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學相長 (교학상장)

敎學相長(교학상장)

남을 가르치거나 남에게 배우는 것이나 모두 나의 학업을 증진시킨다는 말.

狡兎三窟 (교토삼굴)

狡兎三窟(교토삼굴)

토끼가 위난을 막기 위해 지혜롭게 3개의 굴을 만드는 꾀를 지녔다는 뜻

2010년 말 구제역 확산으로 방역체계의 중요성을 절감한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교토삼굴이란 말로 2011년 직원들의 위기 대응 의식을 일깨움.


2011년 | 새해 사자성어

膠柱鼓瑟 (교주고슬)

膠柱鼓瑟(교주고슬)

변통성이 없음.

敎子採薪 (교자채신)

敎子採薪(교자채신)

敎 가르칠 교 | 子 아들 자 | 採 캘 채, 풍채 채 | 薪 섶 신 |

자식에게 땔나무 캐오는 법을 가르치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장기적(長期的)인 안목을 갖고 근본적인 처방에 힘씀을 이르는 말


당나라 임신사(林愼思)가 지은 ‘속맹자(續孟子)’에 나오는 고사다.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의 어떤 아버지가 하루는 아들에게 땔나무를 해 오라면서 "너는 여기서부터 백 보 떨어진 곳 있는 나무를 먼저 해오겠느냐? 아니면 힘이 들더라도 백 리 떨어진 곳에 있는 나무를 먼저 오겠느냐?"고 물었다.

아들은 당연히 "백 보 떨어진 곳의 나무를 먼저 해 오겠다"고 대답(對答)했다.

그런 대답(對答)에 아버지는 “네가 가까운 곳으로 가겠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그곳은 언제든지 해 올 수 있다. 그러나 백 리 떨어진 곳에 있는 나무는 다른 사람이 먼저 해 갈지도 모르니, 그곳의 땔감부터 가져와야 우리 집 근처의 땔감이 남아 있지 않겠니?"라고 말했다.

뜻을 이해한 아들은 땔나무를 하러 먼 곳으로 떠났다.

출전

속맹자(續孟子)

敎外別傳 (교외별전)

敎外別傳(교외별전)

석가 일대의 언설교(言說敎)외에 석존이 마음으로써 따로 심원한 듯을 전하여준 일.

驕兵必敗 (교병필패)

驕兵必敗(교병필패)

싸움에서 이기고 뽐내는 자는 반드시 패한다

家無擔石 (가무담석)

家無擔石(가무담석)

家 집 가, 여자 고 | 無 없을 무 | 擔 멜 담 | 石 돌 석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담(擔)은 손 수(手)에 이를 첨(詹)을 짝지어 놓은 글자. 손이 닿는 곳에 짊어져야 할 물건이 있다는 뜻에서 '책임지다', '떠맡다'는 의미로 사용


한나라 유방의 휘하에 한신이라는 유능한 장수가 있었다. 그는 벼슬 없이 초야에 묻혀 살 때 집에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을[家無擔石] 정도로 가난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빌붙어 살았다. 때문에 그를 좋아하는 사람도 없었고 벼슬을 할 수 있도록 추천해 주는 사람도 없었다. 한신이 회음현에 살 때 그는 친구 집에 가서 밥을 얻어먹곤 했다. 이를 귀찮게 여긴 친구의 부인은 새벽에 밥을 해 먹고 그에게는 아침을 주지 않았다. 그 정도로 그는 회음현에서 거지 취급을 받았다. 이를 불쌍하게 여긴 빨래터의 한 아낙이 굶주린 한신에게 밥을 주었다. 이에 감동한 한신이 그 아낙에게 성공하여 은혜를 갚겠다고 하자, 아낙은 입에 풀칠도 못하는 사내가 불쌍하여 밥을 주는데 무슨 보답을 원하겠냐며 화를 냈다고 한다. 그러나 한신은 훗날 초나라의 왕이 되었고 권력의 중심에 섰다.

이때부터 가무담석은 '매우 가난하다'는 의미로 쓰이기 시작했다.


출전

사기(史記) 회음후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4급 사자성어 |

蛟龍得水 (교룡득수)

교룡득수(蛟龍得水)

좋은 기회를 얻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