愚公移山 (우공이산, Yúgōngyíshān)

愚公移山(우공이산)

愚公移山[Yúgōngyíshān]

愚 어리석을 우 | 公 공평할 공 | 移 옮길 이, 크게 할 치 | 山 메 산 |


우공(寓公)이 산을 옮기다. 《열자·탕문(列子·湯問)》에 나오는 말로서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쉬지 않고 꾸준하게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Like the Foolish Old Man who removed the mountains—with dogged perseverance


원래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이야기다.

태형(太形 또는 태행 太行) ·왕옥(王屋) 두 산은 둘레가 700리나 되는데 원래 기주(冀州) 남쪽과 하양(河陽) 북쪽에 있었다. 북산(北山)의 우공(愚公)이란 사람은 나이가 이미 90에 가까운데 이 두 산이 가로막혀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을 덜고자 어느 날 가족을 모아 놓고 말하였다.

"저 험한 산을 평평하게 하여 예주(豫州)의 남쪽까지 곧장 길을 내는 동시에 한수(漢水)의 남쪽까지 갈 수 있도록 하겠다. 너희들 생각은 어떠하냐?"

모두 찬성하였으나 그의 아내만이 반대하며 말하였다.

"당신 힘으로는 조그만 언덕 하나 파헤치기도 어려운데, 어찌 이 큰 산을 깎아 내려는 겁니까? 또, 파낸 흙은 어찌하시렵니까?"

우공은 흙은 발해(渤海)에다 버리겠다며 세 아들은 물론 손자들까지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서 삼태기와 광주리 등으로 나르기 시작하였다.

흙을 발해만(渤海灣)까지 운반하는 데 한 번 왕복에 1년이 걸렸다. 이것을 본 친구 황해의 지수(智搜)라는 사람이 그를 비웃으며 만류하자 그는 정색을 하고 대답하였다.

“나는 늙었지만 나에게는 자식도 있고 손자도 있다. 그 손자는 또 자식을 낳아 자자손손 한없이 대를 잇겠지만 산은 더 불어나는 일이 없지 않은가. 그러니 언젠가는 평평하게 될 날이 오겠지”

지수는 말문이 막혔다.

그런데 이 말을 들은 산신령(蛇神)이 산을 허무는 인간의 노력이 끝없이 계속될까 겁이 나서 옥황상제에게 이 일을 말려 주도록 호소하였다. 그러나 옥황상제는 우공의 정성에 감동하여 가장 힘이 센 역신(力神) 과아씨(夸蛾氏)의 두 아들을 시켜 두 산을 들어 옮겨, 하나는 삭동(朔東)에 두고 하나는 옹남(雍南)에 두게 하였다고 한다.


출전·유래

列子(열자) 湯問(탕문) |


관련 한자어

유의어

塵合泰山 진합태산 | 點滴穿石 점적천석 | 積土成山 적토성산 | 積塵成山 적진성산 | 積水成淵 적수성연 | 積小成大 적소성대 | 十伐之木 십벌지목 | 水滴穿石 수적천석 | 水積成川 수적성천 山溜穿石 산류천석 | 磨斧作針 마부작침 | 磨斧爲針 마부위침 |

참조어

風燭殘年(풍촉잔년)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3 comments:

  1. 중국 개혁개방의 아버지 덩샤오핑(鄧小平)은 지난 1987년 중국을 방문한 루드 루버스 네덜란드 총리에게 “중국 속담에 우공이산이란 말이 있다”며 “이는 꾸준하게 한 가지 일에 전념하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는 말로 네덜란드 국민이야말로 우공이산의 표본”이라고 칭찬했다. 당시 국토는 넓었지만 1인당 평균 경작면적이 매우 적었던 중국 입장에선 세계 3위 농산물 수출대국 네덜란드의 지혜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덩샤오핑은 “네덜란드는 중국보다 경작면적은 더 적지만 세계적인 농산물 수출국이 됐다”면서 “중국은 네덜란드의 이러한 점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ReplyDelete
  2. 충남 계룡시가 2014년 새해 시정을 이끌 사자성어로 ‘우공이산(愚公移山)’을 선정했다. 이기원 시장은 “2013년은 개청 10주년을 맞아 미래 100년 비전을 향한 의지를 새롭게 다지는 소중한 계기가 된 한 해였다”며 “2014년에는 새로운 역사 창조와 글로벌 국방수도가 될 수 있도록 400여 공직자 모두가 모든 역량과 열정을 바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뜻에서 선정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2013.12.22)

    ReplyDelete
  3. 중국이 들고나온 `우공이산(어리석을 만큼 꾸준한 노력이 산을 옮긴다)` 정신이 외교력의 단면이란 생각도 들었다. 한국이 서둘러 꺼내든 통일대박론에 중국이 `그리 만만치 않을 거야`라고 말하는 듯한 인상도 받았다. 중국은 장기전을 각오할 뿐 아니라 허(虛)를 찌르고 실(實)을 찾는 `허허실실` 전략을 함께 구사하고 있다. (2014.04.30)

    Reply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