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蚌鷸之爭 (방휼지쟁, bàngyùzhīzhēng)

蚌鷸之爭(방휼지쟁)

蚌鹬之争(bàngyùzhīzhēng)

蚌 방합 방 | 鷸 도요새 휼 | 之 갈 지 | 爭 다툴 쟁 |


방합과 도요새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제3자(第三者)만 이롭게 하는 다툼을 이르는 말


이 말은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에서 비롯되었다.

조(趙)나라가 연(燕)나라를 치려 하였는데, 때마침 연나라에 와 있던 소진(蘇秦)의 아우 소대(蘇代)는 연나라 왕의 부탁을 받고 조나라의 혜문왕(惠文王)을 찾아가 이렇게 설득하였다.

"이번에 제가 이 곳으로 오는 도중에 역수(易水)를 건너오게 되었습니다. 마침 민물조개가 강변에 나와 입을 벌리고 햇볕을 쪼이고 있는데, 도요새란 놈이 지나가다 조갯살을 쪼아 먹으려 하자 조개는 깜짝 놀라 입을 오므렸습니다. 그래서 도요새는 주둥이를 물리고 말았습니다. 도요새는 생각하기를 오늘 내일 비만 오지 않으면 바짝 말라 죽은 조개가 될 것이다 하였고, 조개는 조개대로 오늘 내일 입만 벌려 주지 않으면 죽은 도요새가 될 것이다 생각하여 서로 버티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때 마침 어부가 이 광경을 보고 도요새와 조개를 한꺼번에 망태 속에 넣고 말았습니다. 지금 조나라가 연나라를 치려 하시는데 두 나라가 오래 버티어 백성들이 지치게 되면 강한 진(秦)나라가 어부가 될 것을 저는 염려합니다. 그러므로 대왕께서는 깊이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소대의 이 비유를 들은 혜문왕은 과연 옳은 말이라 하여 연나라 공격계획을 중지하였다

趙且伐燕(조차벌연)이어늘 蘇代(소대)가 爲燕(위연)하여 謂惠王曰(위혜왕왈) "今日(금일)에 臣(신)이 過易水(과역수)할새 蚌(방)이 方出曝而鷸(방출폭이휼)이 啄其肉(탁기육)하니 蚌(방)이 合而箝(합이겸) 其喙(기훼)라 鷸曰(휼왈) "今日不雨(금일불우)하고 明日不雨(명일불우)면 卽有死蚌(즉유사방)이라"蚌(방)이 亦謂鷸曰(역위휼왈) "今日不出(금일불출)하고 明日不出(명일불출)이면 卽有死鷸(즉유사휼)이라"하고 兩者(양자)가 不肯相舍(불긍상사)하니 漁者(어자)가 得而幷(득이병) 擒之(금지)라 今趙且伐燕(금조차벌연)하여 燕趙(연조)가 久相攻(구상공)하여 以大衆(이대중)이면 臣(신)은 恐强秦之爲漁夫(공강진지위어부) 也(야)라 願大王(원대왕)은 熟計之也(숙계지야)니이다." 惠王(혜왕)이 曰(왈) "善(선)하다"하니라.

[유래]
戰國策(전국책) : 卷三十•燕策二 |


관련 한자어

유의어

鷸蚌之爭(휼방지쟁) | 漁人之利(어인지리) | 漁人得利(어인득리) | 漁翁之利(어옹지리) | 漁父之利(어부지리) | 漁夫之利(어부지리) | 犬兎之爭(견토지쟁) |


전국책 | 전국책:연책 | 동물 | 방합 | 도요새 | 어부지리 | 이익

戰國策 | 戰國策:卷三十•燕策二 | 蚌 | 鷸 | 漁夫之利

蚌鷸之勢 (방휼지세)

蚌鷸之勢(방휼지세)

서로 적대하여 버티고 양보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말.

方枘圓鑿 (방예원조)

方枘圓鑿(방예원조)

方 모 방/본뜰 방, 괴물 망 | 枘 장부 예, 싹 날 논 | 圓 둥글 원, 화폐 단위 엔 | 鑿 뚫을 착, 구멍 조, 새길 촉 |

네모난 자루에 둥근 구멍이라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 진(秦)나라는 장의(張儀)의 연횡책을 채용하여 소진(蘇秦)의 합종책으로 대항하는 6국을 상대하였다. 천하를 통일하기 위해, 진나라는 빈번하게 6국을 침범하고 남쪽 대국인 초(楚)나라에 위협을 가하였다.

초나라 회왕(懷王) 때, 정치가이자 시인인 굴원(屈原:BC 343?∼BC 277?)은 동쪽의 제(齊)나라와 연합하여 진나라의 공격에 대항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초회왕의 어린 자식과 총희 등이 방해하였다. 결국 굴원은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으로 왕의 미움을 받아 관직을 박탈당하고 유배되었다.

굴원의 제자인 초나라의 궁정시인 송옥(宋玉:BC 290?∼BC 222?)은 스승에게 닥친 이러한 일에 대해 비분(悲憤)을 억누르기가 어려웠다. 송옥은 스승 굴원에 대한 동정심과 왕에 대한 억울한 마음을 《초사(楚辭)》에 수록된 《구변(九辯)》에서 나타냈다. 이 시(詩)에 나오는 "둥근 구멍과 네모난 장부는 예로부터 서로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圓鑿而方蘭兮 我固知其而難入]"라는 구절에서 유래한 성어(成語)이다. 둥근 구멍에는 네모난 장부보다 둥근 장부를 끼워야 들어맞는데, 굴원의 충성스런 정치적 식견과 간사한 신하들의 의견이 본질적으로 서로 맞지 않아 화합할 수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초사(楚辭) 구변(九辯)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鑿枘(조예) | 圓鑿方枘(원조방예) | 圓孔方木(원공방목) | 枘鑿(예조) | 方底圓蓋(방저원개)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傍若無人 (방약무인)

傍若無人(방약무인)

두려움 없이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

旁岐曲逕 (방기곡경)

旁岐曲逕(방기곡경)

샛길과 굽은 골목을 다니듯 정당한 방법을 피하고 억지스럽게 지내다

교수신문에서 2009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 남과 화목하게 지내지만 스스로 원칙을 굽히지 말자며 시작했으나, 샛길과 굽은 골목을 다니듯 정당한 방법을 피하고 억지스럽게 지내왔다는 반성.


2009년 | 올해의 사자성어 | 교수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