轉迷開悟 (전미개오)

轉迷開悟(전미개오)

구를 전, 미혹할 미, 열 개, 깨달음 오

미망에서 돌아나와 깨달음을 얻다.

미혹에서 벗어나 열반을 깨닫는 마음에 이르는 것을 뜻하는 불교 용어

前無後無 (전무후무)

前無後無(전무후무)

前 앞 전, 자를 전 | 無 없을 무 | 後 뒤 후, 임금 후 | 無 없을 무 |

전에도 없었고 이후로도 있을 수 없음.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曠前絶後(광전절후) | 曠前(광전) | 空前絶後(공전절후) | 空前绝后(kōngqiánjuéhòu) | 空前(공전) |

頂門一鍼 (정문일침)

頂門一鍼(정문일침)

정수리에 침 하나를 꽂는다는 뜻으로, 상대방(相對方)의 급소(急所)를 찌르는 따끔한 충고(忠告)나 교훈(敎訓)을 이르는 말.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寸鐵殺人(촌철살인) | 頂上一鍼(정상일침) | 頂門一針(정문일침) |

程門立雪 (정문입설, Chéngménlìxuě)

程門立雪(정문입설)

程门立雪(Chéngménlìxuě)

程 한도 정,길 정 | 門 문 문 | 立 설 입(립) | 雪 눈 설 |


'정씨 집 문 앞에 서서 눈을 맞다'라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을 존경함 또는 간절히 배움을 구하는 자세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송(宋)나라 때 양시(楊時)와 유초(游酢 또는 遊酢)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양시와 유초는 북송(北宋) 때의 대유학자 정호(程顥)의 제자였다. 정호가 세상을 떠난 뒤에 양시와 유초는 정호의 동생인 정이를 스승으로 섬기고자 찾아갔다. 그들이 정이의 집에 이르렀을 때, 마침 정이는 눈을 감고 좌정하여 명상에 잠겨 있었다.

두 사람은 조용히 서서 정이가 눈을 뜨기를 기다렸는데, 이때 밖에는 눈이 내리기 시작하였다. 한참 뒤에 정이가 눈을 뜨고 양시와 유초를 보았을 때, 문 밖에는 눈이 한 자나 쌓여 있었다. 그렇게 오랜 시간이 지날 때까지 두 사람은 스승을 뵙고자 말없이 서서 기다렸던 것이다.

이 고사는 《송사(宋史)》의 〈양시전(楊時傳)〉에 실려 있다. 양시와 유작은 이와 같이 배움을 간절히 구하는 자세로 학문에 정진하여, 여대림(呂大臨)·사양좌(謝良佐)와 함께 정문(程門:정호와 정이의 문하)의 4대 제자로 꼽힌다. 이들의 고사에서 유래하여 정문입설은 스승을 존경하는 제자의 마음이나 배움을 간절히 구하는 자세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유래]
宋史(송사):楊時傳(양시전) | 名臣言行錄(명신언행록) |


宋史, 송사, 宋史:楊時傳, 송사:양시전, 名臣言行錄, 명신언행록

朝變夕改 (조변석개)

朝變夕改(조변석개)

朝 아침 조, 고을 이름 주 | 變 변할 변 | 夕 저녁 석, 한 움큼 사 | 改 고칠 개 |

아침, 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計劃)이나 결정(決定) 따위가 매우 자주 변함.

keep chopping and changing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朝夕變改(조석변개) | 朝變暮改(조변모개) | 朝令暮改(조령모개) | 朝變夕改(조변석개) | 朝令夕改(zhāolìngxīgǎi) |

適口之餠 (적구지병)

適口之餠(적구지병)

適 맞을 적 | 口 입 구 | 之 갈 지 | 餠 떡 병 |

입에 맞는 떡으로, 제 마음에 꼭 드는 사물(事物)을 이르는 말 .

電光石火 (전광석화)

電光石火(전광석화)

電 번개 전 | 光 빛 광 | 石 돌 석 | 火 불 화 |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이는 것처럼, ①극히 짧은 시간(時間) ②아주 신속(迅速)한 동작(動作) ③일이 매우 빠른 것을 가리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