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才勝德(부재승덕)
不 아닐 불, 아닐 부 | 才 재주 재 | 勝 이길 승 | 德 큰 덕, 덕 덕 |
재주나 지식이 덕을 앞서게 해서는 아니 된다
Showing posts with label 不.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不. Show all posts
不爲胡成 (불위호성)
不爲胡成(불위호성)
행동으로 옮기지 않으면 이루지 못한다.
이는 서경 태갑편에 나오는 말로 ‘불려호획(弗慮胡獲) 불위호성(弗爲胡成)’ 중의 일부이며,그대로 풀이하면 ‘깊이 생각하지 않고 어찌 얻을 수 있으며 행하지 않고 어찌 이룰 수 있겠느냐‘ 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숙려단행(熟廬斷行)의 말로도 표현된다.
書經(서경 태갑편)
행동으로 옮기지 않으면 이루지 못한다.
이는 서경 태갑편에 나오는 말로 ‘불려호획(弗慮胡獲) 불위호성(弗爲胡成)’ 중의 일부이며,그대로 풀이하면 ‘깊이 생각하지 않고 어찌 얻을 수 있으며 행하지 않고 어찌 이룰 수 있겠느냐‘ 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숙려단행(熟廬斷行)의 말로도 표현된다.
書經(서경 태갑편)
不飛不鳴 (불비불명)
不飛不鳴(불비불명)
不 아닐 불, 아닐 부 | 飛 날 비 | 不 아닐 불, 아닐 부 | 鳴 울 명 |
새가 삼 년 간을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뒷날에 큰 일을 하기 위(爲)하여 침착(沈着)하게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사기(史記)'의 '골계열전(滑稽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제(齊)나라 위왕(威王)은 날마다 음주가무뿐 아니라 음탕한 놀이도 서슴지 않고 즐기며 정사는 중신들에게 맡겼다. 이에 정사가 문란해지고 신하들 사이에도 질서가 잡히지 않았으나 누구도 함부로 나서서 위왕에게 간언하지 못하였다. 이때 순우곤(淳于髡)이 위왕에게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은[不蜚不鳴] 새'가 무슨 새인지 물었다. 위왕은 '한번 날면 하늘에 오르며, 한번 울면 사람을 놀라게 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순우곤의 의도를 알아챈 위왕은 비로소 정사를 정상적으로 돌보았다고 한다.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중언편(重言篇)'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 초(楚)나라 장왕(莊王)은 거의 3년 동안 날마다 주색에 여념이 없었고, 이를 간언하는 신하는 사형에 처한다고 하였다. 어느 날 오거(伍擧)가 연회석에서 장왕에게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은 새가 무슨 새냐고 물었지만 장왕은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한 채 계속 주색에 빠졌다. 이후 충신 소종(蘇從)이 같은 질문을 하자 그때야 뜻을 이해하고 정사를 바로잡았다.
불비불명은 재능이 있는 자가 재능을 발휘할 때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일단 뜻을 펼치면 큰일을 한다는 긍정적인 말이다. 복룡봉추(伏龍鳳雛:엎드려 있는 용과 봉황의 새라는 뜻으로,초야에 숨어 있는 훌륭한 인재를 말함), 와룡봉추(臥龍鳳雛:누워 있는 용과 봉황의 병아리),용구봉추(龍駒鳳雛:뛰어난 말과 봉황의 병아리) 등도 인재가 때를 기다린다는 뜻도 있으므로 불비불명과 비슷한 고사성어이다.
출전
사기(史記)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一鳴驚人(일명경인) | 龍駒鳳雛(용구봉추) | 臥龍鳳雛(와룡봉추) | 三年不飛又不鳴(삼년불비우불명) | 三年不飛不鳴(삼년불비불명) | 三年不蜚不鳴(삼년불비불명) | 不蜚不鳴(불비불명) | 伏龍鳳雛(복룡봉추) | 不飛不鳴(불비불명) |
不 아닐 불, 아닐 부 | 飛 날 비 | 不 아닐 불, 아닐 부 | 鳴 울 명 |
새가 삼 년 간을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뒷날에 큰 일을 하기 위(爲)하여 침착(沈着)하게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사기(史記)'의 '골계열전(滑稽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제(齊)나라 위왕(威王)은 날마다 음주가무뿐 아니라 음탕한 놀이도 서슴지 않고 즐기며 정사는 중신들에게 맡겼다. 이에 정사가 문란해지고 신하들 사이에도 질서가 잡히지 않았으나 누구도 함부로 나서서 위왕에게 간언하지 못하였다. 이때 순우곤(淳于髡)이 위왕에게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은[不蜚不鳴] 새'가 무슨 새인지 물었다. 위왕은 '한번 날면 하늘에 오르며, 한번 울면 사람을 놀라게 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순우곤의 의도를 알아챈 위왕은 비로소 정사를 정상적으로 돌보았다고 한다.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중언편(重言篇)'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 초(楚)나라 장왕(莊王)은 거의 3년 동안 날마다 주색에 여념이 없었고, 이를 간언하는 신하는 사형에 처한다고 하였다. 어느 날 오거(伍擧)가 연회석에서 장왕에게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은 새가 무슨 새냐고 물었지만 장왕은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한 채 계속 주색에 빠졌다. 이후 충신 소종(蘇從)이 같은 질문을 하자 그때야 뜻을 이해하고 정사를 바로잡았다.
불비불명은 재능이 있는 자가 재능을 발휘할 때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일단 뜻을 펼치면 큰일을 한다는 긍정적인 말이다. 복룡봉추(伏龍鳳雛:엎드려 있는 용과 봉황의 새라는 뜻으로,초야에 숨어 있는 훌륭한 인재를 말함), 와룡봉추(臥龍鳳雛:누워 있는 용과 봉황의 병아리),용구봉추(龍駒鳳雛:뛰어난 말과 봉황의 병아리) 등도 인재가 때를 기다린다는 뜻도 있으므로 불비불명과 비슷한 고사성어이다.
출전
사기(史記)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一鳴驚人(일명경인) | 龍駒鳳雛(용구봉추) | 臥龍鳳雛(와룡봉추) | 三年不飛又不鳴(삼년불비우불명) | 三年不飛不鳴(삼년불비불명) | 三年不蜚不鳴(삼년불비불명) | 不蜚不鳴(불비불명) | 伏龍鳳雛(복룡봉추) | 不飛不鳴(불비불명) |
不利天下天下治矣 (불리천하천하치의)
不利天下天下治矣(불리천하천하치의)
不 아닐 불, 아닐 부 | 利 이로울 리, 이로울 이 | 天 하늘 천 | 下 아래 하 | 天 하늘 천 | 下 아래 하 | 治 다스릴 치, 강 이름 이 | 矣 어조사 의 |
천하를 이롭게 하겠다고 나서지 않으면 천하는 절로 안정된다
[출전]
열자 양주
人人不損一毫 人人不利天下 天下治矣 (인인불손일호 인인불리천하 천하치의)
不 아닐 불, 아닐 부 | 利 이로울 리, 이로울 이 | 天 하늘 천 | 下 아래 하 | 天 하늘 천 | 下 아래 하 | 治 다스릴 치, 강 이름 이 | 矣 어조사 의 |
천하를 이롭게 하겠다고 나서지 않으면 천하는 절로 안정된다
[출전]
열자 양주
人人不損一毫 人人不利天下 天下治矣 (인인불손일호 인인불리천하 천하치의)
不得貪勝 (부득탐승)
不得貪勝(부득탐승)
不 아닐 불, 아닐 부 | 得 얻을 득 | 貪 탐낼 탐 | 勝 이길 승 |
승리를 탐내면 이기지 못한다. 승리를 탐하면 서두르게 되고 서두르면 파탄이 생긴다는 뜻.
출전
王積薪(왕적신) 圍棋十訣(위기십결)
첫째 : 不得貪勝(부득탐승) ― 이기기를 탐하지 말라.
둘째 : 入界宜緩(입계의완) ― 적진에 들어갈 때 여유를 가져라.
셋째 : 攻彼顧我(공피고아) ― 공격할 때는 자기 돌을 먼저 돌아보라.
넷째 : 棄子爭先(기자쟁선) ― 희생을 하더라도 선수를 차지하라.
다섯 : 捨小就大(사소취대) ―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취해라.
여섯 : 逢急棄須(봉급기수) ― 위태로워졌을 때는 아끼지 마라.
일곱 : 愼勿輕速(신물경속) ― 신중하며 경솔하지 말아라.
여덟 : 動須相應(동수상응) ― 움직일 때 서로 상응케 하라.
아홉 : 彼强自保(피강자보) ― 상대편이 강하면 자중하라.
열째 : 勢狐取和(세호취화) ― 자기편이 약할 때는 화친하라.
不 아닐 불, 아닐 부 | 得 얻을 득 | 貪 탐낼 탐 | 勝 이길 승 |
승리를 탐내면 이기지 못한다. 승리를 탐하면 서두르게 되고 서두르면 파탄이 생긴다는 뜻.
출전
王積薪(왕적신) 圍棋十訣(위기십결)
첫째 : 不得貪勝(부득탐승) ― 이기기를 탐하지 말라.
둘째 : 入界宜緩(입계의완) ― 적진에 들어갈 때 여유를 가져라.
셋째 : 攻彼顧我(공피고아) ― 공격할 때는 자기 돌을 먼저 돌아보라.
넷째 : 棄子爭先(기자쟁선) ― 희생을 하더라도 선수를 차지하라.
다섯 : 捨小就大(사소취대) ―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취해라.
여섯 : 逢急棄須(봉급기수) ― 위태로워졌을 때는 아끼지 마라.
일곱 : 愼勿輕速(신물경속) ― 신중하며 경솔하지 말아라.
여덟 : 動須相應(동수상응) ― 움직일 때 서로 상응케 하라.
아홉 : 彼强自保(피강자보) ― 상대편이 강하면 자중하라.
열째 : 勢狐取和(세호취화) ― 자기편이 약할 때는 화친하라.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