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慮一失(천려일실)
千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慮 생각할 려(여), 사실할 록(녹) | 一 한 일 | 失 잃을 실, 놓을 일 |
천번의 생각에 한번의 실수라는 뜻으로, ①지혜(智慧)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하나쯤은 실수(失手)가 있을 수 있다는 말 ②여러 번 생각하여 신중(愼重)하고 조심스럽게 한 일에도 때로는 실수(失手)가 있음
한나라 고조의 명에 따라 대군을 이끌고 조나라로 쳐들어간 한신(韓信)은 결전을 앞두고 '적장 이좌거를 사로잡는 장병에게는 천금을 주겠다'고 공언했다. 지덕을 겸비한 그를 살리고 싶었기 때문이다.
漢(한)나라의 장군 韓信(한신)이 趙(조)나라를 공격했다.조나라의 탁월한 전략가 李左車(이좌거)는 主君(주군)에게 3만명의 군대를 보내주면 한신이 쳐들어올 길목을 끊겠다고 歎願(탄원)했다. 그러나 주군은 이 말을 받아 들이지 않았다.그 결과 조나라는 싸움에서 크게 패하여 나라는 망하고 말았다.이좌거의 작전이 받아들여졌다면 한신은 아예 조나라를 정벌할 마음조차 먹지 않았을 것이다. 미리 첩자를 보내 이좌거의 작전이 채택되지 않은 것을 안 한신은 마음놓고 조나라를 쳤던 것이다.
이좌거는 포로가 되어 한신(韓信) 앞에 끌려 나왔다. 한신(韓信)은 손수 포박을 풀어준 뒤 상석에 앉히고 주연을 베풀어 위로(慰勞)했다. 그리고 허리를 굽혀 한나라의 천하통일(統一天下)에 마지막 걸림돌로 남아 있는 연, 제에 대한 공략책을 물었다. 그러나 이좌거는 '패한 장수는 병법을 논하지 않는 법'이라며 입을 굳게 다물었다. 한신(韓信)이 재삼 정중히 청하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패한 장수는 병법에 대해 말할 자격이 없습니다』하며 거절했지만 끈질긴 한신의 간청에 마음이 움직여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반드시 하나쯤은 실책이 있고[智者千慮 必有一失 (지자천려 필유일실)],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반드시 하나쯤은 득책이 있다[愚者千慮 必有一得 (우자천려 필유일득)]고 했습니다.그러니, 패장의 생각 가운데 하나라도 득책이 있으면 이만 다행이 없을까 합니다.』하고 말한 뒤 연나라와 제나라를 쳐부술 계책을 말해주었다. 그 후 이좌거는 한신(韓信)의 참모가 되어 크게 공헌(貢獻)했다고 한다.
출전
사기(史記)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智者一失(지자일실) |
반의어·상대어
千慮一得(천려일득)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