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名從主人 (명종주인)

名從主人(명종주인)

名 이름 명 | 從 좇을 종 | 主 임금 주, 주인 주 | 人 사람 인 |

사물(事物)의 이름은 원래 주인이 붙인 이름을 따른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의 명칭(名稱)은 현지의 호칭법(號稱法)을 따라야 함을 이르는 말

namming is on a owner or master.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환공(桓公) 2년조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여름철 4월, 노(魯)나라는 고(稿)나라에서 만든 큰 솥을 송(宋)나라로부터 입수하여, 무신(戊申)날에 주공(周公)의 대묘에 바쳤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름은 그 주인을 따르고, 물건은 중국을 따르는 법이니[名從主人 物從中國], 고나라의 큰 솥이라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큰 솥(大鼎)은 본시 고나라에서 만든 것이었는데, 후에 송나라가 이것을 차지하였다가, 다시 송나라의 화보독(華父督)이 환공에게 뇌물로 제공한 것이었다.

따라서 노나라에서는 내력(內歷)이 복잡한 이 물건을 어떻게 불러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공자의 의견을 들었던 것이다.

名從主人이란 사물은 원래 주인의 이름을 따라 짓게 됨 을 뜻하며, 이는 곧 사물의 명칭이 그것의 소재지나 나라의 호칭법에 따라야 한다는 말이다.

名不虛傳 (명불허전)

名不虛傳(명불허전)

名 이름 명 | 不 아닐 불, 아닐 부 | 虛 빌 허 | 傳 전할 전 |

이름은 헛되이 전(傳)해지는 법이 아니라는 뜻으로, 명성(名聲)이나 명예(名譽)가 널리 알려진 데는 다 그럴 만한 이유(理由)가 있음을 이르는 말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名不虛得(명불허득) |

名繮利鎖 (명강리쇄)

名繮利鎖(명강리쇄)

名 이름 명 | 繮 고삐 강 | 利 이로울 리 | 鎖 쇠사슬 쇄 |

명예의 고삐 줄과 이익이라는 쇠사슬.


한(漢)나라 동방삭(東方朔)의 여우인서(與友人書) 에 나오는 이야기다.

당(唐)나라 덕종(德宗)년간, 못생긴 외모에다 음흉한 마음씨를 가진 노기(盧杞)라는 재상(宰相)이 있었다. 어느 날, 노기는 길가에서 풍성(馮聲)이라는 가난한 선비와 마주쳤다. 노기는 여태 그를 멸시해 온터라, 마음대로 그의 주머니를 뒤져 묵(墨) 조각을 찾아내고는 큰 소리로 비웃었다. 그러나 풍성은 점잖게 '이번에는 제가 당신의 짐꾸러미를 한번 뒤져보기로 하겠습니다'라고 말하고, 작은 종이 삼백여장을 찾아냈다. 이는 당시의 명함으로서 고관대작을 방문할 때 사용하던 것들이었다.

풍성은 웃으며 말했다.

"어찌 된 일입니까? 이렇게 삼백여장의 명함을 가지고 다니는 명리(名利)의 노예인 당신과 나를 비교해 본다면, 더 나은 쪽은 누구이겠습니까?"

名繮利鎖는 명예의 고삐와 이익의 사슬을 뜻하니, 이는 곧 명예와 이익에 얽매어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