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雨同舟(풍우동주)
風 바람 풍 | 雨 비 우 | 同 같을 동 | 舟 배 주 |
폭풍우 속에 한배를 타다는 말로 운명을 같이하고 협력하게 된다는 뜻이다. 흔히 사이가 좋지 못한 사람이 한 자리에 동석하게 되는 경우에 많이 쓴다.
손자(孫子) 구지편(九地篇)에는 나오는 말이다.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은 서로 미워하는 원수사이지만[五人越人 相惡也], 배를 같이 타고 가다가 바람을 만나면 서로 도움을 좌우의 손과 같이 한다[當其同舟而濟, 遇風, 其相救也].
춘추시기, 중국의 남쪽에 오(吳)와 월(越)이라는 두 개의 제후국이 있었다. 두 나라는 영토가 인접하고 산수(山水)가 서로 이어져 있었지만, 항상 전쟁이 그치지 않았으며, 양국 백성들은 서로 원수 대하듯 하였다. 이러한 양국 관계 때문에, 백성들은 서로 마주 치기라도 하면 가볍게는 말다툼이나 욕지거리, 심하게는 사생 결단의 싸움을 하였다.
그런데, 두 나라 사람들이 같은 배를 타게 되었는데, 마침 폭풍우가 몰아쳤다. 두 나라 사람들은 협심합력하여 난관을 벗어나야 했기 때문에, 서로 욕하거나 싸우지 않고, 마치 왼손과 오른손처럼 서로 도왔던 것이다.
風雨同舟는 오월동주(吳越同舟)라고도 한다. 이는 원수같은 사람들이 공동의 난관을 만나 어쩔 수 없이 합심함을 비유한 말이다.
출전
손자(孫子) 구지편(九地篇)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동주상구(同舟相求) | 동주제강(同舟濟江) | 오월동주(吳越同舟) | 風雨同舟(풍우동주) |
중요도·활용도
Showing posts with label 손자병법.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손자병법. Show all posts
礎潤張傘 (초윤장산)
礎潤張傘(초윤장산)
礎 주춧돌 초 | 潤 젖을 윤 | 張 펼 장 | 傘 우산 산 |
주춧돌이 젖어 있으면, 우산을 펼쳐라. 주춧돌이 젖어 있다면 결국은 비가 올 징조고, 그렇다면 미리 우산을 준비하라는 뜻으로, 상대의 작은 언행, 주변의 사소한 조짐에서 결과를 예측하라는 의미.
출전
손자병법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礎 주춧돌 초 | 潤 젖을 윤 | 張 펼 장 | 傘 우산 산 |
주춧돌이 젖어 있으면, 우산을 펼쳐라. 주춧돌이 젖어 있다면 결국은 비가 올 징조고, 그렇다면 미리 우산을 준비하라는 뜻으로, 상대의 작은 언행, 주변의 사소한 조짐에서 결과를 예측하라는 의미.
출전
손자병법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戰勝不復應形無窮 (전승불복응형무궁)
戰勝不復應形無窮(전승불복응형무궁)
전쟁에서 거둔 승리는 반복되지 않으므로,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는 다시 승리하기 어렵다
손자병법 제6 허실편에 나오는 말.
人皆知我所以勝之形,而莫知吾所以制勝之形.故其戰勝不復,而應形于無窮
사람들은 아군이 승리하게 된 형세를 알고 있지만 승리를 거두게 된 형세의 까닭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전쟁에서 승리한 작전은 다시 쓰지 않으며 적군의 형세에 따라 무궁 무진한 작전을 펴나가야 한다.
손자는 ‘전승불복’이란 명제를 제시하면서 영원한 승자로 남기 위한 중요한 원칙을 하나 제시하는데 그것이 바로 응형무궁(應形無窮)의 정신이었다. 응(應)은 대응, 형(形)은 조직의 모습, 무궁(無窮)은 끝없이 변하는 무궁한 상황을 의미한다. 즉 끝없이 변하는 상황에 대응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출전]
손자병법
전쟁에서 거둔 승리는 반복되지 않으므로,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는 다시 승리하기 어렵다
손자병법 제6 허실편에 나오는 말.
人皆知我所以勝之形,而莫知吾所以制勝之形.故其戰勝不復,而應形于無窮
사람들은 아군이 승리하게 된 형세를 알고 있지만 승리를 거두게 된 형세의 까닭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전쟁에서 승리한 작전은 다시 쓰지 않으며 적군의 형세에 따라 무궁 무진한 작전을 펴나가야 한다.
손자는 ‘전승불복’이란 명제를 제시하면서 영원한 승자로 남기 위한 중요한 원칙을 하나 제시하는데 그것이 바로 응형무궁(應形無窮)의 정신이었다. 응(應)은 대응, 형(形)은 조직의 모습, 무궁(無窮)은 끝없이 변하는 무궁한 상황을 의미한다. 즉 끝없이 변하는 상황에 대응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출전]
손자병법
求之於勢 (구지어세)
求之於勢(구지어세)
기세에서 구하다. 개개인이 아닌 전체적인 기세가 중요함을 이르는 말
故善戰者 求之於勢 不責之於人 故能擇人而任勢(고선전자 구지어세 불책지어인 고능택인이임세)
고로 전쟁을 잘하는 자는 전쟁의 승패를 기세에서 구하지 병사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는다. 따라서 능력있는 자를 택하여 기세를 돋운다.
[출전] 손자병법
기세에서 구하다. 개개인이 아닌 전체적인 기세가 중요함을 이르는 말
故善戰者 求之於勢 不責之於人 故能擇人而任勢(고선전자 구지어세 불책지어인 고능택인이임세)
고로 전쟁을 잘하는 자는 전쟁의 승패를 기세에서 구하지 병사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는다. 따라서 능력있는 자를 택하여 기세를 돋운다.
[출전] 손자병법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