"라고 하였다.
이는 안정과 위기는 돌고 도는 것이므로 태평한 시기에도 언제 닥쳐올지 모르는 위기와 어려움에 대비하여 이를 예방하도록 힘써야 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유래하여 안불망위는 평안할 때에도 마음을 놓지 않고 항상 스스로 경계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거안사위(居安思危:편안할 때에도 위태로울 때의 일을 생각한다)와 비슷한 의미이다.
출전
易經(역경)=周易(주역) 繫辭傳(계사전) 하편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居安思危(거안사위) | 安不忘危(안불망위) |
開物成務 (개물성무)
開物成務(개물성무)
開 열 개, 평평할 견 | 物 물건 물 | 成 이룰 성 | 務 힘쓸 무, 업신여길 모 |
①만물(萬物)의 뜻을 열어 천하(天下)의 사무(事務)를 성취(成就)함 ②사람이 아직 모르는 곳을 개발(開發)하고, 사람이 하고자 하는 바를 성취(成就)시킴
주역에 나온 말로 `만물의 뜻을 열어 천하의 사무를 성취한다`는 뜻이다. 사람이 아직 모르는 곳을 개발하고 이루려는 바를 성취한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출전]
역경(易經)
開 열 개, 평평할 견 | 物 물건 물 | 成 이룰 성 | 務 힘쓸 무, 업신여길 모 |
①만물(萬物)의 뜻을 열어 천하(天下)의 사무(事務)를 성취(成就)함 ②사람이 아직 모르는 곳을 개발(開發)하고, 사람이 하고자 하는 바를 성취(成就)시킴
주역에 나온 말로 `만물의 뜻을 열어 천하의 사무를 성취한다`는 뜻이다. 사람이 아직 모르는 곳을 개발하고 이루려는 바를 성취한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출전]
역경(易經)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