物以類聚 (물이유취, wùyǐlèijù)

物以類聚(물이유취)

物以类聚(wùyǐlèijù)

物 만물 물 | 以 써 이 | 類 같을 류 | 聚 모일 취 |


'물건은 종류대로 모인다'라는 뜻의 고사성어로, 《주역》과 《전국책》 등에서 유래하였다. 끼리끼리 어울리다, 유유상종하다, 나쁜 사람들이 의기투합하여 한데 어울리다 등의 뜻으로 사용된다.


유유상종과 같은 뜻으로, 우리말의 '끼리끼리 모인다'와 같은 표현이다. 인이군분(人以群分:사람은 같은 무리끼리 모인다)과 연결하여 '물이유취 인이군분'이라고 쓰이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좋은 의미로 사용되기보다는 주로 좋지 않은 사람들이 한 부류로 모인 것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주역》〈계사(繫辭)〉편의 "삼라만상은 같은 종류끼리 모이고, 만물은 무리를 지어 나누어지니, 이로부터 길함과 흉함이 생긴다(方以類聚, 物以群分, 吉凶生矣)"라는 구절에서 유래되었다.

《전국책》의 〈제책(齊策)〉편에 따르면, 전국시대 제나라의 순우곤(淳于髡)은 왕이 인재를 구한다는 말을 듣고는 하루에 7명이나 천거하였다. 왕이 순우곤에게 인재는 구하기 어려운 법인데 하루에 7명이나 천거한 것은 너무 많지 않냐고 말했다. 이에 순우곤은 물건은 각기 비슷한 부류가 있으며(物各有疇), 자신도 인재의 부류에 속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인재를 추천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또 《주역》〈문언(文言)〉편에는 "하늘에 근본을 둔 것은 위와 친하고, 땅에 근본을 둔 것은 아래와 친하니, 이는 각자가 그 비슷한 것을 좇기 때문이다(本乎天者親上, 本乎地者親下, 則各從其類也)"라는 구절이 있다. 물각유주(物各有疇)나 물각유류(物各有類), 방이유취(方以類聚), 물이군분(物以群分), 각종기류(各從其類)는 모두 같은 의미이며, 물이유취로 많이 쓰인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類類相從(유유상종) | 物各有疇(물각유주) | 物各有類(물각유류) | 方以類聚(방이유취) | 物以群分(물이군분) | 各從其類(각종기류) | 草綠同色(초록동색) |


周易(주역) | 전국책 | 끼리끼리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