穿楊貫蝨(천양관슬)
穿杨贯虱(chuānyángguànshī)
穿 뚫을 천 | 楊 버들 양 | 貫 꿸 관 | 蝨 이 슬 |
'버드나무 잎을 맞히고 이를 꿰뚫는다'라는 뜻으로, 매우 뛰어난 활솜씨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고대 중국의 명궁인 양유기(養由基)와 기창(紀昌)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Showing posts with label 열자:탕문.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열자:탕문. Show all posts
愚公移山 (우공이산, Yúgōngyíshān)
愚公移山(우공이산)
愚公移山[Yúgōngyíshān]
愚 어리석을 우 | 公 공평할 공 | 移 옮길 이, 크게 할 치 | 山 메 산 |
우공(寓公)이 산을 옮기다. 《열자·탕문(列子·湯問)》에 나오는 말로서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쉬지 않고 꾸준하게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Like the Foolish Old Man who removed the mountains—with dogged perseverance
원래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이야기다.
태형(太形 또는 태행 太行) ·왕옥(王屋) 두 산은 둘레가 700리나 되는데 원래 기주(冀州) 남쪽과 하양(河陽) 북쪽에 있었다. 북산(北山)의 우공(愚公)이란 사람은 나이가 이미 90에 가까운데 이 두 산이 가로막혀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을 덜고자 어느 날 가족을 모아 놓고 말하였다.
"저 험한 산을 평평하게 하여 예주(豫州)의 남쪽까지 곧장 길을 내는 동시에 한수(漢水)의 남쪽까지 갈 수 있도록 하겠다. 너희들 생각은 어떠하냐?"
모두 찬성하였으나 그의 아내만이 반대하며 말하였다.
"당신 힘으로는 조그만 언덕 하나 파헤치기도 어려운데, 어찌 이 큰 산을 깎아 내려는 겁니까? 또, 파낸 흙은 어찌하시렵니까?"
우공은 흙은 발해(渤海)에다 버리겠다며 세 아들은 물론 손자들까지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서 삼태기와 광주리 등으로 나르기 시작하였다.
흙을 발해만(渤海灣)까지 운반하는 데 한 번 왕복에 1년이 걸렸다. 이것을 본 친구 황해의 지수(智搜)라는 사람이 그를 비웃으며 만류하자 그는 정색을 하고 대답하였다.
“나는 늙었지만 나에게는 자식도 있고 손자도 있다. 그 손자는 또 자식을 낳아 자자손손 한없이 대를 잇겠지만 산은 더 불어나는 일이 없지 않은가. 그러니 언젠가는 평평하게 될 날이 오겠지”
지수는 말문이 막혔다.
그런데 이 말을 들은 산신령(蛇神)이 산을 허무는 인간의 노력이 끝없이 계속될까 겁이 나서 옥황상제에게 이 일을 말려 주도록 호소하였다. 그러나 옥황상제는 우공의 정성에 감동하여 가장 힘이 센 역신(力神) 과아씨(夸蛾氏)의 두 아들을 시켜 두 산을 들어 옮겨, 하나는 삭동(朔東)에 두고 하나는 옹남(雍南)에 두게 하였다고 한다.
출전·유래
列子(열자) 湯問(탕문) |
관련 한자어
유의어
塵合泰山 진합태산 | 點滴穿石 점적천석 | 積土成山 적토성산 | 積塵成山 적진성산 | 積水成淵 적수성연 | 積小成大 적소성대 | 十伐之木 십벌지목 | 水滴穿石 수적천석 | 水積成川 수적성천 山溜穿石 산류천석 | 磨斧作針 마부작침 | 磨斧爲針 마부위침 |
참조어
風燭殘年(풍촉잔년)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愚公移山[Yúgōngyíshān]
愚 어리석을 우 | 公 공평할 공 | 移 옮길 이, 크게 할 치 | 山 메 산 |
우공(寓公)이 산을 옮기다. 《열자·탕문(列子·湯問)》에 나오는 말로서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쉬지 않고 꾸준하게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Like the Foolish Old Man who removed the mountains—with dogged perseverance
원래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이야기다.
태형(太形 또는 태행 太行) ·왕옥(王屋) 두 산은 둘레가 700리나 되는데 원래 기주(冀州) 남쪽과 하양(河陽) 북쪽에 있었다. 북산(北山)의 우공(愚公)이란 사람은 나이가 이미 90에 가까운데 이 두 산이 가로막혀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을 덜고자 어느 날 가족을 모아 놓고 말하였다.
"저 험한 산을 평평하게 하여 예주(豫州)의 남쪽까지 곧장 길을 내는 동시에 한수(漢水)의 남쪽까지 갈 수 있도록 하겠다. 너희들 생각은 어떠하냐?"
모두 찬성하였으나 그의 아내만이 반대하며 말하였다.
"당신 힘으로는 조그만 언덕 하나 파헤치기도 어려운데, 어찌 이 큰 산을 깎아 내려는 겁니까? 또, 파낸 흙은 어찌하시렵니까?"
우공은 흙은 발해(渤海)에다 버리겠다며 세 아들은 물론 손자들까지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서 삼태기와 광주리 등으로 나르기 시작하였다.
흙을 발해만(渤海灣)까지 운반하는 데 한 번 왕복에 1년이 걸렸다. 이것을 본 친구 황해의 지수(智搜)라는 사람이 그를 비웃으며 만류하자 그는 정색을 하고 대답하였다.
“나는 늙었지만 나에게는 자식도 있고 손자도 있다. 그 손자는 또 자식을 낳아 자자손손 한없이 대를 잇겠지만 산은 더 불어나는 일이 없지 않은가. 그러니 언젠가는 평평하게 될 날이 오겠지”
지수는 말문이 막혔다.
그런데 이 말을 들은 산신령(蛇神)이 산을 허무는 인간의 노력이 끝없이 계속될까 겁이 나서 옥황상제에게 이 일을 말려 주도록 호소하였다. 그러나 옥황상제는 우공의 정성에 감동하여 가장 힘이 센 역신(力神) 과아씨(夸蛾氏)의 두 아들을 시켜 두 산을 들어 옮겨, 하나는 삭동(朔東)에 두고 하나는 옹남(雍南)에 두게 하였다고 한다.
출전·유래
列子(열자) 湯問(탕문) |
관련 한자어
유의어
塵合泰山 진합태산 | 點滴穿石 점적천석 | 積土成山 적토성산 | 積塵成山 적진성산 | 積水成淵 적수성연 | 積小成大 적소성대 | 十伐之木 십벌지목 | 水滴穿石 수적천석 | 水積成川 수적성천 山溜穿石 산류천석 | 磨斧作針 마부작침 | 磨斧爲針 마부위침 |
참조어
風燭殘年(풍촉잔년)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