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抛塼引玉 (포전인옥, pāozhuānyǐnyù)

抛塼引玉(포전인옥)

抛砖引玉(pāozhuānyǐnyù)

抛 던질 포 | 塼 벽돌 전 | 引 끌 인 | 玉 구슬 옥 |


三十六計(삼십육계) 攻戰計(공전계) 제17계. '벽돌을 버리고 옥을 얻다'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고견이나 훌륭한 작품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자신이 먼저 미숙한 의견이나 작품을 발표한다고 겸손을 표하는 고사성어이다.

To cast a brick to attract jade—offer a few commonplace remarks by way of introduction so that others may come up with valuable opinions

抛出廉价的砖,引来珍贵的玉。比喻说出自己粗浅的意见引出别人的高论(多用作谦词)。

飽飫烹宰 (포어팽재)

飽飫烹宰(포어팽재)

飽 배부를 포 | 飫 물릴 어 | 烹 삶을 팽 | 宰 재상 재 |

배 부를 때에는 아무리 좋은 음식(飮食)이라도 그 맛을 모름

[출전]
千字文(천자문)

布射遼丸 (포사료환)

布射遼丸(포사료환)

布 베 포 | 射 쏠 사 | 僚 벗 료 | 丸 알 환 |

여포의 활쏘기와 웅의료의 포환 던지기는 뛰어나다.

[출전]
千字文(천자문)

抱腹絶倒 (포복절도)

抱腹絶倒(포복절도)

배를 끌어안고 넘어질 정도의 크게 우스운 상황.

蒲柳之姿 (포류지자)

蒲柳之姿(포류지자)

蒲柳之姿[púliǔzhīzī]

蒲 부들 포 | 柳 버들 류(유) | 之 갈 지 | 姿 모양 자 |

갯버들 같은 모습이라는 뜻으로, 허약(虛弱)한 몸을 이르는 말

feel like a willow withering at the approach of autumn—suffer from poor health


세설신어(世說新語) 언어편(言語篇)에 나오는 말로, '포류지질(蒲柳之質)'이라고도 한다.

고열(顧悅)은 동진(東晉) 사람으로 인품이 솔직하고 신의를 중히 여겼다. 343년에 은호(殷浩)가 건무장군(建武將軍)으로 양저우[揚州] 자사가 되자, 그는 고열을 차관으로 삼았다. 은호는 고열을 믿고 양저우 안의 모든 일을 그에게 맡겨 처리하게 했다. 고열은 그 신임에 감동하여 정무에 더욱 힘썼다. 이처럼 오랫동안 너무 과로한 탓에 고열은 건강을 해쳐 30대에 벌써 등이 굽고 머리에는 서리가 하얗게 내렸다. 어느 날 간문제(簡文帝)가 자기와 같은 연배이면서도 머리가 하얗게 센 고열에게 '어째서 그렇게 나보다 먼저 백발이 되었는가'를 물었다.

고열은 다음과 같이 자신을 낮추어 대답했다.

"갯버들은 가을이 오면 먼저 잎이 떨어지고, 소나무와 잣나무는 서리를 맞고 더욱더 무성해지는 것과 같지요[蒲柳之姿 望秋而落 松栢之質 凌霜猶茂(포류지자 망추이락 송백지질 능상유무)]."

고열은 자신은 '포류지자(蒲柳之姿)', 간문제는 '송백지질(松栢之質)'에 현명하게 비유하면서, 황제의 건강한 모습에 신하인 자신은 먼저 시든다는 군신간의 예절까지 갖춘 멋진 대답을 했던 것이다. 고열은 몸이 허약해서 머리는 일찍 희어졌는지 몰라도 마음은 송백같이 곧아 권세에 아부하는 일이 없었다.

蒲柳란 물가에서 자라는 버들을 가리키며 수양(水楊) 또는 포양(蒲楊)이라고도 한다.


출전

세설신어(世說新語)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蒲柳之質(포류지질) |

반의어·상대어

松栢之質(송백지질) |

炮烙之刑 (포락지형, páoluòzhīxíng)

炮烙之刑(포락지형)

炮烙之刑(páoluòzhīxíng)

炮 통째로 구울 포 | 烙 | 지질 락(낙) | 之 갈 지 | 刑 형벌 형,탕기 형 |


①중국(中國) 은(殷)나라 주왕(紂王)이 쓰던 매우 심한 형벌(刑罰). 기름칠한 구리 기둥을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罪人)을 맨발로 걸어가게 하였다 함 ②달군 쇠로 지지는 극형(極刑)을 통속적(通俗的)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