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世推移 (여세추이, yǔshìtuīyí)

與世推移(여세추이)

与世推移(yǔshìtuīyí)

與 더불 여 | 世 인간 세 | 推 옮길 추 | 移 옮길 이 |


세상의 변화에 맞추어 함께 변화해간다는 뜻으로 중국 전국시대 초(楚)의 굴원[屈原]이 지은 ‘어부사(漁父辭)’에서 비롯된 말이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의 정치가이자 시인인 굴원(屈原, BC 343 ?~BC 278 ?)의 ‘어부사(漁父辭)’에서 비롯된 말로 ‘세상의 변화에 맞추어 함께 변화해간다’는 뜻이다. 초(楚)에서 한때 삼려대부(三閭大夫)의 지위까지 올랐던 굴원은 제(齊)와 동맹해 강국인 진(秦)에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정적들의 모함을 받아 좌천되었다. 그러나 굴원의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제(齊)와 단교(斷交)를 하며 친진(親秦) 정책을 펼치던 초(楚) 회왕(懐王)은 장의(張儀)의 모략에 빠져 진(秦)에 사로잡혀 객사하였다. 경양왕(頃襄王)이 즉위한 뒤 굴원은 다시 조정으로 돌아왔으나 회왕을 객사하게 한 자란(子蘭)이 영윤(令尹, 재상)이 되자 그를 비판하다가 다시 유배되었다. 굴원은 ‘어부사(漁父辭)’를 지어 자신의 심정을 나타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굴원이 이미 쫓겨나 강과 못 사이를 거닐면서 詩(시)를 읊조릴 적에 안색이 초췌하고 몸이 수척해 있었다. 어부(漁父)가 그를 보고는 이렇게 물었다. “그대는 삼려대부(三閭大夫)가 아니시오? 무슨 까닭으로 여기까지 이르렀소?” 굴원이 대답했다. “온 세상이 모두 혼탁한데 나만 홀로 깨끗하고, 뭇 사람이 모두 취해 있는데 나만 홀로 깨어 있어 추방을 당했소이다.” 어부(漁父)가 이에 말했다. “성인(聖人)은 사물에 얽매이거나 막히지 않고 능히 세상과 추이를 같이 한다오(聖人不凝滯於物而能與世推移). 세상 사람들이 모두 혼탁하면 어찌 그 진흙을 휘저어 흙탕물을 일으키지 않고, 뭇 사람들이 모두 취해 있으면 왜 그 술지게미 배불리 먹고 박주(薄酒)나마 마시지 않고 어찌하여 깊은 생각과 고상한 행동으로 스스로 추방을 당하셨소?” 굴원이 답하였다. “내 일찍이 듣기로, 새로 머리를 감은 자는 반드시 관(冠)의 먼지를 털어 쓰고, 새로 목욕을 한 자는 반드시 옷을 털어 입는다 하였소. 어찌 이 깨끗한 몸에 외물(外物)의 더러움을 받을 수 있겠소? 차라리 상강(湘江)에 뛰어들어 물고기의 뱃속에 장사(葬事)를 지낼지언정 어찌 이 희고 깨끗한 몸에 세속(世俗)의 티끌을 뒤집어쓸 수 있겠소.” 어부(漁父)는 듣고서 빙그레 웃고는 배의 노를 두드려 떠나가며 노래하였다. “창랑(滄浪)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滄浪)의 물이 흐리면 발이나 씻으리라.” 마침내 가 버려 다시 그와 더불어 말하지 못하였다.

이처럼 굴원의 ‘어부사(漁父辭)’에서는 ‘여세추이(與世推移)’가 문맥상 혼탁한 세상의 흐름에 따라간다는 의미로 쓰였지만, 일반적으로 한 가지 일에만 얽매여 발전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일컫는 ‘수주대토(守株待兎)’와는 반대로, 시대나 세상의 변화에 융통성 있게 적응해가는 성인(聖人)의 법도를 나타내는 의미로 쓰인다.

<후한서(後漢書)>의 ‘최식열전(崔寔列傳)’에는 환제(桓帝) 때 최식(崔寔)이 ‘어부사(漁父辭)’의 표현을 빌어 “성인은 어떤 일에도 구애받음이 없이 세상의 변천에 따라 행동한다. 그러나 평범한 사람은 융통성이 없어 마음으로만 괴로워하며 시대의 변천에 적응하지 못한다. 그래서 현실에서 벗어난 말과 글로 나라를 그르치기도 한다.”는 정론(政論)을 남겼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한비자> ‘오두(五蠹)’ 편에는 ‘수주대토(守株待兎)’의 고사와 함께 “성인은 굳이 옛 도를 닦아 지키려고 하지 않으며, 항상 옳은 것을 법으로 삼지 않고, 세상의 일을 논하여 그것에 대한 적절한 대비책을 세운다(聖人不期修古 不法常可 論世之事 因爲之備)”고 기록되어 있는데, ‘여세추이(與世推移)’는 이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관련 한자어

반의어

守株待兎(수주대토) |



어부사, 屈原, 굴원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