胡蝶夢 (호접몽)

胡蝶夢 (호접몽)

胡(호) 나비, 오랑캐 | 蝶(접) 나비 | 夢(몽) 꿈

호접몽은 '나비의 꿈'이라는 뜻으로 사물과 자기와의 구별을 잊은 것. 바로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심경(心境)을 말하는 것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장자(莊子)》〈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일화.

장자(莊子;BC 365 - 293 (?))가 어느날 낮잠을 자면서 꿈을 꾸었다. 꿈속에 나비가 되어 신나게 날아다니며 자연을 만끽했는데, 잠시 쉬려 나뭇가지에 앉았다가 잠이 들었다. 그런데 잠에서 깨어보니 인간 장자라는 것을 알았다.

이때 莊子는 고민에 빠지게 되었다. 도대체 본래 인간이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아니면 본래 나비가 꿈속에서 인간이 되어 이렇게 있는 것인지 구별이 안되었던 것이다.

장자(莊子)는 여기에서 도가사상의 본질(本質)을 깨달았다. 현실주의(現實主義) 바탕에서 인간(人間)이 만물(萬物)의 영장(靈長)이라고 생각하는 공맹(孔孟)의 유가(儒家)의 입장에서 본다면 사람이 꿈속에서 나비가 된 것은 별 상관이 없지만, 본래 나비가 꿈속에서 인간이 되었다는 것은 모든 것의 끝과 종말을 의미할 것이다.

그러나 장자는 인간도 역시 모든 우주(宇宙) 만물 속의 하나의 객체(客體)로 인정한다면 나비이든 사람이든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깨달은 것이다.

이것이 바로 모든 만물(萬物)을 가지런하게 생각하는 도가(道家)의 "만물제동(萬物齊同)"사상이다. 이것은 또한 장자가 주장한 제물론(齊物論)의 핵심이기도 하다.

곧 장자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편협된 사고의 틀을 벗어나 모든 우주 만물(萬物)의 저절로 그러한 상태인 도(道)를 따르라는, 흔히 이야기하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장한 것이다.

차별적(差別的)이고 유한적(有限的)인 인간의 세계에서 벗어나 참된 자유의 무한적(無限的) 세계에서 노닐 수 있는 소요유(逍遙遊)의 단계에 도달하면 "無爲自然"의 진리를 얻는다고 본 것이다.



유의어

庄周梦蝶(zhuāngzhōumèngdié)

1 comment:

  1. 영화 매트릭스나 인셉션을 보면 떠오르는 꿈과 현실의 혼동. 장자가 그 원조 아닐까요?

    Reply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