忽顯忽沒 (홀현홀몰)

忽顯忽沒(홀현홀몰)

忽 갑자기 홀 | 顯 나타날 현 | 忽 갑자기 홀 | 沒 빠질 몰 |

문득 나타났다가 문득 사라짐.

皓齒丹脣 (호치단순)

皓齒丹脣(호치단순)

皓 흴 호 | 齒 이 치 | 丹 붉을 단, 정성스러울 란(난) | 脣 입술 순, 꼭 맞을 민 |

붉은 입술과 흰 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女子)를 이르는 말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丹脣皓齒(단순호치) | 傾國之色(경국지색) |

護疾忌醫 (호질기의, hùjíjìyī)

護疾忌醫(호질기의)

护疾忌医(hù jí jì yī)

護 보호할 호 | 疾 병 질 | 忌 꺼릴 기 | 醫 의원 의 |


'병을 숨겨 의원에게 보이기를 꺼린다'라는 뜻으로, 잘못이 있는데도 다른 사람의 충고를 듣지 않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胡蝶之夢 (호접지몽, húdiézhīmèng)

胡蝶之夢(호접지몽)

胡蝶之梦(húdiézhīmèng)

胡 되 호,오랑캐 이름 호,수염 호 | 蝶 나비 접 | 之 갈 지 | 夢 꿈 몽 |


장자(莊子)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닌 꿈으로, ①현실(現實)과 꿈의 구별(區別)이 안 되는 것 ②인생(人生)의 덧없음의 비유(比喩)

昏定晨省 (혼정신성)

昏定晨省(혼정신성)

昏定晨省(hūndìngchénxǐng)

昏 어두울 혼, 힘쓸 민 | 定 정할 정, 이마 정 | 晨 새벽 신 | 省 살필 성, 덜 생 |

저녁에는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아침에는 문안(問安)을 드린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아침저녁으로 부모(父母)의 안부(安否)를 물어서 살핌을 이르는 말


《예기(禮記)》의 '곡례편(曲禮篇)'에 나오는 말로 ‘밤에 잘 때 부모의 침소에 가서 밤새 안녕하시기를 여쭙는다.’는 뜻의 ‘혼정(昏定)’과 ‘아침 일찍 일어나 부모의 침소에 가서 밤새의 안후(安候)를 살핀다.’는 뜻의 ‘신성(晨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말이다. 부모에 대한 공경을 바탕으로 한 행위가 곧 효, 또는 효행이다. 이 효사상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륜의 가장 으뜸되는 덕목으로 중시되었다. 즉 ‘효는 백행지본(百行之本)’이라 하여 부모를 봉양하고, 공경하며, 복종하고, 조상에게 봉제사(奉祭祀)하는 일이 의무화되면서 효사상이 사회규범으로 굳어졌다.

공자는 이러한 효에 대해 그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하여 확고히 정착시켰다. 이 유교적인 효사상은 맹자에 와서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의무가 더욱 강조되었고, 한대(漢代)에 이르러 《효경(孝經)》에서 도덕의 근원, 우주의 원리로서 명문화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효사상이 가장 중요한 도덕규범으로 정착되자 자연히 효에 대한 행동상의 규범도 많아지게 되었다. 일종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 먼저 부모를 대하는 얼굴가짐을 중시했다. 늘 부드러운 얼굴빛으로 부모를 섬겨 편안하게 해드려야 한다는 것으로, 그것이 쉽지 않은 일이라 하여 ‘색난(色難)’이라 하였다. 또 부모의 잘못을 보면 간언은 하되 뜻은 거역하지 않으며, 살아 계실 때에는 정성으로 모시고 돌아가시면 3년간 부모의 평소 생활습관을 바꾸지 않고 지켜야 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평소 일상생활 중에서 부모를 잘 모시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를테면 저녁에는 잠자리가 어떤지 직접 손을 넣어 확인해보고 아침에는 간밤에 잘 주무셨는지 여쭌 다음 부모의 안색을 주의깊게 살폈으니, 이것이 바로 ‘혼정신성’으로 부모를 모시는 기본 도리였던 것이다.

이 말은 겨울에는 따뜻하게[溫] 여름에는시원하게[淸] 해드리고, 밤에는 이부자리를 펴고[定] 아침에는 문안을 드린다[省]는 뜻의 '온청정성(溫淸定省)'이란 말과 뜻이 통한다. 또 부모를 섬기기는 데,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서늘하게 한다는 뜻의 '동온하청(冬溫夏凊)'이라는 말도 모두 《예기》에 나오는 말로서 그 뜻이 서로 통하는 말이다.

[출전]
예기(禮記)

그 외에 出必告 反必面(출필곡 반필면)이란 말도 있다. 밖으로 나갈 때에는 반드시 부모에게 가는 곳을 아뢰고 밖에서 돌아왔을 때에는 반드시 부모를 뵙고 歸家(귀가)했음을 알린다는 뜻이다.

이런 행위는 孝(효)이전에 부모에 대한 예의의 기본이었다. 이것이 지금은 뒤집어져 있다. 밤늦게 혹은 새벽까지 이제나 저제나 하고 자식을 기다리느라 잠을 설치는 부모가 많다. 늦은 사유를 전화로라도 전해왔다면 그렇게 애타하지는 않는다.

세상은 변하고 價値觀(가치관)도 바뀐다. 어제의 正(정)이 오늘은 反(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부모에 대한 孝만큼은 절대로 뒤집을 수 없는 절대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孝는 모든 행실의 근원이며 仁(인)을 행하는 근본이라고 先賢(선현)들은 입을 모아 가르쳐 왔다. 退溪 李滉(퇴계 이황)도 孝는 모든 善(선)의 으뜸이라고 했다.

人口(인구)에 膾炙(회자)되어온 효심을 담은 시 하나를 읊어보자.

父兮生我 母兮鞠我 (부혜생아 모혜국아)
哀哀父母 生我구勞 (애애부모 생아구로)
欲報之德 昊天罔極 (욕보지덕 호천망극)

번역하면 이렇게 된다.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 나를 기르시도다
어버이여 나를 낳고 기르느라 애쓰셨도다
그 은덕 갚고자 하건만 하늘 같아 다함이 없도다.

이 시는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에 나오지만 일찍이 공자가 엮은 詩經(시경)에 실려 있는 6개 시구를 재구성해 만든것이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冬溫夏凊昏定晨省(동온하정혼정신성) | 出必告反必面(출필고반필면) | 朝夕定省(조석정성) | 定省(정성) | 反哺之孝(반포지효) | 反哺報恩(반포보은) |

紅一點 (홍일점)

紅一點(홍일점)

紅 붉을 홍, 상복 공 | 一 한 일 | 點 점 점, 시들 다 |

푸른 잎 가운데 한 송이의 꽃이 피어 있다는 뜻으로, ①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를 띠는 것 ②또는 많은 남자(男子)들 사이에 끼어 있는 오직 하나 뿐인 여자(女子)

the only woman in the company


송(宋)나라 신종을 섬기면서, 이른 바 왕안석의 신법(新法)을 만들어 일거에 부국강병의 나라를 이룩해보고자 했다가, 사마광, 구양수, 정이천, 소식 등 유명한 학자들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쳐 마침내 중도에서 좌절한 사람이 있다. 왕안석(王安石)이라는 이 사람은 그만 번민 끝에 68세를 일기로 하여 세상을 떠났는데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에 드는 문장가(文章家)의 한 사람이기도 하였다.

그 왕안석이 지은 석류시(石榴詩) 속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보인다.

만록총중(萬綠叢中)에 홍일점(紅一點) 있도다.
사람을 움직이게하는 춘색(春色)은 많은들 무엇하리.

온통 녹색이 우거진 속에 피어있는 빨간 꽃 한 송이의 아름다움과 예쁨은 춘색의 으뜸이라고 추켜세운 내용의 시이다. 여기에 나온말이 '홍일점'이다. 당초에는 식물에 비유했던 것인데 요즈음에는 '많은 남성들 속에 섞인 한 명의 여성' 이란 뜻으로 흔히 쓰이고 있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萬綠叢中紅一點(만록총중홍일점) | 一點紅(일점홍) |

반의어·상대어

靑一點(청일점) |

縞衣玄裳 (호의현상)

縞衣玄裳(호의현상)

縞 명주 호 | 衣 옷 의 | 玄 검을 현 | 裳 치마 상 |

① 흰 옷과 검은 치마. ② 소동파의 적벽부에 나오는 말로 학과 같은 깨끗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