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논어.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논어. Show all posts

繪事後素 (회사후소)

繪事後素(회사후소)

繪 그림 회 | 事 일 사 | 後 뒤 후, 임금 후 | 素 본디 소, 흴 소 |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을 손질한 이후에 채색을 한다는 뜻으로, ①그림을 그릴 때 흰색을 제일 나중에 칠하여 딴 색을 한층 더 선명(鮮明)하게 함 ②사람은 좋은 바탕이 있은 뒤에 문식(文飾)을 더해야 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하여 이르는 말

[출전]
논어 팔일편

行不由徑 (행불유경)

行不由徑(행불유경)

行 다닐 행, 항렬 항 | 不 아닐 불, 아닐 부 | 由 말미암을 유, 여자의 웃는 모양 요 | 徑 지름길 경, 길 경 |

길을 가는 데 지름길을 취하지 아니하고 큰길로 간다는 뜻으로, 행동(行動)을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함


논어(論語) 옹야(雍也)편의 이야기.

자유(子遊)는 공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에 속하며, 자하(子夏)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가 노(魯)나라에서 벼슬하여 무성(武城)의 재상으로 임명되었을 때의 일이다. 공자는 사랑하는 제자가 벼슬을 하게 되자, 일하는 모습도 볼 겸 축하도 할 겸해서 직접 무성으로 찾아갔다.

공자는 자유에게 물었다.

"일을 잘하려면 좋은 협력자가 필요하다. 네게도 아랫사람 중에 훌륭한 인물이 필요할 텐데, 그래 쓸만한 인물이 있느냐?"

그러자 자유가 대답하였다.

"예, 안심하십시오. 성은 담대(澹臺), 이름은 멸명(滅明)이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이야말로 훌륭한 인물로, 언제나 천하의 대도를 갈 뿐, 결코 지름길이나 뒤안길을 가지 않습니다[行不由徑]. 공적인 일이 아니면 저의 방에 찾아 오는 일이 없습니다. 정말 존경할 만한 훌륭한 인물입니다."

공자는 기뻐하며 훌륭한 인물은 소중히 대하라며 제자를 격려했다.

徑은 지름길이나 샛길을 뜻한다. 行不由徑이란 지름길이나 샛길을 가지 않고 떳떳하게 큰 길로 가는 것이니, 이는 곧 눈 앞의 이익을 탐하지 않고 정정 당당한 방법으로 일을 처리함을 비유한 말이다.

여기서 행불유경(行不由徑)이란 말이 나왔으며, 군자는 큰길을 택해서 간다는 뜻의 '군자대로행(君子大路行)'이란 말과 뜻이 통하는 말이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君子大路行(군자대로행) | 行不由徑(행불유경) |

知之爲知之不知爲不知 (지지위지지부지위부지)

知之爲知之,不知爲不知(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知 알 지 | 之 갈 지 | 爲 하 위,할 위 | 知 알 지 | 之 갈 지 | 不 아닐 부,아닐 불 | 知 알 지 | 爲 하 위,할 위 | 不 아닐 부,아닐 불 | 知 알 지 |

아는 것은 아는 것이고, 모르는 것은 모르는 것이다. 이런 태도가 현명한 것이다.

When you know a thing, to hold that you know it; and when you do not know a thing, to allow that you do not know it - this is knowledge.


출전

논어(論語) 위정(爲政)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衆惡必察衆好必察 (중오필찰중호필찰)

衆惡必察 衆好必察(중오필찰 중호필찰)

衆 무리 중 | 惡 미워할 오 | 必 반드시 필 | 察 살필 찰 | 衆 무리 중 | 好 좋을 호 | 必 반드시 필 | 察 살필 찰 |

'많은 사람들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하며,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한다.'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들의 좋아함과 싫어함에 따라 부화뇌동하지 말고 자신이 직접 살펴서 판단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子曰, 衆惡之 必察焉 衆好之 必察焉。
많은 사람들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하며,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한다.
When the multitude hate a man,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to the case. When the multitude like a man,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to the case.
- 論語 衛靈公 (논어 위령공, The Analects: Wei Ling Gong)

子曰 衆好之必察焉 衆惡之必察焉
공자가 말하기를, "많은 사람들이 좋아 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하며 많은 사람들이 미워 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하느니라."
- 明心寶鑑 正己篇 (명심보감 정기편)


공자는 "많은 사람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자신이 살펴야 하고,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자신이 살펴야 한다(衆惡之必察焉, 衆好之必察焉)"라고 가르쳤다.

논어(論語) 제15장 위령공(衛靈公) 편에 실려 있으며,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에도 나오는 문구이다.

여러 사람이 좋아하거나 미워한다고 하여 그대로 부화뇌동하지 말고, 직접 그 이유와 내용을 살펴보고 판단하여 한다는 교훈이 담겨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논어(論語) 제13장 자로(子路, Zi Lu)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子貢問曰, “鄉人皆好之,何如?”
子曰, “未可也。”
“鄉人皆惡之,何如?”
子曰, “未可也。不如鄉人之善者好之,其不善者惡之。”

Zi Gong asked, saying, "What do you say of a man who is loved by all the people of his neighborhood?"
The Master replied, "We may not for that accord our approval of him."
"And what do you say of him who is hated by all the people of his neighborhood?"
The Master said, "We may not for that conclude that he is bad. It is better than either of these cases that the good in the neighborhood love him, and the bad hate him."

자공(子貢)이 물었다. "마을 사람들이 모두 (어떤 사람을) 좋아한다면 어떻겠습니까"
그러자 공자는 말했다. "옳지 못한 일이다"
자공이 다시 "마을 사람들이 모두 어떤 사람을 미워한다면 어떻겠습니까"라고 물었다.
공자는 "그것도 옳지 못한 일이다. 마을 사람들 가운데 착한 사람들은 그를 좋아하고, 착하지 못한 사람들은 그를 미워하는 것만 못하다"라고 대답하였다.

주자(朱子)는 이 구절에 대한 주해(註解)에서 "한 마을 사람들 사이에는 같은 무리끼리 좋아하거나 미워하는 일도 생기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이 좋아하는 사람을 나쁜 사람이 미워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틀림없이 구차하게 모두의 비위를 맞추는 행동을 하였을 것이다. 나쁜 사람이 미워하는 사람을 착한 사람이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의 실상은 틀림없이 좋아할 만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설명하였다.


논어, 논어:위령공, 명심보감, 명심보감:정기편

論語, 論語:衛靈公, 明心寶鑑, 明心寶鑑:正己篇

一以貫之 (일이관지)

一以貫之(일이관지)

一 한 일 | 以 써 이 | 貫 꿸 관, 당길 만 | 之 갈 지 |

하나의 이치로써 모든 것을 꿰뚫는다는 뜻으로, ①처음부터 끝까지 변(變)하지 않음 ②또는 막힘 없이 끝까지 밀고 나감


일이관지란 말은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과 이인편(里仁篇)에서 공자 스스로 언급하고 있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賜)야, 너는 내가 많이 배웠다고 해서 다 안다고 생각하고 있느냐?" 자공이 "예. 그렇지 않습니까?"라고 대답(對答)하니 "아니다. 나는 하나로 꿸 뿐이다."라고 하였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일관지도(一貫之道)이다.

그러나 이 말을 명확하게 이해한 사람은 제자 가운데 증자(曾子)뿐이었다. 이인편(里仁篇)에 보면 공자(孔子)께서 "증삼(曾參)아. 나의 도는 하나로써 꿰었느니라." 증자가 "예" 하고 대답(對答)했다. 공자(孔子)가 나가자 문인들이 물었다. "무슨 뜻입니까?"

증자가 "선생님의 도는 자기의 정성을 다하며[忠] 자기를 용서하는 것처럼 남을 용서할 줄 아는 데[恕] 있을 뿐이다."라고 대답(對答)했다.

충은 중(中)과 심(心)의 합체어로서 글자의 모양에서 알 수 있듯이, 속에 있는 마음이라는 뜻이다. 이것은 인(仁)이며 성(性)인데, 남을 나처럼 사랑한다는 의미에서 인이라 하고 살려는 마음이라는 의미에서 성이라 한다.

그리고 서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자기의 마음과 같이 생각하는 일이다. 속에 있는 마음인 충이 밖으로 나타날 때는 서로 나타난다. 즉, 일이관지는 공자의 사상과 행동이 하나의 원리로 통일되어 있다는 뜻이다. 그것은 인이며, 증자가 충서로 해석한 것은 충성과 용서가 곧 인을 달성하는 길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한 번에 끝까지'라는 뜻으로 변형되어 쓰이기도 한다. 그 예로는 '초지일관(初志一貫)'이나 '일관(一貫)되다' 등이 있다.

출전
論語(논어)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一貫(일관) |

人無遠慮必有近憂 (인무원려필유근우)

人無遠慮 必有近憂 (인무원려 필유근우)

人無遠慮,必有近憂。
- 孔子(551 B.C.-479 B.C.), 論語 衛靈公

If a man take no thought about what is distant, he will find sorrow near at hand.
- Confucius(551 B.C.-479 B.C.), The Analects: Wei Ling Gong

사람이 먼 일을 생각하지 않으면 바로 앞에 근심이 생기는 법이다.
- 공자(551 B.C.-479 B.C.) 중국 교육자, 논어 제15장 위령공

一簞一瓢 (일단일표)

一簞一瓢(일단일표)

一 한 일 | 簞 대광주리 단 | 一 한 일 | 瓢 박 표 |

一簞食(일단사)는 ‘한 그릇의 밥’, 一瓢飮(일표음)은 ‘한 쪽박의 물’을 뜻하며, 극(極)히 소박(素朴)하고 적은 음식(飮食)으로 유지(維持)되는 청빈(淸貧)한 생활(生活)을 비유한 말.


논어 옹야(雍也)편에는 '한 그릇의 밥, 한 쪽박의 물(一簞食一瓢飮)로 누추한 마을에서 살게 되면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지지 못할 것이지만, 안회(顔回)는 그렇게 살면서도 즐거움이 변하지 않는다'라는 대목이 있다.

춘추시대, 안회는 노(魯)나라 사람으로서 공자가 가장 사랑했던 제자였으며, 안연(顔淵)이라고도 한다. 그는 총명한 머리에 공부를 열심히 하였으며, 사람을 대할 때는 항상 진지(眞摯)하였다. 집안이 매우 가난하여, 공자는 그에게 비천한 집안을 떠나 벼슬에 나가라고 권유하였지만, 그는 가난한 생활에 만족하는 안빈낙도(安貧樂道) 의 삶을 살았다. 안회는 29세에 머리가 백발이 되었고, 32세에 삶을 마쳤다. 60세가 넘은 그의 스승 공자는 '하늘이 나를 없애는 것이다. 하늘이 나를 없애는 것이다'라고 하며 제자의 요절에 통곡하였다.

一簞一瓢는 단사표음(簞食瓢飮)이라고도 한다. 이는 극히 소박하고 적은 음식으로 유지되는 청빈(淸貧)한 생활을 비유한 말이다.


출전

논어 제6 옹야(雍也)

一簞食一瓢飮 (일단사일표음)

一簞食一瓢飮(일단사일표음)

一 한 일 | 簞 소쿠리 단 | 食 밥 식, 먹을 식, 먹이 사, 사람 이름 이 | 一 한 일 | 瓢 바가지 표 | 飮 마실 음 |

한주먹 도시락 밥과 표주박 한 바가지 물이란 뜻으로, ①변변치 못한 음식(飮食) ②매우 가난하고 소박한 생활을 의미(意味)함


《논어(論語)》 옹야편(雍也篇)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는 일생 동안 무려 3천 명의 제자를 두었다고 한다. 그 가운데는 자공(子貢)처럼 이재(理財)에 밝은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자로(子路)처럼 벼슬길에 나아가 성공한 사람도 있고, 안회(顔回)처럼 가난하지만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그 가운데에서도 공자가 가장 사랑하고 아끼던 제자는 안회였다. 공자는 제자들을 그 역량에 따라 평하고 그에 맞는 충고를 하곤 했지만, 안회에게만은 늘 칭찬을 잊지 않았다.

공자의 기대에 맞추어, 안회도 워낙 학문을 좋아하여 나이 29세에 벌써 백발이 되었다 한다. 자공이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聞一知十)'며 자신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말한 사람도 바로 안회이다. 그러나 안회는 찢어지게 가난하여 끼니 거르기를 밥 먹 듯했으며 평생 찌게미조차 배불리 먹어 본 적이 없을 정도였다. 그러나 가난은 그의 수행과 학문 연구에 아무런 영향도 줄 수 없었다. 이런 안회를 보고 공자가 칭찬하였다. “어질도다, 안회여.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누추한 곳에 거처하며 산다면, 다른 사람은 그 근심을 견디어내지 못하거늘 안회는 즐거움을 잃지 않는구나.어질도다 안회여(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飮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사는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즐거움을 잃지 않으므로 공자는 두 번이나 ‘어질도다 안회여.’라고 찬미한 것이다.

출전: 논어(論語)


관련 한자어

유의어(동의어)

단사표음(簞食瓢飮) |

允執其中 (윤집기중)

允執其中(윤집기중)

允 맏 윤, 진실로 윤, 마을 이름 연 | 執 잡을 집 | 其 그 기 | 中 가운데 중 |

중용을 취한다.


동양의 고전 중용(中傭)에 나오는 말로 "진실로 中庸의 道理를 지켜라" 는 뜻. 고대 중국의 위대한 요나라 임금이 그의 후계자 순임금에게 자리를 물려 주면서 나라 다스림의 뿌리를 경륜으로 일러 주었다. 나라의 중심축(軸)이 제왕의 자리임을 깨우쳐 주시면서 삐뚤어진 축으로 말미암아 나라 경영에 일어나는 막힘을 경고한 말.

출전
論語(논어) 요왈편(堯曰篇)

堯曰 咨爾舜 天之歷數 在爾躬 允執其中 四海困窮 天祿永終 舜亦以命禹

요왈 자이순 천지역수 재이궁 윤집기중 사해곤궁 천록영종 순역이명우

요임금이 말하였다. 그대 순이여! 하늘의 뜻이 너에게 있으니 진실로 中庸의 道理를 지켜라. 세상이 곤궁하다면 하늘의 복은 영원히 그칠 것이다. 순임금도 똑 같이 우에게 명하였다.

欲速不達 (욕속부달)

欲速不達(욕속부달)

欲 하고자 할 욕 | 速 빠를 속 | 不 아닐 부, 아닐 불 | 達 통달할 달, 다다를 달 |

①빨리 하고자 하면 도달(到達)하지 못함 ②어떤 일을 급(急)하게 하면 도리어 이루지 못함


논어(論語) 자로(子路)편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공자(孔子)의 제자로 자하(子夏)가 있다. 그는 본명(本名)이 복상(卜商)이며 자하(子夏)는 그의 자(字)이다. 공자(孔子)의 문하(門下) 10철(哲)의 한 사람이다.

자하(子夏)가 노(魯)나라 거보(莒父)의 수령(守令)이 되어 스승께 고을을 다스리는 방도(方道ㆍ方途)를 묻자, 공자(孔子)는 일러주었다.

"공적을 올리려고 일을 속히 하려고 서둘지 말고, 조그만 이득(利得)을 탐내어 보지 말아야 한다. 속히 서둘면 도리어 달성(達成)하지 못하고, 조그만 이득(利得)을 탐내면 큰일을 이루지 못하는 법이다.[(無欲速 無見小利 欲速則不達 見小利則大事不成 무욕속 무견소리 욕속즉부달 견소리즉대사불성)]"

欲速이란 빠르게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얼른 성과를 올리려는 성급한 마음을 말한 것이며, 欲速不達이란 서두르면 도리어 목적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정책의 實效(실효)가 빨리 나타나기를 안달하지 말고 遠大(원대)한 계획을 세웠으면 눈앞의 작은 이익을 노리지 말라는 공자의 가르침이다.

우리 말에는 급할수록 천천히 라는 표현이 있고, 영어에는 'Haste makes waste'나 'More haste, less speed'라는 말이 있다. 이들은 모두 사람들의 조급한 심리를 경계한 표현들이다.


출전

논어(論語)의 자로편(子路篇)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欲速不達欲巧反拙(욕속부달욕교반졸) |




樂山樂水 (요산요수)

樂山樂水(요산요수)

산과 물을 좋아함.

溫故知新 (온고지신)

溫故知新(온고지신)

溫 익힐 온 | 故 옛 고 | 知 알 지 | 新 새 신 |

옛 것을 익혀서 새 것을 안다. 역사와 지난 날의 학문을 충분히 익힘으로써 새로운 사실과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는 말이다. 오늘을 알기 위해 어제를 알고 내일을 내다보기 위해서는 오늘을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先行其言而後從之 (선행기언이후종지)

先行其言 而後從之(선행기언 이후종지)

先 먼저 선 | 行 다닐 행, 항렬 항 | 其 그 기 | 言 말씀 언, 화기애애할 은 | 而 말 이을 이,능히 능 | 後 뒤 후, 임금 후 | 從 좇을 종 | 之 갈 지 |

자기가 한 말을 실행하게 되면 남들도 따르게 된다.


출전

논어(論語) 위정(爲政) 13章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三人行必有我師 (삼인행필유아사, sānrénxíngbìyǒuwǒshī)

三人行必有我師(삼인행필유아사)

三人行必有我师(sānrénxíng, bìyǒuwǒshī)


三 석 삼 | 人 사람 인 | 行 갈 행 | 必 반드시 필 | 有 있을 유 | 我 나 아 | 師 스승 사 |


세 사람이 같이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는 뜻으로, 어디라도 자신이 본받을 만한 것은 있다는 말.


《논어(論語)》의 〈술이편(述而篇)〉에 나오는 말이다. "세 사람이 길을 같이 걸어가면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 좋은 것은 본받고 나쁜 것은 살펴 스스로 고쳐야 한다[三人行必有我師焉 擇其善者而從之 其不善者而改之]." 삼인행필유아사는 좋은 것은 좇고 나쁜 것은 고치니 좋은 것도 나의 스승이 될 수 있고, 나쁜 것도 나의 스승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다음의 글을 보더라도 공자 자신도 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 아니라고 하였다. "내가 나면서부터 저절로 도를 아는 것이 아니라 옛 것을 좋아하여 부지런히 찾아 배워 알게 되었을 뿐이다[我非生而知之者 好古敏以求之者也]."

원문 해석도 반드시 어디를 갈 때만이 아니라 행동할 때도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는 뜻이며, 하찮은 것에서도 배울 것이 있다는 뜻도 포함되어 있다. 근거 없는 말도 여러 사람이 하면 믿게 된다는 뜻의 삼인성시호(三人成市虎)와 대조를 이루는 고사성어이다.


관련 한자어

참조어

孔子穿珠(공자천주) | 不恥下問(불치하문) |


대조어

三人成市虎(삼인성시호) |


논어,논어:술이편

論語,論語:述而篇

三益之友 (삼익지우, sānyìzhīyǒu)

三益之友(삼익지우)

三益之友(sān yì zhī yǒu)

三 석 삼│ 益 더할 익, 넘칠 일│ 之 갈 지│ 友 벗 우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部類)의 벗으로서, 정직(正直)한 사람과 성실(誠實)한 사람과 견문(見聞)이 넓은 사람을 이름


유래

논어(論語)


Tag

관계│벗

似而非 (사이비)

似而非(사이비)

似而非[sì'érfēi]

似 닮을 사 | 而 말 이을 이, 능히 능 | 非 아닐 비, 비방할 비 |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듯하지만 근본적(根本的)으로는 아주 다른 것


《맹자(孟子)》의 '진심편(盡心篇)'과 《논어(論語)》의 '양화편(陽貨篇)'에 나오는 말이다.

어느 날 맹자에게 제자 만장(萬章)이 찾아와 물었다.

"한 마을 사람들이 향원(鄕原:사이비 군자)을 모두 훌륭한 사람이라고 칭찬하면 그가 어디를 가더라도 훌륭한 사람일 터인데 유독 공자만 그를 '덕(德)을 해치는 사람'이라고 하셨는데 이유가 무엇인지요."

맹자는 대답했다.

"그를 비난하려고 하여도 비난할 것이 없고, 일반 풍속에 어긋남도 없다. 집에 있으면 성실한 척하고 세상에서는 청렴결백한 것 같아 모두 그를 따르며,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지만 요(堯)와 순(舜)과 같은 도(道)에 함께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덕을 해치는 사람'이라 한 것이다."

그래도 만장이 별로 납득하는 것 같지 않자, 맹자는 말을 이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나는 사이비한 것을 미워한다[孔子曰 惡似而非者]'라고 하셨다. '사이비는, 외모는 그럴듯하지만 본질은 전혀 다른, 즉 겉과 속이 전혀 다른 것을 의미하며, 선량해 보이지만 실은 질이 좋지 못하다.' 공자가 사이비를 미워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이다. 강아지풀을 미워하는 것은 그것이 곡식의 싹을 혼란시킬까 두려워서이고, 말만 잘하는 것을 미워하는 이유는 정의를 어지럽힐까봐 걱정스러워서이며, 말 많은 것을 미워하는 이유는 신의를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정(鄭)나라의 음란한 음악을 미워하는 이유는 아악(雅樂)을 더럽힐까 두려워서이고, 자줏빛을 미워하는 이유는 붉은빛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며, 향원(鄕原)을 미워함은 그가 덕을 어지럽힐까봐 걱정스럽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향원이란 고을 안에서 점잖다고 평가되는 인물이다. 머리에 든 학문도 없으면서 있는 척, 어질고 점잖은 척 위장술에 능하여 외견상으로는 훌륭한 사람으로 보여 사회적 영향력도 제법이지만, 이들은 자기 결점을 감추는 데 능하다.

이처럼 공자는 인의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겉만 번지르르하고 처세술에 능한 사이비를 '덕을 해치는 사람'으로 보았기 때문에 미워한 것이다.

원말은 사시이비(似是而非) 또는 사이비자(似而非者)이다.


출전

맹자(孟子) 진심장하(盡心章下)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似是而非(사시이비) | 似而非者(사이비자) | 同床各夢(동상각몽) | 口有蜜腹有劒(구유밀복유검) | 口蜜腹劍(구밀복검) | 表裏不同(표리부동) | 羊質虎皮(양질호피) | 陽奉陰違(양봉음위) | 羊頭狗肉(양두구육) | 笑中有劍(소중유검) | 笑面虎(소면호) | 笑裏藏刀(소리장도) | 面從腹背(면종복배) | 同床異夢(동상이몽) |

殺身成人 (살신성인)

殺身成人(살신성인)

자신의 몸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룬다는 뜻으로, 몸을 바쳐 옳은 도리를 행함.

駟不及舌 (사불급설)

駟不及舌(사불급설)

駟 사마 사 | 不 아닐 불, 아닐 부 | 及 미칠 급 | 舌 혀 설 |

네 마리 말이 끄는 빠른 수레도 사람의 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뜻으로, 소문(所聞)은 빨리 퍼지므로 말조심하라는 말


논어(論語) 안연(顔淵)편에는 경솔한 말을 경계한 대목이 있다.

공자의 제자인 자공(子貢)에게 위(衛)나라 대부(大夫)인 극자성(棘子成)이 물었다.

"군자는 바탕만 있으면 되었지 문(文)이 왜 필요합니까?"

그러자 자공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안타깝습니다. 그대의 말씀은 군자의 말씀입니다. 네 필의 말이 끄는 수레도 혀에 미치지 못합니다[夫子之說君子也, 駟不及舌]. 문(文)이 질(質)과 같고 질(質)이 문(文)과 같다면, 호랑이나 표범의 가죽이 개나 양의 가죽과 같다는 것입니까?"

위에 나온 質(질)은 소박한 인간의 본성을 말하고, 文(문)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예의범절 등 외면치레를 나타낸다.

송(宋)나라 구양수(歐陽修)의 필설(筆說)에도 한 마디의 말이라도 한번 입을 떠나면 네 필의 말이 끄는 수레로도 쫓기 어렵다[一言旣出, 駟馬難追]라는 대목이 있다.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경계의 말은 예부터 많이 전해지고 있다.

≪詩經(시경)≫ 大雅(대아) 抑篇(억편)에 나오는, “흰 구슬의 이지러진 것은 오히려 갈 수 있지만 이 말의 이지러진 것은 어찌할 수 없다”도 그 예이다.

唐(당)나라 명재상 馮道(풍도)는 그의 [舌詩(설시)]에서 “입은 화의 문이요, 혀는 몸을 베는 칼이다”라고 했다.

駟不及舌(A word, once uttered, is beyond recall) 은 駟馬難追(Four horses can't overtake it -- a spoken word) 라고도 하는데, 이는 말을 신중하게 해야함을 비유한 표현이다.


출전

논어(論語) 안연(顔淵)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口是禍門(구시화문) | 口禍之門(구화지문) |



不惑 (불혹)

不惑(불혹)

40세를 달리 일컫는 말. 세상일에 미혹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다. '논어'의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에서 나온 말.

不恥下問 (불치하문, bùchǐxiàwèn)

不恥下問(불치하문)

不耻下问(bùchǐxiàwèn)

不 아닐 불, 아닐 부 | 恥 부끄러울 치 | 下 아래 하 | 問 물을 문 |

자기보다 지위(地位)ㆍ학식(學識)ㆍ나이 등이 낮은 사람에게 물어 보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Not ashamed to ask of one's inferiors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결코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말로, 아무리 지위가 낮거나 못난 사람이라 할지라도 자기가 모르는 것을 알고 있을 수 있으니, 자신이 모르는 것을 묻는 것은 신분이나 지위가 높고 낮음을 가리지 않고 부끄러울 것이 없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편에 나온다.

춘추(春秋)시기, 위(衛)나라 대부(大夫)였던 공어는 매우 겸손하고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어서, 당시 사람들로부터 찬사와 칭송을 받았다. 공어가 죽자, 위나라 군주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의 호학(好學) 정신을 배우고 계승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에게 문(文) 이라는 봉호(封號)를 하사하였다.

당시 공자(孔子)의 제자였던 위나라의 자공(子貢)은, 공어에게는 잘못이 있으므로 사람들이 말하는 것 만큼 그렇게 훌륭하지 않으며, 또한 그렇게 높은 평가를 받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물었다.

"위(衛)나라의 대부인 공어의 시호(諡號)가 어떻게 해서 '문(文)'이 된 것입니까?"

공자(孔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민첩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이로써 시호를 문이라 한 것이다[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文也]."

이렇듯 학문을 좋아하여, 혹시 모르는 것이 있으면 비록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일지라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 진실로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자신보다 못한 사람에게도 기꺼이 물어볼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삼인행 필유아사(三人行 必有我師)'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함께 길을 가는 세 사람 가운데 반드시 나의 스승이 될 만한 사람이 있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에게든 배울 점이 있다는 말이다. 또 '공자천주(孔子穿珠)'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공자가 실에 구슬 꿰는 방법을 몰라 바느질하는 아낙네에게 물어 개미 허리에 실을 매고 구슬 구멍 반대편에 꿀을 발라 개미가 꿀 냄새를 맡고 바늘을 통과해 구슬을 꿰었다는 말인데, 역시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출전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관련 고사성어

유의어

孔子穿珠(공자천주) | 三人行必有我師(삼인행필유아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