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症下藥(대증하약)
對 대할 대 | 症 증세 증, 적취 징 | 下 내릴 하 | 藥 약 약, 뜨거울 삭, 간 맞출 략(약) |
증세(症勢)에 맞게 약을 써야 한다는 뜻으로, 문제(問題)의 핵심(核心)을 바로 보고 대처(對處)해야 함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화타전(華 傳)에는 동한(東漢) 말기 뛰어난 의술로 신의(神醫)라는 칭송을 받았던 화타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한번은 고을의 벼슬아치인 예심(倪尋)과 이연(李延) 두 사람 모두 고열(高熱)과 심한 두통(頭痛)을 앓게 되었다. 다른 의원들이 와서 그들을 살펴 보았으나 효과가 없자, 결국 화타가 초빙되어 왔다. 그는 두 사람의 상태를 살펴 본 후, 각각 다른 처방을 내렸다. 증상이 똑같은 두 사람에게 각기 다른 약을 먹게 하자, 많은 사람들은 의아하게 생각하며 그 이유를 물었다.
화타는 대답하였다.
"예심은 신체 외부에 병은 없으나 잘못 먹어 내부에 배탈이 났으므로 사약(瀉藥)을 먹어야 하고, 이연은 신체 내부에 병은 없으나 외부의 영향으로 감기에 걸린 것이니 발산약(發散藥)을 먹어야 하는 것입니다."
對症下藥(There is a slave for every sore)는 증세에 맞게 약을 써야 한다는 뜻이며, 이는 곧 문제의 핵심을 바로 보고 대처해야함 을 비유한 말이다.
Showing posts with label 對.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對. Show all posts
對牛彈琴 (대우탄금)
대우탄금(對牛彈琴)
对牛弹琴(duìniútánqín)
對 대할 대 | 牛 소 우 | 彈 탄알 탄 | 琴 거문고 금 |
소에게 거문고를 들려준다는 말로,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참된 도리(道理)를 말해 주어도 이해하지 못한다는 뜻. 홍명집(弘明集) 이혹론(理惑論)
对牛弹琴(duìniútánqín)
對 대할 대 | 牛 소 우 | 彈 탄알 탄 | 琴 거문고 금 |
소에게 거문고를 들려준다는 말로,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참된 도리(道理)를 말해 주어도 이해하지 못한다는 뜻. 홍명집(弘明集) 이혹론(理惑論)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