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出於藍(청출어람)
靑 푸를 청 | 出 날 출 | 於 어조사 어, 탄식할 오, 어조사 우 | 藍 쪽 람(남), 볼 감 |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나음을 이르는 말이다. 쪽은 잎을 물감으로 쓰는 한해살이 풀.
이 말은 孟子(맹자)와 더불어 전국시대의 사상가로 맹자의 性善說(성선설)에 대해 性惡說(성악설)을 주장한 荀子(순자)의 다음과 같은 유명한 문장에서 생겨났다.
「배움은 중지하지 말아야 한다 (學不可以已). 청색은 쪽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쪽보다 더 푸르고(靑出於藍而靑於藍) 얼음은 물이 얼어서 되는 것이지만 물보다 더 차다 (氷水爲之而寒於水)」
학문이란 그만둘 수 없는 것이므로 결코 게을리하지 말아야 하며 학문의 기초를 만들어준 스승보다 훨씬 깊은 학문을 쌓아올린 제자도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여기서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나다는 뜻인 청출어람(靑出於藍)이 나왔으며, 출람(出藍)이란 말도 여기서 비롯된 말이다. 또 이러한 재주 있는 사람을 출람지재(出藍之才)라고 한다.
비록 제자일지라도 열심히 하면 얼마든지 스승을 능가할 수 있음을 강조한 순자의 주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있다. 남북조시대 이야기다. 北朝(북조)의 공번이란 선비에게 李謐(이밀)이란 제자가 있었다. 비상한 재주를 가졌던 이밀의 실력은 日就月將(일취월장), 몇년이 흐르자 공번은 이밀이 자기를 앞섰다면서 스스로 그의 제자가 되었다는 것이다.그러자, 친구(親舊)들은 그의 용기를 높이 사고 또 훌륭한 제자를 두었다는 뜻에서 청출어람(靑出於藍)이라고 칭찬(稱讚)했다.
출전
荀子(순자) 勸學篇(권학편)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後生角高(후생각고) | 出藍之才(출람지재) | 出藍之譽(출람지예) | 出藍(출람) | 靑出於藍而靑於藍(청출어람이청어람) | 青出于蓝而胜于蓝(qīngchūyúlán’érshèngyúlán) |
관련 속담
반의어·상대어
¶ 형만한 아우 없다.
¶ 아비만 한 자식없다.
Showing posts with label 청.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청. Show all posts
靑天霹靂 (청천벽력)
靑天霹靂(청천벽력)
青天霹雳(qīngtiānpīlì)
靑 푸를 청 | 天 하늘 천 | 霹 벼락 벽 | 靂 벼락 력(역) |
맑게 갠 하늘의 벼락이라는 뜻으로 ①필세(筆勢)의 세참을 이르는 말 ②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뜻밖의 사태 변고같은 것을 비유해서 쓰는 말
a bolt from the blue sky
南宋(남송)의 시인 육유(陸游, 1125-1210)는 금(金)나라가 남침했을 때 이민족에 대해 끝까지 대항하여 싸울 것을 주장한 철저한 항전주의자였다. 65세 때에 향리에 은퇴하여 농촌에 묻혀 지내면서 많은 시를 지었다. 약 1만 수(首)에 달하는 시를 남겨 중국 시 사상 최다작의 시인으로 꼽히며, 당시풍(唐詩風)의 강렬한 서정을 부흥시킨 점이 최대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저작 중의 하나인 검남시고(劍南詩稿)에는 「九月四日鷄未鳴起作(구월사일계미명기작)」이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여름에서 가을에 이르는 동안 병상에서 지냈던 그는, 음력 9월 어느 가을 날 닭들도 채 일어나지 않은 아침에, 이 시에서 자신의 적막한 만년(晩年)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
내 병든 채 가을을 보내려다, 문득 일어나 붓을 놀리니, 마치 오래동안 틀어박혀 있던 용이, 푸른 하늘에서 벼락을 내리치듯 하네[正如久蟄龍, 靑天飛霹靂]
육유는 병들어 드러 누워있던 자신이 갑자기 붓을 들어 시를 짓는 筆勢(필세)를 맑은 하늘에서 용이 벼락을 치는 것에 비유하였던 것이다.
「청천벽력(靑天霹靂)」은 이처럼 붓놀림의 웅혼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였었지만 오늘날에는 본래의 뜻과 달리 뜻밖의 큰 일을 나타내는데 쓰이고 있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靑天霹靂(청천벽력) | 晴天霹雳(청천벽력,qíngtiānpīlì) |
관련 인물
陸游(육유)
관련 한시
九月四日鷄未鳴起作(구월사일계미명기작)
放翁病過秋 (방옹병과추)
忽起作醉墨 (홀기작취묵)
正如久蟄龍 (정여구칩룡)
靑天飛霹靂 (청천비벽력)
雖云墮怪奇 (수운타괴기)
要勝常憫黙 (요승상민묵)
一朝此翁死 (일조차옹사)
千金求不得 (천금구부득)
9월4일 닭이 울기도 전에 일어나서 짓다
병상에 누워 있던 방옹이 가을을 보내다가
홀연히 일어나 취한 듯 붓을 놀리네
(글씨의 약동하는 필세는) 마치 오랫동안 웅크리고 있던 용이 뛰어나온 것같고
푸른 하늘에 벼락을 날리는 듯한 기세가 있구나
비록 이 글이 좀 괴이하고 기이하다고 누가 말해도
가엾게 여겨 보아준다면 볼 만도 하리라
하루 아침에 이 늙은이가 죽게 된다면
그때 천금을 주어도 이 글씨를 구하지 못하리라
방옹은 육유의 호(號)이다. 이 시의 시간적 배경은 가을이 끝나갈 무렵인 음력 9월 4일이다. 이 가을까지 병상에 누워 있던 육유는 어느날 새벽 닭보다 먼저 눈을 뜨고 일어나 보았던 모양이다.
醉墨(취묵)이라 표현은 病者(병자)여서 몸이 취한 듯 흔들거리는 상태에서 붓을 잡았다는 말로 해석하기도 하고, 병을 이겨낸 것 같은 생각이 들어, 마치 술에 취하듯 흥겹게 붓을 놀리려 한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 손을 떨면서 오랜만에 붓을 잡았지만 병자답지 않게 힘찬 필력으로 쓰기 시작했고, 오래 칩거하고 있던 용이 하늘로 올라갈 때는 하늘이 진동하듯 격렬한 천둥과 번개가 따른다고 해석한다. 후자의 경우 병에서 벗어난 듯하여 붓을 놀리려 하지만 여전히 몸은 말을 듣지 않는 분위기를 나타낸다고 본다.
青天霹雳(qīngtiānpīlì)
靑 푸를 청 | 天 하늘 천 | 霹 벼락 벽 | 靂 벼락 력(역) |
맑게 갠 하늘의 벼락이라는 뜻으로 ①필세(筆勢)의 세참을 이르는 말 ②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뜻밖의 사태 변고같은 것을 비유해서 쓰는 말
a bolt from the blue sky
南宋(남송)의 시인 육유(陸游, 1125-1210)는 금(金)나라가 남침했을 때 이민족에 대해 끝까지 대항하여 싸울 것을 주장한 철저한 항전주의자였다. 65세 때에 향리에 은퇴하여 농촌에 묻혀 지내면서 많은 시를 지었다. 약 1만 수(首)에 달하는 시를 남겨 중국 시 사상 최다작의 시인으로 꼽히며, 당시풍(唐詩風)의 강렬한 서정을 부흥시킨 점이 최대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저작 중의 하나인 검남시고(劍南詩稿)에는 「九月四日鷄未鳴起作(구월사일계미명기작)」이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여름에서 가을에 이르는 동안 병상에서 지냈던 그는, 음력 9월 어느 가을 날 닭들도 채 일어나지 않은 아침에, 이 시에서 자신의 적막한 만년(晩年)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
내 병든 채 가을을 보내려다, 문득 일어나 붓을 놀리니, 마치 오래동안 틀어박혀 있던 용이, 푸른 하늘에서 벼락을 내리치듯 하네[正如久蟄龍, 靑天飛霹靂]
육유는 병들어 드러 누워있던 자신이 갑자기 붓을 들어 시를 짓는 筆勢(필세)를 맑은 하늘에서 용이 벼락을 치는 것에 비유하였던 것이다.
「청천벽력(靑天霹靂)」은 이처럼 붓놀림의 웅혼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였었지만 오늘날에는 본래의 뜻과 달리 뜻밖의 큰 일을 나타내는데 쓰이고 있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靑天霹靂(청천벽력) | 晴天霹雳(청천벽력,qíngtiānpīlì) |
관련 인물
陸游(육유)
관련 한시
九月四日鷄未鳴起作(구월사일계미명기작)
放翁病過秋 (방옹병과추)
忽起作醉墨 (홀기작취묵)
正如久蟄龍 (정여구칩룡)
靑天飛霹靂 (청천비벽력)
雖云墮怪奇 (수운타괴기)
要勝常憫黙 (요승상민묵)
一朝此翁死 (일조차옹사)
千金求不得 (천금구부득)
9월4일 닭이 울기도 전에 일어나서 짓다
병상에 누워 있던 방옹이 가을을 보내다가
홀연히 일어나 취한 듯 붓을 놀리네
(글씨의 약동하는 필세는) 마치 오랫동안 웅크리고 있던 용이 뛰어나온 것같고
푸른 하늘에 벼락을 날리는 듯한 기세가 있구나
비록 이 글이 좀 괴이하고 기이하다고 누가 말해도
가엾게 여겨 보아준다면 볼 만도 하리라
하루 아침에 이 늙은이가 죽게 된다면
그때 천금을 주어도 이 글씨를 구하지 못하리라
방옹은 육유의 호(號)이다. 이 시의 시간적 배경은 가을이 끝나갈 무렵인 음력 9월 4일이다. 이 가을까지 병상에 누워 있던 육유는 어느날 새벽 닭보다 먼저 눈을 뜨고 일어나 보았던 모양이다.
醉墨(취묵)이라 표현은 病者(병자)여서 몸이 취한 듯 흔들거리는 상태에서 붓을 잡았다는 말로 해석하기도 하고, 병을 이겨낸 것 같은 생각이 들어, 마치 술에 취하듯 흥겹게 붓을 놀리려 한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 손을 떨면서 오랜만에 붓을 잡았지만 병자답지 않게 힘찬 필력으로 쓰기 시작했고, 오래 칩거하고 있던 용이 하늘로 올라갈 때는 하늘이 진동하듯 격렬한 천둥과 번개가 따른다고 해석한다. 후자의 경우 병에서 벗어난 듯하여 붓을 놀리려 하지만 여전히 몸은 말을 듣지 않는 분위기를 나타낸다고 본다.
聽而不聞 (청이불문)
聽而不聞(청이불문)
聽 들을 청 | 而 말 이을 이, 능히 능 | 不 아닐 부, 아닐 불 | 聞 들을 문 |
마음이 있지 않으면 들어도 들리지않는다
[출전]
大學(대학) 正心章(정심장)
관련 문장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심부재언 시이불견 청이불문 식이부지기미) 마음이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않고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 大學(대학) 正心章(정심장)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聽若不聞(청약불문) | 置若罔闻(zhìruòwǎngwén, 치약망문) 1. 못 들은 체하다. 들은 체 만 체하다. 2. 일체 관심을 두지 않고 거들떠보지 않다. ↔ 刻骨铭心(kègǔmíngxīn) |
聽 들을 청 | 而 말 이을 이, 능히 능 | 不 아닐 부, 아닐 불 | 聞 들을 문 |
마음이 있지 않으면 들어도 들리지않는다
[출전]
大學(대학) 正心章(정심장)
관련 문장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심부재언 시이불견 청이불문 식이부지기미) 마음이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않고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 大學(대학) 正心章(정심장)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聽若不聞(청약불문) | 置若罔闻(zhìruòwǎngwén, 치약망문) 1. 못 들은 체하다. 들은 체 만 체하다. 2. 일체 관심을 두지 않고 거들떠보지 않다. ↔ 刻骨铭心(kègǔmíngxīn) |
淸廉潔白 (청렴결백)
淸廉潔白(청렴결백)
淸 맑을 청 | 廉 청렴할 렴(염), 살필 렴(염) | 潔 깨끗할 결 | 白 흰 백 |
마음이 창백하고 염치를 알며 깨끗함. 재물(財物) 욕심(慾心)이 없음.
淸 맑을 청 | 廉 청렴할 렴(염), 살필 렴(염) | 潔 깨끗할 결 | 白 흰 백 |
마음이 창백하고 염치를 알며 깨끗함. 재물(財物) 욕심(慾心)이 없음.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