兵不厭詐 (병불염사)

兵不厭詐(병불염사)

兵 군사 병 | 不 아닐 불 | 厭 싫을 염 | 詐 속일 사 |

한비자(韓非子) 난일(難一)에는 진(晉)나라 문공(文公)이 초(楚)나라와 전쟁을 하고자 구범(舅犯)에게 견해를 묻는 대목이 기록되어 있다.

"초나라는 수가 많고 우리는 적으니, 이 일을 성취하려면 어찌해야 되겠는가?"

진 문공의 물음에 구범은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제가 듣건대, 번다한 예의를 지키는 군자는 충성과 신의를 꺼리지 않지만, 전쟁에 임해서는 속임수를 꺼리지 않는다고 합니다(戰陣之間, 不厭詐僞). 그러니 적을 속이는 술책을 써야 할 것입니다."

진 문공은 구범의 계책에 따라, 초나라의 가장 약한 우익(右翼)을 선택하였다. 우세한 병력을 집중하여 신속하게 그곳을 공격함과 동시에 주력부대는 후퇴하는 것으로 위장하여 초나라 군대의 좌익(左翼)을 유인해냈다. 진 문공은 곧 좌우에서 협공하여 초나라 군대를 쳐부술 수 있었다.

조조(曹操)도 삼국연의(三國演義) 23회에서 兵不厭詐라는 말을 인용하고 있다. 兵不厭詐는 군불염사(軍不厭詐)라고도 하는데, 이는 전쟁에서는 모든 방법으로 적군을 속여야 함을 말한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軍不厭詐(군불염사) | 兵不厭詐(병불염사) |

1 comment:

  1. 대전(大戰)과 대선(大選)에는 兵不厭詐라는 공통점이 있는 것 같다.

    Reply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