浩然之氣(호연지기)
浩 넓을 호, 술 거를 고 | 然 그럴 연, 불탈 연 | 之 갈 지 | 氣 기운 기, 보낼 희 |
①하늘과 땅 사이에 넘치게 가득찬 넓고도 큰 원기 ②도의(道義)에 근거(根據)를 두고 굽히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바르고 큰 마음 ③공명정대(公明正大)하여 조금도 부끄럼 없는 용기(勇氣) ④사물이나 잡다(雜多)한 일에서 벗어난 자유(自由)로운 마음
孟子(맹자)의 제자 公孫丑(공손추)는 齊(제)나라 사람이었다. 어느날 스승에게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께서 제나라의 재상이 되시어 도를 행하신다면 제나라를 천하의 覇者(패자)로 만드실 것 같습니다.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마음을 한번 움직여 보시지 않겠습니까?"
"나는 40이 넘어서부터는 마음이 움직이는 일이 없네."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것[不動心․(부동심)]은 진정한 용기[勇]가 필요하네. 용기가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는 요체가 되지."
맹자(孟子)는 심중에 부끄러움이 없으면 어떠한 것이나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것이 대용(大勇)이라 했다.
"선생님의 부동심과 고자(告子)의 부동심과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고자는 제나라의 사상가로 맹자가 性善說(성선설)을 주창한데 반해 성악설을 내세운 사람이다.
"고자는 이해가 되지 않는 말을 억지로 이해하려고 해서는 안된다고 했어. 그러니까 신경을 쓰지 않음으로써 부동심을 얻으려고 했다네. 그러나 그것은 너무 소극적이지. 그런데 나는 남의 말을 듣고 그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다네[知言]. 그러니까 고자와 나의 부동심은 다르지. 게다가 나는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르고 있다네."
"그럼 호연지기란 무엇입니까?"
"말로 설명하기 어렵다네.지언(知言)이란 편협한 말[詖辭(피사)], 음탕한 말[淫辭(음사)], 간사한 말[邪辭(사사)], 피하는 말[遁辭(둔사)]를 가려낼 수 있는 명(明)을 갖는 것이다. 또 호연지기는 평온하고 너그러운 화기(和氣)를 말하며, 기(氣)는 매우 광대하고 강건하며 올바르고 솔직한 것으로서 이것을 해치지 않도록 기르면, 천지간에 넘치는 우주 자연과 합일하는 경지다. 기는 의(義)와 도(道)를 따라 길러지며 이것을 잃으면 시들고 만다. 이것은 자신 속에 올바른 것을 쌓아 올림으로써 생겨나는 것이다."
[출전]
맹자(孟子)의 공손추편(公孫丑篇)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浩氣(호기) | 正氣(정기) |
Showing posts with label 교감.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교감. Show all posts
風月主人 (풍월주인)
風月主人(풍월주인)
風 바람 풍 | 月 달 월 | 主 임금 주, 주인 주 | 人 사람 인 |
맑은 바람과 밝은 달 등(等)의 자연(自然)을 즐기는 사람을 이르는 말
風 바람 풍 | 月 달 월 | 主 임금 주, 주인 주 | 人 사람 인 |
맑은 바람과 밝은 달 등(等)의 자연(自然)을 즐기는 사람을 이르는 말
千紫萬紅 (천자만홍)
千紫萬紅(천자만홍)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紫 자줏빛 자 | 萬 일만 만 | 紅 붉을 홍, 상복 공 |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의 빛깔이라는 뜻으로, ①색색의 꽃이 피어 있는 상태(狀態)를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②사물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모양.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모양. 사업이 번창하는 모양
blaze of color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萬紫千紅(만자천홍) | 万紫千红(wànzǐqiānhóng) | 千紫萬紅(천자만홍) |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紫 자줏빛 자 | 萬 일만 만 | 紅 붉을 홍, 상복 공 |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의 빛깔이라는 뜻으로, ①색색의 꽃이 피어 있는 상태(狀態)를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②사물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모양.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모양. 사업이 번창하는 모양
blaze of color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萬紫千紅(만자천홍) | 万紫千红(wànzǐqiānhóng) | 千紫萬紅(천자만홍) |
泉石膏肓 (천석고황)
泉石膏肓(천석고황)
泉 샘 천 | 石 돌 석 | 膏 기름 고 | 肓 명치끝 황 |
샘과 돌이 고황에 들었다는 뜻으로, 자연을 사랑하는 고칠 수 없는 병. 산수(山水) 풍경(風景)을 좋아함을 일컫는 말
출전
당서(唐書)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煙霞痼疾(연하고질) |
泉 샘 천 | 石 돌 석 | 膏 기름 고 | 肓 명치끝 황 |
샘과 돌이 고황에 들었다는 뜻으로, 자연을 사랑하는 고칠 수 없는 병. 산수(山水) 풍경(風景)을 좋아함을 일컫는 말
출전
당서(唐書)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煙霞痼疾(연하고질) |
竹杖芒鞋 (죽장망혜)
竹杖芒鞋(죽장망혜)
竹 대 죽 | 杖 지팡이 장 | 芒 까끄라기 망, 황홀할 황 | 鞋 신 혜 |
대지팡이와 짚신이라는 뜻으로, 먼 길을 떠날 때의 간편(簡便)한 차림을 이르는 말
竹 대 죽 | 杖 지팡이 장 | 芒 까끄라기 망, 황홀할 황 | 鞋 신 혜 |
대지팡이와 짚신이라는 뜻으로, 먼 길을 떠날 때의 간편(簡便)한 차림을 이르는 말
主客一體 (주객일체)
主客一體(주객일체)
主 임금 주/주인 주 | 客 손 객 | 一 한 일 | 體 몸 체 |
주체와 객체가 하나로 됨. 나와 대상이 하나가 됨. 자아와 자연이 하나로 됨.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物心一如(물심일여) | 胡蝶之夢(호접지몽) | 胡蝶夢(호접몽) | 蝶夢(접몽) | 莊周之夢(장주지몽) |
主 임금 주/주인 주 | 客 손 객 | 一 한 일 | 體 몸 체 |
주체와 객체가 하나로 됨. 나와 대상이 하나가 됨. 자아와 자연이 하나로 됨.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物心一如(물심일여) | 胡蝶之夢(호접지몽) | 胡蝶夢(호접몽) | 蝶夢(접몽) | 莊周之夢(장주지몽) |
異代同調 (이대동조, yìdàitóngdiào)
異代同調(이대동조)
异代同调(yìdàitóngdiào)
異 다를 이(리) | 代 대신할 대 | 同 한가지 동 | 調 고를 조,아침 주 |
同调(tóngdiào) 같은 가락·음률, 동지·동조자
시대(時代)는 달라도 인간(人間) 또는 사물(事物)에는 각각(各各) 상통하는 분위기(雰圍氣)와 맛이 있음
참조 한자어
유의어
異世同調(이세동조) |
交感, 교감
异代同调(yìdàitóngdiào)
異 다를 이(리) | 代 대신할 대 | 同 한가지 동 | 調 고를 조,아침 주 |
同调(tóngdiào) 같은 가락·음률, 동지·동조자
시대(時代)는 달라도 인간(人間) 또는 사물(事物)에는 각각(各各) 상통하는 분위기(雰圍氣)와 맛이 있음
참조 한자어
유의어
異世同調(이세동조) |
交感, 교감
萬紫千紅 (만자천홍)
萬紫千紅(만자천홍)
万紫千红(wànzǐqiānhóng)
萬 일만 만 | 紫 자줏빛 자 |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紅 붉을 홍, 상복 공 |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의 빛깔이라는 뜻으로, ①가지각색(--各色)의 꽃이 만발(滿發)한 것을 이름. ②사물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모양.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모양. 사업이 번창하는 모양
blaze of color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萬紫千紅(만자천홍) | 万紫千红(wànzǐqiānhóng) | 姹紫嫣红(차자언홍, chàzǐyānhóng) | 千紫萬紅(천자만홍) |
万紫千红(wànzǐqiānhóng)
萬 일만 만 | 紫 자줏빛 자 |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紅 붉을 홍, 상복 공 |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의 빛깔이라는 뜻으로, ①가지각색(--各色)의 꽃이 만발(滿發)한 것을 이름. ②사물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모양.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모양. 사업이 번창하는 모양
blaze of color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萬紫千紅(만자천홍) | 万紫千红(wànzǐqiānhóng) | 姹紫嫣红(차자언홍, chàzǐyānhóng) | 千紫萬紅(천자만홍) |
己飢己溺 (기기기익)
己飢己溺(기기기익)
己 자기 기 | 飢 굶주릴 기 | 己 자기 기 | 溺 빠질 익(닉), 오줌 뇨(요), 약할 약 |
자기가 굶주리고 자기가 물에 빠진 듯이 생각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으로 여겨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함
요(堯)의 치세에 대해 황하의 범람이 그치지 않았기 때문에 요는 누군가에게 치수(治水)를 시키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때, 모두가 입을 모아 곤(鯀)을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요는 곤을 쓰는 것을 꺼렸지만 신하들이 곤보다 영리한 자가 없다고 했으므로, 요임금은 곤에게 치수의 임무를 맡겼다.
그러나 9년이 지나도 범람이 진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요는 곤을 대신해 순을 등용했다. 순이 곤이 치수한 모습을 시찰하고 있었는데, 곤은 우산에서 죽어 있었다.
사람들은 순이 곤을 죽인 것은 아닌가 의심했으므로 순은 곤의 아들인 우(禹)에게 이 일을 맡겼는데, 우는 13년후 치수에 성공하였다.
또한 직(稷)이라는 사람은, 어려서부터 농업을 좋아하여 항상 곡식의 종자를 모아 땅에 심었다. 후에는 간단한 농기구를 만들고 사람들에게 농경지식을 전수해 주었다고 한다.
전국(戰國)시대, 맹자(孟子)는 말했다.
"우와 직과 안회는 같은 길을 걸었다. 우는 천하에 물에 빠진 사람이 있으면 자신 때문에 물에 빠진 듯이 생각하였고, 직은 천하에 굶주리는 사람이 있으면 자신 때문에 굶주리는 듯이 여겼다(禹稷顔回同道 禹思天下有溺者 由己溺之也 稷思天下有飢者 由己飢之也). 이로 인해 그렇듯 급하게 행동했던 것이다. 우와 직과 안회는 그 처지를 바꾸더라도 다 그렇게 했을 것이다. 이제 같은 집안 사람으로서 싸우는 이가 있다면, 그를 구하는 데 비록 머리털을 풀어헤치고 갓을 동여맨 채 구하더라도 괜찮다."
맹자가 우와 직과 안회의 도(道)가 같음을 말하는 대목이다. 기기기익은 위의 글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에 빠진 사람이 있으면, 우는 마치 자신이 치수(治水)를 잘못해 그 사람이 물에 빠진 것처럼 생각했고, 굶주리는 사람이 있으면, 직은 마치 자신이 정치를 잘 못했기 때문에 굶주리는 것처럼 생각해 자신의 집 대문 앞을 지나더라도 집 안으로 들어서지 못하고 급하게 행동했다는 말이다.
《맹자(孟子)》'이루하(離婁下)'의 '우직안회동도장(禹稷顔回同道章)'에 나오는 이야기다.
己飢己溺은 인익기익(人溺己溺), 인기기기(人飢己飢)라고도 하며, 지금은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으로 생각하고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책임을 다함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己飢己溺(기기기익) | 人飢己飢(인기기기) | 人溺己溺(인익기익) |
己 자기 기 | 飢 굶주릴 기 | 己 자기 기 | 溺 빠질 익(닉), 오줌 뇨(요), 약할 약 |
자기가 굶주리고 자기가 물에 빠진 듯이 생각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으로 여겨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함
요(堯)의 치세에 대해 황하의 범람이 그치지 않았기 때문에 요는 누군가에게 치수(治水)를 시키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때, 모두가 입을 모아 곤(鯀)을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요는 곤을 쓰는 것을 꺼렸지만 신하들이 곤보다 영리한 자가 없다고 했으므로, 요임금은 곤에게 치수의 임무를 맡겼다.
그러나 9년이 지나도 범람이 진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요는 곤을 대신해 순을 등용했다. 순이 곤이 치수한 모습을 시찰하고 있었는데, 곤은 우산에서 죽어 있었다.
사람들은 순이 곤을 죽인 것은 아닌가 의심했으므로 순은 곤의 아들인 우(禹)에게 이 일을 맡겼는데, 우는 13년후 치수에 성공하였다.
또한 직(稷)이라는 사람은, 어려서부터 농업을 좋아하여 항상 곡식의 종자를 모아 땅에 심었다. 후에는 간단한 농기구를 만들고 사람들에게 농경지식을 전수해 주었다고 한다.
전국(戰國)시대, 맹자(孟子)는 말했다.
"우와 직과 안회는 같은 길을 걸었다. 우는 천하에 물에 빠진 사람이 있으면 자신 때문에 물에 빠진 듯이 생각하였고, 직은 천하에 굶주리는 사람이 있으면 자신 때문에 굶주리는 듯이 여겼다(禹稷顔回同道 禹思天下有溺者 由己溺之也 稷思天下有飢者 由己飢之也). 이로 인해 그렇듯 급하게 행동했던 것이다. 우와 직과 안회는 그 처지를 바꾸더라도 다 그렇게 했을 것이다. 이제 같은 집안 사람으로서 싸우는 이가 있다면, 그를 구하는 데 비록 머리털을 풀어헤치고 갓을 동여맨 채 구하더라도 괜찮다."
맹자가 우와 직과 안회의 도(道)가 같음을 말하는 대목이다. 기기기익은 위의 글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에 빠진 사람이 있으면, 우는 마치 자신이 치수(治水)를 잘못해 그 사람이 물에 빠진 것처럼 생각했고, 굶주리는 사람이 있으면, 직은 마치 자신이 정치를 잘 못했기 때문에 굶주리는 것처럼 생각해 자신의 집 대문 앞을 지나더라도 집 안으로 들어서지 못하고 급하게 행동했다는 말이다.
《맹자(孟子)》'이루하(離婁下)'의 '우직안회동도장(禹稷顔回同道章)'에 나오는 이야기다.
己飢己溺은 인익기익(人溺己溺), 인기기기(人飢己飢)라고도 하며, 지금은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으로 생각하고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책임을 다함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己飢己溺(기기기익) | 人飢己飢(인기기기) | 人溺己溺(인익기익) |
江湖煙波 (강호연파)
江湖煙波(강호연파)
江 강 강 | 湖 호수 호 | 煙 연기 연, 제사 지낼 인 | 波 물결 파, 방죽 피 |
①강이나 호수(湖水)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 위의 잔물결 ②산수(山水)의 좋은 경치(景致)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淸風明月(청풍명월) | 煙霞日輝(연하일휘) | 山紫水明(산자수명) | 山明水淸(산명수청) | 山明水麗(산명수려)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4급 사자성어 |
江 강 강 | 湖 호수 호 | 煙 연기 연, 제사 지낼 인 | 波 물결 파, 방죽 피 |
①강이나 호수(湖水)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 위의 잔물결 ②산수(山水)의 좋은 경치(景致)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淸風明月(청풍명월) | 煙霞日輝(연하일휘) | 山紫水明(산자수명) | 山明水淸(산명수청) | 山明水麗(산명수려)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4급 사자성어 |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