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信不立 (무신불립)

無信不立(무신불립)

無 없을 무 | 信 믿을 신 | 不 아닐 불 | 立 설 립 |

믿음이 없으면 설 수 없다는 뜻으로 정치나 개인의 관계에서 믿음과 의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다.

'믿음이 없으면 살아나갈 수 없다'라는 뜻으로 《논어(論語)》 ‘안연편(顔淵篇)’에 실린 공자(孔子)의 말에서 비롯되었다.

자공(子貢)이 정치(政治)에 관해 묻자, 공자는 말했다.

“식량을 풍족하게 하고(足食), 군대를 충분히 하고(足兵), 백성의 믿음을 얻는 일이다(民信)”

자공이 다시 물었다.

“어쩔 수 없이 한 가지를 포기해야 한다면 무엇을 먼저 해야 합니까?”

그러자 공자는 군대를 포기해야 한다고 답했다. 자공이 다시 나머지 두 가지 가운데 또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면 무엇을 포기해야 하는지 묻자 공자는 식량을 포기해야 한다고 말하며,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예로부터 사람은 다 죽음을 피할 수 없지만, 백성의 믿음이 없이는 (나라가) 서지 못한다[自古皆有死 民無信不立]”

여기에서 정치나 개인의 관계에서 믿음과 의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무신불립(無信不立)’이라는 표현이 쓰이기 시작하였다.

《삼국지(三國志)》에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학자로 북해(北海) 태수를 지낸 공융(孔融:153∼208)은 조조(曹操:155∼220)의 공격을 받은 서주(徐州) 자사 도겸(陶謙)을 구하기 위해 유비(劉備:161∼223)에게 공손찬(公孫瓚:?∼199)의 군사를 빌려서 도겸을 도와주게 하였다. 공융은 군사를 가지면 유비의 마음이 변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유비에게 신의를 잃지 말도록 당부하였다. 그러자 유비는 《논어(論語)》 안연편(顔淵篇)에 실린 공자(孔子:BC 552∼BC 479)의 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성인은 '예부터 내려오면서 누구든지 죽지만 사람은 믿음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다[自古皆有死 民無信不立]'고 하였습니다. 저는 군대를 빌릴지라도 이곳으로 꼭 돌아올 것입니다"

이처럼 ‘무신불립(無信不立)’은 믿음과 의리가 없으면 개인이나 국가가 존립하기 어려우므로 신의를 지켜 서로 믿고 의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無信不立(무신불립) |

3 comments:

  1. ‘무신불립(無信不立)’은 교수들이 뽑은 2012년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를 규정짓는 올해의 사자성어로 '거세개탁(擧世皆濁)', '대권재민(大權在民)'에 이어 3위로 선정.

    ReplyDelete
  2. KEPCO(한국전력) 조환익 사장은 27일 “믿음이 없으면 일어설 수 없다”는 뜻의 사자성어인 무신불립(無信不立)을 신년화두로 정했다. 무신불립(無信不立)은, 조환익 사장이 취임식에서 밝힌 한전의 과거 위상을 되찾겠다는 의미의 “Again KEPCO"에 대한 실천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국민들의 신뢰가 없이는 어떠한 일도 이룰수 없으므로 낮은 자세로 국민들과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논어(論語)》 ‘안연편(顔淵篇)’에 실린 무신불립은 “정치를 위해서 군대 를 포기하고, 식량을 버릴 수는 있지만 백성의 믿음만은 포기해서는 안 된다“ 는 의미로 공자가 믿음과 신의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2012.12.27)

    ReplyDelete
  3.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무신불립(無信不立)'을 강조했다. 믿음이 없으면 설 수 없다는 뜻이다. 신뢰가 없이는 금융의 존립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지난 한해 몇몇 금융사건들로 인해 금융인의 도덕성에 대한 회의론이 나왔던 것에 대해 반성하고 앞으로 새롭게 변화하자는 각오를 담고 있다. 금융인은 본연의 원칙을 충실히 고수하고 공무원은 본연의 책무에 성실히 임할 때 대한민국 금융에 대한 신뢰는 더욱 공고해 질 것이란 얘기다. (2014.01.01)

    ReplyDelete