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노자.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노자. Show all posts

希言自然 (희언자연)

希言自然(희언자연)

말은 적은 것이 자연스럽다.

治大國若烹小鮮 (치대국약팽소선)

治大國若烹小鮮(치대국약팽소선)

治 다스릴 치, 강 이름 이 | 大 클 대, 큰 대, 클 태, 클 다 | 國 나라 국 | 若 같을 약, 반야 야 | 烹 삶을 팽 | 小 작을 소 | 鮮 고울 선, 생선 선 |

약팽소선(若烹小鮮).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

Govern a great powers as you would cook a small fish. - It is the best politics to keep hands off.

[출전]
老子(노자) 道德經(도덕경)


관련 인물

老子(노자, Lao-tzu, 604 BC-?)


유의어

若烹小鮮(약팽소선) |

天下大事必作於細 (천하대사필작어세)

天下大事必作於細(천하대사필작어세)

세상의 큰 일은 작은 일에서 생겨난다.

天地尙不能久 (천지상불능구)

天地尙不能久(천지상불능구)

天 하늘 천 | 地 땅 지 | 尙 오히려 상 | 不 아닐 불 | 能 능할 능 | 久 오랠 구 |

하늘과 땅도 영원 불변할 수 없다. 無理(무리)를 하면 오래 지속되지 못함.

[출전]
노자 23장

知足不辱知止不殆 (지족불욕지지불태)

知足不辱 知止不殆(지족불욕 지지불태)

만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으며 그칠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 노자에 나오는 말.

知者不言言者不知 (지자불언언자부지)

知者不言言者不知(지자불언언자부지)

知 알 지 | 者 놈 자 | 不 아닐 불, 아닐 부 | 言 말씀 언 | 화기애애할 은 | 言 말씀 언, 화기애애할 은 | 者 놈 자 | 不 아닐 부, 아닐 불 | 知 알 지 |

진정(眞正) 아는 사람은 떠들어 대지 않고, 떠들어 대는 사람은 알지 못하는 것임

말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말로 인(因)한 오류(誤謬)를 경계(警戒)하는 말

[출전]
노자 도덕경(老子 道德經)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知者不言(지자불언) | 知者不言言者不知(지자불언언자부지) |

知者不言 (지자불언)

知者不言(지자불언)

知者不言(zhīzhěbùyán)

知 알 지 | 者 놈 자 | 不 아닐 불, 아닐 부 | 言 말씀 언 |

사리(事理)에 밝은 사람은 지식(知識)을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하고 함부로 이야기 하지 않음

[출전]
노자(老子)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http://idiomnstory.blogspot.com/1996/09/blog-post_4316.html | 知者不言言者不知(지자불언언자부지) |

正復爲奇善復爲妖 (정복위기선복위요)

正復爲奇善復爲妖(정복위기선복위요)

正 바를 정, 정월 정 | 復 다시 부, 회복할 복 | 爲 하 위, 할 위 | 奇 기특할 기, 의지할 의 | 善 착할 선 | 復 다시 부, 회복할 복 | 爲 하 위, 할 위 | 妖 요사할 요 |

바른 것은 다시 기이한 것으로 변할 수 있고 선한 것은 다시 요사한 것으로 변할 수 있다.

[출전]
노자 58장

柔弱勝强剛 (유약승강강)

柔弱勝强剛(유약승강강)

柔 부드러울 유 | 弱 약할 약 | 勝 이길 승 | 强 강할 강 | 剛 굳셀 강 |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긴다.

[출전]
노자 36장

爲者敗之執者失之 (위자패지집자실지)

爲者敗之執者失之(위자패지집자실지)

爲 하 위, 할 위 | 者 놈 자 | 敗 패할 패 | 之 갈 지 | 執 잡을 집 | 者 놈 자 | 失 잃을 실, 놓을 일 | 之 갈 지 |

일을 꾀하려고 하는 자는 실패하고 놓치지 않으려고 하는 자는 잃는다.

[출전]
노자 29장.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爲者敗之(위자패지) | 執者失之(집자실지) |

爲者敗之 (위자패지)

爲者敗之(위자패지)

爲 하 위, 할 위 | 者 놈 자 | 敗 패할 패 | 之 갈 지 |

자연(自然)을 거역(拒逆)하여 私意(사의)를 끼우면 길패함을 이르는 말

[출전]
노자(老子)


爲之於未有, 治之於未亂. 合抱之木, 生於毫末, 九層之臺, 起於累土, 千里之行, 始於足下. 爲者敗之, 執者失之. 是以聖人無爲故無敗, 無執故無失

만사가 생기기 전에 신중히 하며, 어지러워지기 전에 다스려야 한다. 아름드리 큰 나무도 터럭만한 싹에서부터 생겨나고, 9층 높이의 누대도 흙을 쌓아 올려 세워지며,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되는 법이다. 억지로 하려는 자는 실패할 것이며, 집착하는 자는 잃게 될 것이다. 이런 까닭에 성인은 억지로 하지 않으므로 실패하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므로 잃는 것이 없다.

- 노자 도덕경 제64장

若烹小鮮 (약팽소선)

若烹小鮮(약팽소선)

치대국약팽소선(治大國若烹小鮮)의 준말.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

善行無轍迹 (선행무철적)

善行無轍迹(선행무철적)

착한 행실은 자국이 없다는 뜻으로 선행은 자연에 좋기 때문에 사람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말.

聖人無常心 (성인무상심)

聖人無常心(성인무상심)

聖人無常心 以百姓心爲心
성인무상심 이백성심위심
성인은 변하지않는 절대적인 마음이 없이 백성(百姓)의 마음을 그 마음으로 삼는다.
- 도덕경(道德經)

上善若水 (상선약수)

上善若水(상선약수)

上 윗 상| 善 착할 선| 若 같을 약, 반야 야 | 水 물 수

Highest virtue is water.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는 뜻으로, 노자의 사상에서, 물을 이 세상에서 으뜸가는 선의 표본으로 여기어 이르던 말.

上善若水,水善利物
최고선은 물과 같다.물은 만물을 이롭게 한다

- 道德經(도덕경)

不出戶知天下 (불출호지천하)

不出戶知天下(불출호지천하)

不 아닐 불 | 出 날 출 | 戶 집 호 | 知 알 지 | 天 하늘 천 | 下 아래 하 |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알다. 深奧(심오)한 道理(도리)를 깨친 사람의 境地(경지)를 이름.

[출전]
노자 47장.

不爲而成 (불위이성)

不爲而成(불위이성)

不 아닐 부, 아닐 불 | 爲 하 위, 할 위 | 而 말 이을 이, 능히 능 | 成 이룰 성 |

행하지 않고 이룬다.

[출전]
노자 47장

不言之教 (불언지교)

不言之教(불언지교)

不言之教(bùyánzhījiào)

불언지교. 말이 없는 가운데의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노자의 무위자연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反者道之動 (반자도지동)

反者道之動(반자도지동)

① 극단으로 가면 되돌아 가려는 것(反=返)이 자연의 이치이다 ② 도는 남들과 똑같이 가는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가는데 있다

反者道之動;弱者道之用。天下萬物生於有,有生於無。

(반자도지동 약자도지용. 천하만물생어유, 유생어무)

The movement of the Dao by contraries proceeds; And weakness marks the course of Dao's mighty deeds. All things under heaven sprang from it as existing; that existence sprang from it as non- existent.

거꾸로 가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며, 약한 것은 도의 작용이다. 천하만물은 유에서 생하며, 유는 무에서 생한다.

- 老子 도덕경(道德經) 40장

大辯若訥 (대변약눌)

大辯若訥(대변약눌)

大 클 대, 큰 대, 클 태, 클 다 | 辯 말씀 변, 두루 미칠 편 | 若 같을 약, 반야 야 | 訥 말 더듬거릴 눌 |

가장 잘하는 말은 어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